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 [이슈] 얄라 메인넷 출시: 디파이 및 RWA를 통해 BTC 유동성을 활성화하다
작성자: 100y

- 2025년 5월, 드디어 얄라가 이더리움 및 솔라나 메인넷에 출시되었다. 얄라는 비트코인 네이티브 유동성 프로토콜로, BTC 홀더들이 BTC를 네이티브 스테이킹하여 $YU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다양한 수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얄라 내의 BTC 홀더들이 접근할 수 있는 수익원에는 1) 스태빌리티 풀(stabiliy pool), 2) LP 파밍, 3) 디파이 마켓플레이스, 4) 얄라 리얼일드(RealYield)가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수익원을 통해 각각 1) BTC 담보 및 패널티 보상, 2) DEX 수수료, 3) 디파이 수익, 4) RWA 수익에 접근할 수 있다.

- 얄라는 펜들(Pendle), 레이디움(Raydium), 플룸(Plume), 센트리퓨지(Centrifuge), 카미노(Kamino) 등 다양한 디파이 및 RWA 프로토콜을 온보딩시켰다. 이러한 생태계는 얄라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전략과 그 궤를 같이한다. 얄라는 앞으로도 다양한 디파이 및 RWA 프로젝트들을 온보딩하여 BTC 홀더들이 다양한 수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시총 100조 핀테크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미국의 핀테크 기업인 Fiserv가 Paxos와 Circle의 인프라를 활용해 FIUSD라는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페이팔의 PYUSD와 연동하여 페이팔의 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Fiserv의 기존 고객까지 연결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또한 고객들의 은행 예금을 토큰화해 온체인에서 직관적인 금융 경험을 제공하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Fiserv의 이러한 전략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다른 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다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곧 출시될 자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내부 시스템 또한 효율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작성자: 강희창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2008년 앱스토어에 베팅하겠는가?
작성자: 재원

- 앱스트랙트는 초기 앱스토어의 플라이휠을 그리고 있다. 앱스트랙트 포털은 150만 MAU와 70개가 넘는 라이브 앱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AGW 지갑의 주간 재방문율은 35%에 달한다.

- 데스닷펀(Death[.]fun)은 첫 달 100만 플레이, 몬스터즈닷펀(Monsters[.]fun)은 15만 명 대기자, 온체인 히어로즈(OnChain Heroes)는 2차 시장에서 며칠만에 거래량 1.1k ETH를 기록하며 ‘가볍고 재미있는 인디 게임 → 바이럴 확장’ 공식을 재현하고 있다.

- XP 시스템과 통합 포털, AGW를 통해 신규 앱들에게 첫날부터 트래픽을 보장한다. 포털의 평균 방문 시간 (9분), 페이지 세션 수(7)가 말해 주듯, 사용자 개발자 콘텐츠/디앱간 선순환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 지금 쌓는 XP는 향후 에어드랍 및 기타 리워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2008년 앱스토어의 업사이드에 대한 지분을 미리 사두는 것과 유사한 기회다.

▫️ 인디 게임이 이끈 초기 앱스토어의 폭발적 성장
▫️ 앱스트랙트 포털은 앱스토어의 성장 곡선을 반영 중
▫️ 앱스트랙트가 신규 디앱을 노출하는 방법
▫️ XP는 사실상 앱스토어의 업사이드를 가져가는 것
▫️ 2008년의 앱스토어에 베팅했겠는가?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카이아, 카카오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할까?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나올까?”가 아니라 “어디서 먼저 찍어낼까?”의 문제다. 디지털자산 혁신법은 자본금 10억 원과 은행식 감사만 갖추면 발행을 허용했고, 한국은행도 FX 관리만 전제로 사실상 고개를 끄덕였다. 카카오페이가 ‘KKRW·KRWP’ 등 18개의 스테이블코인 상표를 선점하며 의지를 확인한 이상, 발행 자체는 시간문제다.

관건은 발행 체인이 어디냐다. 가장 가능성 높은 그림은 유동성이 풍부한 퍼블릭 블록체인과 카이아에 모두 발행하는 멀티체인 전략을 취하는 것이다. 카이아는 가장 잘 나가는 국산 L1 블록체인이지만, 유동성, 토크노믹스, 거버넌스, 그라운드X의 대규모 물량 할인 매각 등 구조적 약점도 고스란히 안고 있다. 카카오페이가 카이아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단독 발행하는 것은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작성자: 재원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포필러스가 유니스왑 랩스와 함께 AMA 세션을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니스왑 랩스 한국 커뮤니티 리드를 맡고 계신 젠님과 포필러스의 블록체인 리서처 유겸(Eren)님이 함께 유니스왑 프로토콜의 탄생부터 최근의 v4까지, 각 버전별 특징과 그 동안의 주요 변화 및 발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유니스왑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그리고 유니스왑의 최근 동향이 어떤지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 6월 26일 목요일, 저녁 7시(KST)

🌎 관련 리서치: 간략한 유니스왑 프로토콜의 역사
📱 X 스페이스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
: : [이슈] 뉴턴 프로토콜: 안전한 AI 금융의 시대를 열다
작성자: 시원

- 현재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은 검증 불가능성으로 인한 치명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웹3 환경에서 AI 연산이 오프체인에 의존하면서도 그 결과를 검증할 메커니즘이 부재해, 사용자들이 중앙화된 AI 서비스를 맹목적으로 신뢰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 뉴턴 프로토콜은 신뢰실행환경(TEE)과 영지식 증명을 결합하여 AI 에이전트의 실행 환경과 결과를 모두 검증 가능하게 만드는 솔루션을 제시한다.

- 뉴턴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축될 검증 가능한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새로운 시대는 에이전트 간, 그리고 에이전트와 인간 간에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뉴턴 프로토콜 내에서 AI 에이전트들은 평판에 따라 상호 작용할 것이고, 그 가운데 인간이 최대한의 통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 포필러스가 Perena의 Stablebank Network에 참여합니다!

Perena는 솔라나의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로, 깊은 유동성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파편화 문제를 해결합니다.

Stablebank는 온체인금융을 가속화하기 위한 연합체로, 신뢰받는 리서치 기업으로서 포필러스는 인사이트 가득한 컨텐츠를 통해 기여할 것입니다.

공지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 : [이슈] 모두의 시선이 스테이블코인으로 향해 있다 (ASA 뉴스 #1)
작성자: ASA, 희창, 모예드

[뉴스 #1] 앤트 인터내셔널, 홍콩에서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 추진
✍️ 아시아 테크기업들에게 스테이블코인은 궁극적인 금융 인프라가 될 수 있다 (작성자: 희창)

[뉴스 #2]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크립토 카드 프로젝트 시작
✍️ 중앙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전략을 공격적으로 펼친다면? (작성자: 희창)

[뉴스 #3] 한국 주요 은행,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계획
✍️ 은행들은 안전하게 움직이고자 한다 (작성자: 모예드)


*[ASA 뉴스]는 2주마다 발행되는 뉴스레터로, 아시아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요 뉴스를 정리하고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1
: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무조건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발행해야한다
작성자: 100y, 코멘트: 스티브, 시원, 재원

- 최근 한국에선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 준비금 운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글로벌적으로 거의 모든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이더리움에 무조건 발행되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아직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왜 이더리움에 무조건 발행해야되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 이더리움은 다른 네트워크에 비해 압도적인 유동성, 검증된 시스템, 네트워크 효과, 높은 보안 규모, 뛰어난 탈중앙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더리움 외의 네트워크에도 네이티브 발행 지원을 할 수는 있으나, 초기 발행 지원은 무조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시작해야된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 글로벌 스테이블코인들이 발행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식은 1) 단일 네트워크, 2) 네이티브 브릿지가 없는 멀티체인, 3) 네이티브 브릿지가 있는 멀티체인, 4) 정식 브릿지가 있는 멀티체인으로 나뉜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특수성을 생각하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무조건 발행하되, 전략적으로 소수의 체인에 네이티브 발행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고, 멀티 체인을 지원하게 된다면 꼭 크로스체인 솔루션을 도입해야할 것이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네트워크에 대한 논의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무조건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발행해야한다
▫️ 왜 이더리움인가?
▫️ 발행방식 제안
▫️ 마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특수성
▫️ 다른 사람들의 의견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4💩3👍1
: : 포필러스가 위클리 뉴스레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포필러스는 매주 크립토 시장에 대한 전문적인 리서치 컨텐츠를 꾸준히 제공해오고 있습니다.

매주 발행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더 많은 분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위클리 뉴스레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업계 주요 프로젝트들과 각 섹터에 대한 동향, 그리고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매주 보내드릴 예정이니 앞으로 많은 관심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뉴스레터 구독하기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한국 최고의 개발자들은 '실용적인' MOVE 스택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리서처로써 수없이 많은 한국 빌더들을 만나보고, 또 지난 주 수요일에 열렸던 Nexon Developers Conference에 발표자로 참여하여 얘기해본 결과, 개발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빌딩할 생태계 정하기' 였습니다.

웹2 개발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 서비스의 효용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새로운 축의 효용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수이 및 MOVE 스택은 빌더들에게 최고의 선택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Orakle(카이스트)이나 SuiDevGroup과 같은 개발자 중심으로 결집되어 있는 그룹은 늘 존재해왔으며, 그간 이들을 위한 “개발친화적인 스택”이 없었을 뿐입니다.

작성자: 제이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로빈후드”님이 채팅방에 입장했습니다
작성자: 재원

- 로빈후드(Robinhood)가 최근 토큰화된 미국 주식·ETF 및 OpenAI, SpaceX 등 비상장 종목까지 주 5일 24시간, 수수료 없이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을 출시하였다.

- 전용 오빗(Orbit) L2의 시퀀서 수수료 10%가 아비트럼 DAO로 귀속되지만, KYC 화이트리스팅 제도로 인해 디파이 생태계 전반과의 연동은 제한적이다.

- 로빈후드의 서비스 확장은 무기한 선물 DEX 시장에서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의 정면 승부를 예고한다.

- 주식시장을 지배해 온 ‘주 5일·일 6.5시간’ 거래 체제는 구시대적 잔재가 되어가고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이슈] 업비트를 잡는자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에서 승리하리라
작성자: 100y

- USDT, USDC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초기에 스테이블코인이 성장하기 위해서 거래소의 호가통화 지원은 굉장히 효과적인 전략이다.

- 한국 간편결제 시장의 1위인 네이버페이와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1위인 업비트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 사업을 추진한다고 공개했다.

- 업비트와 네이버페이의 고객 예치금을 기반으로 계산하였을 때, 5% 정도만 원화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되어도, 원화는 달러 다음으로 가장 거대한 규모를 가진 스테이블코인이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33
: : [이슈] 복권 사업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용처가 될 수 있을까?
작성자: 인근, 코멘트: 100y

- 한국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기반을 빠르게 마련 중이지만, 논의는 발행 요건과 규제 중심에 머물고 있다. 정작 중요한 “어디에 쓰일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 활용 방안은 부족해, 자칫 발행 후에 사용되지 않는 기술이 될 위험이 있다.

- 복권은 대중성과 시장성을 이미 갖춘 분야로,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및 상금 수령 수단으로 도입하거나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으로 전환할 경우 투명성, 효율성, 확장성 측면에서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구체적인 용처가 될 수 있다.

- 복권과 스테이블코인의 결합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다. 다만 법적 규제, 사용자 접근성, 보안 등 현실적 과제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실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기관 자금이 스파크(Spark)로 향하는 이유
작성자: 재원

- 스테이블코인을 디파이 수익과 토큰화 국채 사이에서 위험조정수익률이 가장 높은 곳에 자동 재배치한다.

- 투자자는 sUSDS만 보유하면 되고, 체인 간 자산 이동·투자 전략 전환·리스크 관리 등 전 과정은 스파크 코드와 거버넌스가 담당한다.

- 스파크는 현재 운용 자산 약 38억 달러, 누적 이자 1억 9천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며, 출시 이래 해킹당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 이는 스카이의 보수적 리스크 문화, 삼중 감사, 실시간 대시보드가 결합된 결과다.

- 포트폴리오 중 약 40 %는 토큰화 국채·현금 버퍼로 바닥 수익과 즉시 유동성을 확보하고, 나머지는 모르포(Morpho)·에테나(Ethena)·메이플(Maple) 등 검증된 디파이 전략에 분산된다. 그 결과 sUSDS는 연 5~10 % 수익률을 동시에 제공한다.

---

⚡️ Spark Data Hub 대시보드에서 매출액, 예치자본, APR 등 스파크와 관련된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해보세요!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
: : [이슈] 모드하우스가 앱스트랙트를 선택한 이유
작성자: 변주웅, 재원

- 앱스트랙트는 블록체인의 복잡성을 추상화하여 일반 사용자들에게 매끄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컨슈머 중심 레이어 2 블록체인으로, 포털과 XP, 뱃지 시스템을 통해 독자적인 컨슈머 앱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 모드하우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팬들이 아티스트의 작품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오픈 아키텍처 엔터테인먼트' 모델을 구축하는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현재까지 450만 개 이상의 NFT 기반 포토카드와 19만 명 이상의 앱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 모드하우스는 앱스트랙트와의 ZkSync와 셀레스티아 기반 인프라를 통해 기술적 안정성과 확장성 및 이메일 기반 온보딩을 통해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앱스트랙트 또한 K-Pop 팬덤이라는 디지털 친화도와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게임, 엔터테인먼트, 소셜 등 다양한 문화적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과 앱 간의 네트워크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이슈] 만약 스트라이프 L1이 출시된다면 어떤 모습일까?
작성자: 100y

- 최근 크립토 커뮤니티 내에서 스트라이프가 L1 네트워크를 출시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다. 최근 스트라이브의 브릿지(Bridge)와 프라이비(Privy) 인수 소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다음 수순으로는 충분히 자체 블록체인을 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스트라이프는 대표적인 글로벌 PSP 기업으로, 가맹점, 매입사, 카드 네트워크, 카드 발급 은행 사이를 기술적으로 연결해 결제가 매끄럽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 만약 스트라이프가 L1을 출시한다면 베이스(base) 케이스로 고객의 결제와 가맹점의 정산에 있어 스테이블코인 및 스트라이프 L1 활용 지원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불(bull) 케이스로 1) 카드 발급사와 카드네트워크를 우회하는 직접 결제, 2) 기존 결제 시스템에서 불가능했던 마이크로 스트리밍 구독 지원, 3) 스트라이프 L1 내에서 결제 대금으로 구성된 단기 예치금 자산 운용 등 아예 결제 시스템의 혁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트라이프는 페이먼트 게이트웨이, 매입사(acquirer) 정도의 역할을 수행했다면, 만약 스트라이프 L1이 출시된다면 이를 넘어 사실상 발급 은행, 카드 네트워크의 역할까지 도맡아할 잠재력이 있으며, 이는 결제 산업 역사상 굉장히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이슈] 신뢰하기 이전에 검증하라: 아이겐클라우드와 바운드리스의 서로 다른 접근법
작성자: 시원

- 검증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지만, 디지털 연산 환경의 복잡도가 증가하며 사용자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꾸준히 “검증 가능한 연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었다.

- 아이겐클라우드와 바운드리스는 현재 “검증 가능한 연산”이라는 모토를 선두에 내세우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젝트이다. 두 프로젝트는 언뜻 공통된 목표로 인해 충돌되는 프로젝트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의 검증 가능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 아이겐클라우드는 경제적 보안을 기반으로 상호주관적 판단이 필요한 영역에서, 바운드리스는 영지식 증명을 기반으로 객관적이고 결정론적인 연산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영역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따라서 두 프로젝트는 향후 검증 가능한 연산이 확대됨에 따라 상호보완적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2025/10/21 18:41:01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