Telegram Web Link
New Listings Feed
$MON listed on Hyperliquid futures
이거 자동으로 익절나가는거 무슨기능?
3
1분에 50%씩 움직이는데 멀미 존나나네
🔥3
Forwarded from 폐지줍기 연구소
🟢 Everlyn, 사과문 게재 및 환불 신청 오픈

사과문

저희는 이번 프로젝트의 TGE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실행과 계획 모두 저희의 큰 실수였으며, 이로 인해 여러분께 실망과 분노를 안겨드린 점 전적으로 저희의 책임입니다.
여러분의 신뢰를 저버렸다는 점 깊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재 Everlyn 팀은 프로젝트를 바로잡고 다시 세우기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불 및 리워드 시스템 구축

1️⃣ 환불 진행 중
플랫폼 내 User Center → My Orders 메뉴로 이동하시면
카드 또는 암호화폐를 통한 환불 옵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리워드 시스템:
여러분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새로운 리워드 시스템을 준비 중입니다.
3👍2
Forwarded from 폐지줍기 연구소
뭣 10%를 더준다고...?

혹시 홈페이지 해킹당한건가
2
다신 보지말자!
환불되면 커피한번 쏠께용
8👍1
GRVT 시즌1 리워드 확인 가능

https://grvt.io/exchange/reward-portal?season=1

처음에 열심히 해놨는데 갯수는 안나오고 퍼센트로 나오는듯합니다? 시즌2가 바로 진행되고 TGE는 내년1분기로 예상한다네요
4👍1
🔸커널다오가 미쳐날뛰는중

이번에 4번째 프로덕트 KRED 출시 이후
TVL 24억 달러 및 많은 사용자를 유치했는데, BNB시즌이 맞물리면서 승승장구중이네요.

커널다오의 핵심 제품 3가지
1. KELP
- 이더리움 기반의 리퀴드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 2억 달러 이상의 자산 예치
2. Gain
- 전략 금고로, 효율적인 자산 운용을 지원
- 스테이블 예치 시 연 20% 수익 목표

3. Kernel
- BNB 체인 기반의 보안 인프라
- 2025년 초, 4천만 달러 생태계 펀드 조성

-본문

여기에 Kred기반 일드 베어링 스테이블코인인 KUSD는 단기 실물 채권으로 담보되어 송금•급여•무역금융 등 실질적인 거래에서 이자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추는 핵심 제품으로 자리잡았네요. BNB시즌이 지속되는동안만큼은 커널다오를 주목해보면 좋을듯!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1
루트스탁 추석 이벤트 빈집털이 ㄱㄱ!

퀴즈 정답 맞추고 구글폼 작성하면 끝
1번: Union Bridge
2번: 4개 모두


상품
- 배달의민족 3만원권 x 10명
- 치킨 기프티콘 x 10명
- 메가커피 기프티콘 x 200명

그래도 한국 명절 챙기는 프로젝트 별로 없는데 루트스탁 호감작 좋구요~ 다들 국내 KOL분들 이벤트도 참여하고 이것도 챙기면 좋을것같아요.

➡️구글폼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5👍1
Forwarded from 돈버는 작당모의 (팡팡 Pang.xx)
나락도 락이다
아비트럼 부스팅 시간
KST(한국시간): 2025년 10월 9일(목) 02:00 ~ 14:00
Opensea

-아비트럼 5%부스팅 오후 14:00까지임 (7시간남음)
- 사파이어 다계정함 (시빌잡을지몰?루)
- 진짜 손이 안가는데 혀깨물고 볼륨작함
- 손이 안갈때가 보통 타점이였던거같아서 했음

- 소외방지용으로 150, 300불 다계 괜츈할거같음
- 업비트 바낸 갈거같음
- USDT,USDC,ETH 섞어서 스왑함
- 빨리 GO

- https://opensea.io/kr/rewards
3👍1
😎Lighter가 기대되는 이유 (원문 참고)

화려한 VC라인업과 파운더의 웹2웹3 정통 인사들과의 인맥을 떠나서, 기술적으로나 라이터가 가지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마지막 퍼즐이라는 점.

비탈릭은 항상 이더리움의 기술적 미래는 ZK에서 온다고했고, 디파이=이더리움이라는 공식과 더불어 이미 완성되어있는 생태계에 부스팅을 달아주는격이라고 생각!

시즌2는 SPOT거래가 핵심일수도 있는데 혹시나 밈코인 나오면 홀딩해볼 예정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2
Pacifica 타운홀 요약 (10월8일)

주요 메인넷 배포: 오늘 예정

수평 확장: 20K에서 100K+ 사용자로의 성장 준비

피드백 받은 거의 100개의 고유 항목이 개발 할 일 목록에 있다며, 시간/일/최대 주 단위로 구현할 예정.

포인트가 '제품'이 아닌 성장 가속기로,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실제 사용자를 만들기위해 거래소라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나갈 예정.


포인트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진행되는것이라,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자주 언급하고있네요. 아무래도 레이어1이기도 하고, SPOT이나 볼트 만드는데도 시간이 필요하다보니 그런듯.

TGE 시점도 최소 내년 연말은 되어야 하기때문에, 단기적인 포모성 유입에 주의를 주면서도 진짜 레이어1 탄탄하게 구축해서 실력으로 승부하겠다는 팀원들 의지가 돋보이네요.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잘 빌딩해서 꾸준히 성장했으면..!

https://app.pacifica.fi?referral=BMT
7👍1
Manbull (구, AI 버블이 온다) 공지방
바낸 New Product 찌라시모음

중국형님들 사이에서 돌고 있는 찌라시인데,
이 프로덕트가 요런거라고하네요?
확실히 앞으로 요런 매커니즘의 프로덕트들이 많이 보일 것으로 예상 되는듯 (참여 유도형)

L1, L2 빌딩 및 Spot으로 확장 가능한 Perp DEXs 에서도 자체 레이어 생태계 통해서 관련 비슷한 매커니즘의 dApp이 나오거나 할 수도 있고

예) Upheaval (HL)

(현물, 스팟토큰 플라이휠) 자기네 거래소에 상장시켜가지고 거래 수수료 수취

이로 인해 사람들은 돈 벌 기회가 계속해서 생김 (Pump and dump / Could be found major one from there)

어쩌면 Win win 구조일지도


확장 가능한 펍덱들도 시간이 지나서 리소스가 남으면 향후 바낸처럼 저렇게 팀단에서 자체적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구축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음

우리는 이런걸 한다! 입지 굳게 다지기 / 생태계 플라이휠
3👍1
Forwarded from Steve’s Catallaxy
2025년 10월, 약 13조의 가치 평가를 받은 폴리마켓은 불과 5년전만 하더라도 파산직전의 솔로 창업 회사였다는 사실.

미스터 비스트의 10년전 영상도 그렇고 이 사진도 그렇고, 10년, 5년이란 시간은 짧게도 느껴지지만 정말 밀도있게 살면 천지개벽 수준의 변화를 일궈낼 수도 있는 시간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5년전의 저와 지금의 저를 비교해도 참 많은 것들이 바뀌어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밀도있는 삶을 살아야겠단 생각이 드는 포스트네요. 요즘들어 여기저기 자극을 많이 받습니다.

https://x.com/shayne_coplan/status/1854266896398561376?s=46&t=HsLVoWShV6YaRZiwG2br3Q
9👍1
Pacifica 포인트 들어왔네요!
저번주부터 살살하는중이고, 연말까지 2만포가 일단 목표!
1👍1
Forwarded from 쌀먹렉카충
트위터를 보다가 Lighter에 대한 흥미로운 글이 있어서 가져와봅니다.

Hyperliquid 수익과 비교해 Lighter의 현재 포인트당 가치 계산한 글입니다.

📊 수수료 비교

➡️ LLP 총 수익 = $4,658,640
➡️ 수수료의 70% = $407,631/일

HL의 30일 평균 수수료 ≈ 하루 322만 달러입니다.
즉, Lighter는 이미 HL 수수료의 12.6%를 창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Lighter가 HL과 동일한 수수료/FDV 비율을 유지하는 경우,
이는 FDV ≈ 가 56억 9천만 달러를 의미합니다.
라이터 1포인트당 142달러.

현재 가치만 반영한것.
밈코런칭과 성장 가능성을 보면 1포당 142달러는 바닥일거 같네요.

원본 링크
4👍1
Grass, 포인트 시스템 변경 (원문)

이번 업데이트로 Grass Points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습니다. 본문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Uptime Points
→ 기기가 Grass Network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성장에 기여한 시간에 따라 적립

Network Points
→ 사용자의 인터넷 대역폭이 실제로 Grass Network에서 사용될 때 적립


매일 1,000,000개의 Network Points가 생성되며,
각 사용자가 제공한 대역폭 사용량 비율(지역별 수요/연결 안정성/사용 기록)에 따라 배분됩니다.

Grass가 처음에는 충분한 기기 연결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실제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는 사용자에게 더 공정하게 보상이 돌아가도록 Uptime + Network 사용량 기반의 세분화된 시스템으로 개편되었습니다.
6👍1
2025/10/22 13:30:26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