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 [이슈]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작성자: 100y

- 투자자들은 누구나 자신만의 리스크/보상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구조화 상품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전통금융뿐만 아니라 온체인 생태계에서도 펜들 파이낸스와 같은 서비스가 일드 베어링 토큰에 대한 원금/이자을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굉장히 빠르게 성장했다.

- 스트라타(Strata)는 펜들 파이낸스와 비슷하면서도 아예 다른 접근법으로 일드 베어링 토큰에 대한 구조화 상품을 제공한다. 펜들이 단순히 원금/이자를 분리했다면, 스트라타는 일드 베어링 토큰을 이자 변동성 리스크에 따른 시니어 트랜치 토큰과 주니어 트랜치 토큰으로 나눈다.

- 시니어 트랜치 토큰은 이자 수익의 하방이 보장되어 이자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가 낮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자 수익이 높은 환경에서 상방을 온전히 누리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주니어 트랜치 토큰은 이자 수익의 상방을 기존 일드베어링 토큰보다 높게 누릴 수 있지만, 반대로 이자 수익이 낮은 환경에서 이자 수익의 손실을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스트라타는 초기에 USDe에 서비스가 적용되며, 이외에도 하이퍼리퀴드 HLP, 라이터(Lighter) LLP와 같이 이자가 발생하는 토큰이라면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는 확장성이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 [인재 채용] - 그래픽 디자이너 & 콘텐츠 에디터 채용

안녕하세요. 아시아 최대의 블록체인 리서치 기업, 포필러스에서 "그래픽 디자이너"와 "콘텐츠 에디터"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율적인 업무 환경속에서 업계 최고의 리서치 미디어를 향해 가파르게 성장하고있는 포필러스와 함께 여정을 하실 분이 계시다면 아래 공고를 통해 지원을 해주세요!

많은 관심가져주시면 & 혹시 주변에 추천해주실만한 분들이 계시다면 지원을 격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천을 해주시는 분께는 채용 포상금 300만원을 지급드립니다(제세공과금을 제하고 지급할 예정입니다!)

▪️지원 링크(그래픽 디자이너)
▪️지원 링크(콘텐츠 에디터)
▪️기타 문의

- TG: @FP_Jay
- E-mail: [email protected]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1
: : [이슈]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작성자: 포뇨

- 플랫폼 경쟁은 이제 ‘규모’가 아니라 ‘깊이’의 싸움이다. Anime.com은 초개인화된 애니 중심 플랫폼으로 방향을 틀었다.

- 불법 스트리밍의 거대한 수요를 흡수하며, ‘Free to Watch, Pay to Flex’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한다.

- 아즈키는 이용자와 콘텐츠를 동시에 확보한 출발점이며, $ANIME은 팬덤을 하나의 경제로 묶는 연결고리다.

- 팬들은 아바타, 친구, 수집품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그 안에서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는 이용자를 플랫폼 안에 머물게 만드는 락인효과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Anime.com의 해자가 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리포트] FLock.io: AI 민주화를 위한 베이스 레이어
작성자: 제이

- 현재 AI 산업은 AI 모델이 완성되기까지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서 투명성과 신뢰가 부족하며,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이 제한되고 있다.

- 이에 연합학습 방식의 AI 학습은 로컬 클라이언트에 모델을 배포해 각 기기에서 독립적으로 학습을 진행한 후, 학습된 파라미터만을 수집하여 글로벌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과정은 최종 글로벌 모델 개발에 드는 총비용을 절감하고, 개인 민감 데이터의 노출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활용도를 크게 높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하지만 연합 학습에도 한계는 존재한다. 모델 학습에 적극적이고 정직하게 참여하는 충분히 다양한 참여자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일부 운영이 여전히 중앙 서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 FLock.io는 블록체인의 다양한 요소를 연합학습 방법론과 결합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데이터 수급, 모델 제안과 학습, 그리고 모델 활용에 이르는 AI 모델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민주화하여 AI 산업을 더욱 창의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재의 AI 산업의 발전은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 중앙집중식 AI의 발전의 대안으로써 연합 학습
▫️ FLock.io: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연합 학습 플랫폼
▫️ 개인화가 개인화를 망치는 시대에 필요한 AI 기술의 민주화

📱 리포트 요약 (포스트)
🌎 리포트 전문 (PDF)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리포트] 휴마 파이낸스: 스테이블코인 시대의 페이파이(PayFi) 리더
작성자: 포뇨

-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결제 시스템를 재편하고 있으며, 휴마는 즉시 정산을 가능케 하는 유동성 레이어다.

- 페이파이는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을 활용해 결제기관의 단기 채권을 금융화한다.

- 휴마 2.0은 리테일 참여를 열고, 인스티튜셔널은 기관 대상 구조화 신용을 제공한다.

- 누적 60억 달러 거래와 신용 손실 ‘0’으로 수요 및 안정성을 입증했다.

- 휴마는 서클(Circle) 및 슈퍼스테이트(Superstate)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유동성과 온체인 크레딧을 연결하고 있다.

▫️ 글로벌 결제 인프라의 한계
▫️ 비전에서 시장 적합성으로
▫️ 페이파이 모델과 수익 구조
▫️ 시스템 아키텍쳐
▫️ 토크노믹스와 스테이킹 현황
▫️ 성과 및 주요 지표
▫️ 스테이블코인 내러티브를 탈 수 있을까
▫️ 맺으며

📱 리포트 요약 (포스트)
🌎 리포트 전문 (PDF)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리포트] 펏지 펭귄에 대한 모든 것
작성자: 캘빈

- 펏지 펭귄은 2022년 루카 네츠의 인수 이후 '탈크립토화' 전략을 통해 웹2와 웹3를 성공적으로 연결한 유일무이한 프로젝트로 성장했다. NFT 프로젝트임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귀여운 펭귄 캐릭터 IP로 접근하며 디즈니와 포켓몬을 능가하는 소셜 미디어 영향력을 구축했다. 이러한 전략으로 일반 대중은 펏지 펭귄이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자연스럽게 브랜드를 소비하게 되었고, 이는 크립토의 대중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임을 증명했다.

- $PENGU 토큰 출시와 앱스트랙트 체인 개발은 펏지 펭귄이 단순한 NFT 컬렉션을 넘어 종합 웹3 생태계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3만명의 NFT 홀더에서 60만명 이상의 토큰 홀더로 커뮤니티를 확장하며 "수십억 명 규모의 글로벌 커뮤니티" 구축이라는 비전에 한 걸음 다가섰고, 앱스트랙트는 펏지 펭귄이 구축한 거대한 웹2 커뮤니티를 웹3로 온보딩시키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펏지 펭귄은 또한 그동안 크립토 네이티브 IP가 돌파하지 못했던 전통 금융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연령과 문화를 초월하는 펭귄 캐릭터의 보편성, 커뮤니티와 경제적 가치를 공유하는 라이센싱 모델, 그리고 웹2와 웹3를 아우르는 독보적인 포지셔닝을 바탕으로 펏지 펭귄은 "디즈니를 계승하는 차세대 글로벌 IP"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펏지 펭귄의 탄생
▫️ 대탈출: 프로젝트 인수와 재정비
▫️ 대격변기: PENGU 와 앱스트랙트의 출시
▫️ 대확장기: 글로벌 탑 IP 를 향해
▫️ 펏지 펭귄은 매스 어돕션을 달성할 첫 웹 3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 펏지 펭귄은 디즈니를 계승하는 IP 가 될 것이다

📱 리포트 요약 (포스트)
🌎 리포트 전문 (PDF)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리포트] 앱스트랙트: 재미있는 것이 가장 대중적이다
작성자: 포뇨

- 앱스트랙트는 재미와 대중적 공감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컨슈머 블록체인을 지향한다.

- 캐주얼한 이미지와 달리 높은 실행력과 완벽주의적 운영 문화를 갖춘 팀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 계정 추상화·통합 지갑·소셜 로그인 등으로 구성된 풀스택 구조를 통해 온체인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Web2 수준의 사용성을 구현했다.

- 디앱들을 선별적으로 온보딩하며, 폐쇄형이지만 완성도 높은 생태계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 생태계는 수익화 국면에 진입했으며, 누적 매출 2,500만 달러·연환산 8,700만 달러 규모의 성과를 기록했다.

▫️ 가벼운 체인, 결코 가볍지 않은 팀
▫️ 왜 컨슈머 크립토(Consumer Crypto)인가?
▫️ ‘재미’ 뒤에 숨은 기술 스택
▫️ 앱스트랙트의 차별화 포인트
▫️ GTM (Go-To-Market) 전략
▫️ 생태계
▫️ 맺으며

📱 리포트 요약 (포스트)
🌎 리포트 전문 (PDF)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1
: : [코멘트] 우리를 종착지로 이끌 마지막 여정
작성자: Shuyao Kong (Co-Founder, MegaETH), 번역: 캘빈

솔직해져보자. 우리는 지금까지 유동성, 정당성, 지속성에 대한 (아주 약간의) 성과를 이루어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립토 네이티브 커뮤니티 사이에는 피로감이 퍼지고 있다. 가장 흔한 불만은 업계에 더 이상 새로움이 없으며, 모든 것이 금융을 과잉 설계한 것처럼 느껴진다는 점이다.

우리가 잃어버린 조각, 즉 최후의 1마일은 바로 실시간 인프라이다. 매우 빠르고, 저렴하며, 상호작용 자체가 제품이 되는 블록체인 말이다.

이것이 우리에게 남은 유튜브 모먼트이다.

📱 코멘트 전문 (포스트)
🌎 코멘트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작성자: 100y

- 우리는 ALT DAT SZN에 살고 있다. 2025년 7월 비트마인 이후 수 많은 ALT DAT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시장 하락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그러던 와중 2025년 10월 10일에 크립토 시장이 폭락했다. 시장의 통념은 ALT DAT 기업의 주가가 기초자산이 되는 알트코인의 가격보다 취약하다는 것인데, 과연 그러했을까? 본 글에서는 폭락 이전과 이후의 mNAV, 주가 퍼포먼스, 토큰 가격 퍼포먼스 등을 비교해보며 ALT DAT의 견고성에 대해 논의해본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3
: : 모나드 메인넷 출시, 어떤 디앱을 눈여겨봐야할까?
작성자: 100y

- 드디어 모두가 기다리던 모나드 메인넷의 출시가 임박했다. 모나드가 투자자, 리테일 등으로부터 굉장히 뜨거운 관심을 받아왔던 가장 큰 이유는 고성능 EVM을 필두로한 모나드의 테크 스택으로, 모나드는 EVM 호환가능한 네트워크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확장성을 기반으로한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모나드는 뛰어난 테크 스택 덕분에 기존 EVM 네트워크들에서 불가능했던 디앱의 등장을 가능케한다. 모나드에는 수 많은 디앱들이 존재하지만, 본 글에서는 좀 더 모나드 네이티브한 디앱들 위주로 생태계를 톺아보고자 한다.

▫️ 드디어 임박한 모나드의 출시
▫️ 당신이 주목해야할 모나드 생태계 디앱
▫️ 모나드 공식 블로그에 소개된 프로젝트
▫️ 해커톤 수상 프로젝트
▫️ 마치며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코멘트] 벤추얼스(vHYPE) 스테이킹, 24시간 만에 145만 $HYPE 조달
작성자: 포뇨, 데이터: 자흔

벤추얼스(Ventuals)의 vHYPE 스테이킹 캠페인은 10월 16일 15시(UTC)에 시작되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생태계 내에서 가장 빠르게 부트스트랩된 HIP-3 프로젝트 중 하나로 평가된다. 개시 후 2분 17초 만에 최소 요건인 50만 $HYPE을 충족했고, 24분 만에 100만 $HYPE, 이어서 10월 17일 07시 05분(UTC) 기준 145만 $HYPE이 예치되었다.

출시 직후 15시 00분 17초(UTC)에 25만 $HYPE을 예치한 고래가 등장하며 캠페인의 분위기를 이끌었다. 해당 트랜잭션은 공식 링크가 공개되기 직전에 온체인에 기록되어, 일부 초기 참여자들이 공개 이전에 서브도메인에 접근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후 수백 개의 지갑에서 예치가 빠르게 이어지며, 단 몇 분 만에 HIP-3 최소 요건을 넘어섰다.

📱 코멘트 전문 (포스트)
🌎 코멘트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세상에서 가장 지루한 혁신: EVM과 버츄얼스 프로토콜 ACP의 정합성
작성자: 에렌

- EVM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안정성과 보안성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발전을 이어온 생태계다. 버츄얼스 프로토콜이 ACP(Agent Commerce Protocol)의 기반으로 EVM을 선택한 것도, 기술적 구조와 실제 사용처를 고려할 때 이러한 EVM의 특성과 높은 시너지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 ACP는 AI 에이전트 간 상업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로, 탐색, 협상, 평가, 결제 등의 과정을 온체인에서 자동화한다. 이러한 ACP가 EVM을 선택한 근본적인 이유는, 결국 EVM이 제공하는 가장 탈중앙화된 합의 구조와 가장 높은 수준의 보안성에 있다. 이를 통한 데이터 불변성과 신뢰성은 인간 개입 없이 자율적인 협업을 전제로 하는 ACP의 핵심 기반이 된다.

- ERC-6551은 NFT를 통해 에이전트의 온체인 계정을 생성하고, ERC-4337은 해당 계정의 작동 방식과 트랜잭션 흐름을 규정하는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 이처럼 상호 보완적인 두 표준은 ACP가 자율적이면서도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뒷받침하며, 이는 표준화된 인프라 컴포넌트가 잘 갖춰진 EVM이라는 범용 실행 환경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 ACP는 본질적으로 범용 모듈이다. 즉, 어느 서비스든 멀티 에이전트의 자동화된 워크 플로우를 통합하여 생산성이나 사용자 경험 혹은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할 때, 그 효과를 드러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동성, 개발자, 사용자, 인프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EVM은 ACP가 수평적으로 통합되어 모듈로서의 잠재력을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생태계 기반이 되어준다.

- 버츄얼스 프로토콜은 ACP를 통해 에이전트의 작업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 표준과 지속 가능한 에이전트 기반 비즈니스를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언뜻 지루해 보일 수 있는 지금 이 시기는, 에이전트가 운영하는 마이크로 서비스들이 레고처럼 조립 가능한 형태로 폭발적으로 확산될 캄브리아기를 예비하는 준비 단계일 수 있다. ACP가 어떻게 노동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에이전트 기반 경제의 서막을 열게 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코멘트] 레이어제로의 성장은 가속화되고 있다
작성자: 강희창 & 자흔, 데이터: 자흔

레이어제로(LayerZero) 누적 전송량이 약 $160B을 돌파했다. 특히 2025년 하반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송량만으로도 $50B을 넘어, 지난 반기 전체를 뛰어넘는 기록적인 확장을 보였다. 그렇다면, 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고 있는 요인은 무엇일까?

📱 코멘트 전문 (포스트)
🌎 코멘트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이슈] 규제, 예측시장이 넘어야 할 가장 높은 벽
작성자: 캘빈

- 예측시장의 성장은 규제 준수가 핵심 경쟁력이 되었으며, 칼시의 급부상이 이를 증명했다. 폴리마켓이 CFTC 제재로 미국 시장에서 차단된 동안, 정식 라이선스를 보유한 칼시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시장 확장으로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 글로벌 규제 환경의 분열로 인해 예측시장의 확장이 제약받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국가들의 보수적 접근이 주요 장애물이다.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규제 완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 싱가포르, 태국 등은 예측시장을 불법 도박으로 규정하거나, 직접적으로 차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

- 탈중앙화와 예측시장의 공익적 가치 입증은 보수적 국가들의 규제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아이겐레이어 같은 상호주관적 결정 프로토콜로 시장 조작 위험을 줄이고, 학술적·경제적 헤징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강조하여 도박과의 경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리포트] 이니시아: 애플리케이션의 종착지로 들어서며
작성자: 에렌

- 이니시아는 모듈성과 조율(Orchestration)을 통해 수천 개의 앱체인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멀티체인 생태계로, 레이어1, 인터우븐 롤업, 인터우븐 스택 세 축으로 구성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 이니시아 레이어1은 OPinit 프레임워크(옵티미스틱 브릿징 및 오라클 데이터 릴레이 관리)와 코스모스 SDK 모듈(IBC 및 레이어제로 브리징, 스왑, 일반 컨트랙트 실행 등을 관리)을 통해 트랜잭션을 관리한다. 또한 내재화된 유동성을 기반으로 통합된 유동성 환경을 조성하며, VIP로 생태계를 경제적으로 연결하는 중심 축으로 기능한다.

- 인터우븐 롤업은 디파이, 게이밍, NFT, AI 등 다양한 도메인에 특화된 풀스택 앱체인으로, 개발자에게 기술 선택의 부담 없이 앱체인에 최적화된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

- 인터우븐 스택은 IBC와 레이어제로를 활용한 체인 간 연결, 통합된 UI/UX를 통한 프로덕트 연결로 멀티체인 생태계의 파편화를 방지한다.

- 이니시아는 '애플리케이션의 종착지(Application’s Final Destination)'라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까? 레이어1의 오케스트레이션 역할과 앱체인의 다양성, 그리고 경제적 인센티브와 차별화된 앱체인 경험에 기반한 사용자의 몰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더욱 명확하게 내려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이니시아: 모듈성과 조율이 공존하는 멀티체인 에덴동산
▫️ 이니시아 레이어1: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 레이어2: 인터우븐 롤업
▫️ 인터우븐 스택: 이니시아를 엮는 연결고리
▫️ 마치며: 애플리케이션의 최종 목적지는 실현될 수 있을까?

📱 리포트 요약 (포스트)
🌎 리포트 전문 (PDF)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세미나] 서울경제신문/디센터와 포필러스가 '스테이블코인 전략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글로벌 금융사와 가상화폐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을 차세대 지급결제 수단으로 주목하고 관련 사업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 금융권, IT 회사들 등도 스테이블코인, 더 나아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어떻게 제도권에 편입해야 할지에 대한 준비를 점차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포필러스에서는 이번에 서울경제신문/디센터와 함께 세미나를 개최하여 크립토 업계의 목소리를 올바른 방향으로 제공하려고 합니다.

소규모로 규제당국, 금융권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준비하거나 전개하고 계신 분들 위주로 진행할 예정이며,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세션: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 조건 - 복진솔 (포필러스 공동창업자)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방안 - 심원태 (금융위 가산자산과 사무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방안과 실사용 인프라 - 류홍열 (비댁스 대표)

✍️정보:
▪️일시: 2025년 10월 30일(목)
▪️시간: 오후 7시~8시 30분
▪️장소: 서울 강남구 해시드 라운지(강남구 강남대로374, 20층)

참가 신청은 @heechang_FP 로 연락주시면 됩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3
: : [코멘트] BTC, ETH에 비해 여전히 주목을 덜 받고 있는 ALT DAT
작성자: 100y, 데이터: 자흔

BTC DAT의 스트래티지, ETH DAT의 비트마인 이후로 수 많은 기업들이 ALT DAT 전략으로의 피봇을 선언하고, 지금도 수 많은 기업들이 ALT DAT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DAT의 주요 존재 목적 중 하나는 기존에 크립토 현물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투자자들이 상장시장으로 우회하여 익스포저를 가져갈 수 있게 하는 것인데, 과연 상장 시장에서 ALT DAT 기업에 대한 수요는 어떠할까?

📱 코멘트 요약 (포스트)
🌎 코멘트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이슈] 스트라이프: 7줄의 코드에서 템포까지
작성자: 100y

- 7줄의 코드는 스트라이프를 상징하는 키워드로, 스트라이프는 기업이 몇 줄 안되는 코드로 온라인 결제를 쉽게 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결제 시장을 혁신하였다.

- 스트라이프는 최근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되어 공격적인 인수 합병, 서비스 확장의 행보를 보여주었다. 특히 패러다임과 함께 개발하고 있는 템포 네트워크는 최근 $500M의 투자를 유치하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 스트라이프의 스테이블코인 친화적인 행보는 결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 레거시 금융에서 스트라이프는 PSP 기업으로서 결제 프로세스에서 부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면,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에서 스트라이프는 발급 은행, 카드 네트워크, 매입 은행 모든 핵심 역할을 다 담당할 수 있다.

- 우리는 모두 금융활동을 잘 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ACH, SEPA, SWIFT, VisaNet, RTGS와 같은 금융망들이 뭔지도 모른다. 스트라이프는 템포를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의 매스어돕션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며, 만약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메인이되는 세상이 온다면 그 중심에는 스트라이프가 있을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이슈] 거래소 네트워크 vs 제국
작성자: 포뇨

- 거래소 사업에서 유동성 해자는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기술력만으로는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 HIP-3 도입으로 누구나 50만 HYPE 스테이킹만으로 시장을 개설할 수 있게 되면서, 거래소의 핵심 기능이 코드화되고 백엔드 인프라가 범용화되었다.

- 향후 경쟁의 초점은 기술이 아니라 인센티브와 사용자 경험, 그리고 공유된 유동성 구조 위에서 얼마나 지속 가능한 가치를 설계하느냐로 이동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2025/10/24 02:07:46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