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슈] 쇼피파이, 코인베이스, 스트라이프가 보여주는 결제의 미래
작성자: 100y
- 쇼피파이는 판매자가 자신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스토어를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올인원 이커머스 서비스이다. 최근 쇼피파이는 코인베이스, 스트라이프와 협력하여 결제 옵션에 USDC를 제공하기로 발표했다.
- 구매자는 베이스 네트워크에 USDC를 가지고 있는 웹3 지갑을 연결하여 쉽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방식은 베이스가 카드 네트워크의 역할을 하고, 웹3 지갑이 카드 발급 은행의 역할을 하며 이 둘을 우회한다.
- 여기에 더 나아가 쇼피파이 USDC 결제는 코인베이스의 Commerce Payments Protocol를 지원한다.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결제 중재 프로토콜로, 에스크로를 통해 구매자 판매자에게 결제 실패의 위험성을 줄여주고, 환불, 취소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100y
- 쇼피파이는 판매자가 자신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스토어를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올인원 이커머스 서비스이다. 최근 쇼피파이는 코인베이스, 스트라이프와 협력하여 결제 옵션에 USDC를 제공하기로 발표했다.
- 구매자는 베이스 네트워크에 USDC를 가지고 있는 웹3 지갑을 연결하여 쉽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방식은 베이스가 카드 네트워크의 역할을 하고, 웹3 지갑이 카드 발급 은행의 역할을 하며 이 둘을 우회한다.
- 여기에 더 나아가 쇼피파이 USDC 결제는 코인베이스의 Commerce Payments Protocol를 지원한다.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결제 중재 프로토콜로, 에스크로를 통해 구매자 판매자에게 결제 실패의 위험성을 줄여주고, 환불, 취소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스토리, 시험대에 오르다
작성자: 재원
- 스토리는 2025년 2월 IP 전용 레이어1로 출범해 FDV 4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제 ‘구축’ 단계에서 검증 단계로 전환해 실사용으로 밸류에이션을 입증해야 한다.
- 전용 L1, PIL·IP 포털 기반 법률 스택, 디파이 인프라, 런치패드, Agent TCP/IP, 1,000만 달러 생태계 펀드, World ID 파트너십 등의 성과를 이루었지만 핵심 온체인 지표들은 여전히 초기 수준이다.
- 음악 로열티 기반 IPRWA APL이 연 5~8 % 수익률을 달성하고 음악 섹터 외에도 스포츠·엔터테인먼트 IPRWA 발행을 견인해야 스토리의 내러티브가 1차적으로 검증된다.
- 향후 6~12 개월의 관전 포인트는 1) 온체인 활동·유동성 확대 2) TIL 다각화(최소 3종 신규 IPRWA) 3) 로열티 정시 지급 4) World ID 적용·기업 데이터 라이선싱 등 파트너 통합의 실거래화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스토리는 2025년 2월 IP 전용 레이어1로 출범해 FDV 4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제 ‘구축’ 단계에서 검증 단계로 전환해 실사용으로 밸류에이션을 입증해야 한다.
- 전용 L1, PIL·IP 포털 기반 법률 스택, 디파이 인프라, 런치패드, Agent TCP/IP, 1,000만 달러 생태계 펀드, World ID 파트너십 등의 성과를 이루었지만 핵심 온체인 지표들은 여전히 초기 수준이다.
- 음악 로열티 기반 IPRWA APL이 연 5~8 % 수익률을 달성하고 음악 섹터 외에도 스포츠·엔터테인먼트 IPRWA 발행을 견인해야 스토리의 내러티브가 1차적으로 검증된다.
- 향후 6~12 개월의 관전 포인트는 1) 온체인 활동·유동성 확대 2) TIL 다각화(최소 3종 신규 IPRWA) 3) 로열티 정시 지급 4) World ID 적용·기업 데이터 라이선싱 등 파트너 통합의 실거래화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수이 생태계의 1등 랜딩 프로토콜이 DEX를 만든다면?
작성자: 스티브
- TVL은 여전히 디파이 생태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 지표지만, 자산 가격에 민감하고 유동성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단순한 자금의 락업 규모보다는, 그 유동성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다양한 프로토콜 간에 활용되고 연결될 수 있는지, 즉 ‘유동성 가용성’과 ‘연결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Suilend와 STEAMM은 단순히 두 개의 별개 프로토콜이 아닌, 수이 블록체인 위에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작동하는 대표적 디파이 스택의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슈퍼플루이드 AMM, 모듈화된 쿼터 구조, Seamless한 유동성 전이 등 수이의 인프라적 특성과 팀의 설계 철학이 결합된 구조적 혁신을 통해, 두 프로토콜은 유동성 활용도와 사용자 경험 모두에서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다.
- 이 모든 전략의 중심에는, Solana 시절부터 검증된 경험을 가진 팀의 일관된 실행력과 수이의 기술적 기반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들의 접근 방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팀이 단순히 모방하기 어려운 고유한 시너지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루틀렛, 스프링수이, 어텐션 등 다양한 제품들이 하나의 큰 전략적 프레임 안에서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수이 생태계 내에서 가장 탄탄하고 독립적인 디파이 인프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수이랜드: 슬로우 스타터가 1등이 되기까지
▫️ 수이랜드의 큰 그림: STEAMM
▫️ ONLY POSSIBLE ON SUI: STEAMM이 보여주는 수이의 강점
▫️ 나는 왜 수이랜드에 주목하는가?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스티브
- TVL은 여전히 디파이 생태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 지표지만, 자산 가격에 민감하고 유동성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단순한 자금의 락업 규모보다는, 그 유동성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다양한 프로토콜 간에 활용되고 연결될 수 있는지, 즉 ‘유동성 가용성’과 ‘연결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Suilend와 STEAMM은 단순히 두 개의 별개 프로토콜이 아닌, 수이 블록체인 위에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작동하는 대표적 디파이 스택의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슈퍼플루이드 AMM, 모듈화된 쿼터 구조, Seamless한 유동성 전이 등 수이의 인프라적 특성과 팀의 설계 철학이 결합된 구조적 혁신을 통해, 두 프로토콜은 유동성 활용도와 사용자 경험 모두에서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다.
- 이 모든 전략의 중심에는, Solana 시절부터 검증된 경험을 가진 팀의 일관된 실행력과 수이의 기술적 기반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들의 접근 방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팀이 단순히 모방하기 어려운 고유한 시너지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루틀렛, 스프링수이, 어텐션 등 다양한 제품들이 하나의 큰 전략적 프레임 안에서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수이 생태계 내에서 가장 탄탄하고 독립적인 디파이 인프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수이랜드: 슬로우 스타터가 1등이 되기까지
▫️ 수이랜드의 큰 그림: STEAMM
▫️ ONLY POSSIBLE ON SUI: STEAMM이 보여주는 수이의 강점
▫️ 나는 왜 수이랜드에 주목하는가?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2
: : [이슈] 원화 스테이블코인, 토큰 증권에서 사용처를 찾다
작성자: 모예드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활용처 위에서만 존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증권형 자산의 유통 및 결제 인프라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한국 국채가 토큰화될 경우 기존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산 구조에 기술적 효율성을 결합할 수 있다. 한국 국채뿐만 아니라 비상장 주식, 사모펀드의 경우에도 전략적으로 토큰화하기 좋은 자산일 것이다.
-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디지털자산기본법, STO, 가상자산 ETF를 아우르는 이른바 ‘디지털자산 3법’을 유기적으로 설계하고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이 있어야만,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진정한 디지털 자산 시장의 중심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모예드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활용처 위에서만 존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증권형 자산의 유통 및 결제 인프라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한국 국채가 토큰화될 경우 기존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산 구조에 기술적 효율성을 결합할 수 있다. 한국 국채뿐만 아니라 비상장 주식, 사모펀드의 경우에도 전략적으로 토큰화하기 좋은 자산일 것이다.
-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디지털자산기본법, STO, 가상자산 ETF를 아우르는 이른바 ‘디지털자산 3법’을 유기적으로 설계하고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이 있어야만,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진정한 디지털 자산 시장의 중심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세이프: 온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소유권 인프라 레이어
작성자: 변주웅, 시원
- 세이프는 암호화폐 커스터디 솔루션에서 시작하여 현재 온체인 소유권 및 계정 인프라의 핵심 레이어로 진화했으며, 50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호하고 4,300만 개 이상의 스마트 계정을 배포하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 세이프의 모듈형 아키텍처는 트랜잭션 실행, 보안 검증, 표준 지원을 효과적으로 분리한 설계를 통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EOA 기반 지갑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 세이프 생태계는 2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단일 인프라 위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자산 관리, 자동화, 결제, AI 등 다양한 도메인의 서비스들이 세이프의 검증된 보안성과 모듈성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통합된 온체인 경험을 제공한다.
▫️ 세이프 프로토콜, 블록체인의 소유권 레이어
▫️ 세이프 생태계
▫️ 세이프: 웹3의 대중화를 위한 필수 인프라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변주웅, 시원
- 세이프는 암호화폐 커스터디 솔루션에서 시작하여 현재 온체인 소유권 및 계정 인프라의 핵심 레이어로 진화했으며, 50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호하고 4,300만 개 이상의 스마트 계정을 배포하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 세이프의 모듈형 아키텍처는 트랜잭션 실행, 보안 검증, 표준 지원을 효과적으로 분리한 설계를 통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EOA 기반 지갑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 세이프 생태계는 2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단일 인프라 위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자산 관리, 자동화, 결제, AI 등 다양한 도메인의 서비스들이 세이프의 검증된 보안성과 모듈성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통합된 온체인 경험을 제공한다.
▫️ 세이프 프로토콜, 블록체인의 소유권 레이어
▫️ 세이프 생태계
▫️ 세이프: 웹3의 대중화를 위한 필수 인프라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스테이블코인 결제: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위협인가?
작성자: 100y
- 현재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 활용은 암호화폐 거래로부터 비롯되지만, 앞으로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은 증권 시장, 결제 시스템 등 기존의 복잡하고 무거웠던 금융 시스템을 혁실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최근 결제 시스템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크게 1) 카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한 스테이블코인 기능 도입 방향성과 2) 아예 카드 네트워크와 발급 은행을 우회하는 방향성 두 가지로 이루어지고 있다.
- 후자의 방향성에서 페이팔의 PYUSD와 쇼피파이 x 코인베이스 x 스트라이프의 USDC 결제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앞으로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이미 수 많은 고객과 가맹점을 확보한 기업의 경우 자체적인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충분히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테이블코인의 잠재력
▫️ 결제 시장, 스테이블코인이 혁신할 수 있을까?
▫️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 마치며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100y
- 현재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 활용은 암호화폐 거래로부터 비롯되지만, 앞으로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은 증권 시장, 결제 시스템 등 기존의 복잡하고 무거웠던 금융 시스템을 혁실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최근 결제 시스템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크게 1) 카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한 스테이블코인 기능 도입 방향성과 2) 아예 카드 네트워크와 발급 은행을 우회하는 방향성 두 가지로 이루어지고 있다.
- 후자의 방향성에서 페이팔의 PYUSD와 쇼피파이 x 코인베이스 x 스트라이프의 USDC 결제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앞으로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이미 수 많은 고객과 가맹점을 확보한 기업의 경우 자체적인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충분히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테이블코인의 잠재력
▫️ 결제 시장, 스테이블코인이 혁신할 수 있을까?
▫️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 마치며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이더리움의 “울트라 사운드 머니” 비전은 EIP-1559의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과 머지 업그레이드를 통한 신규 발행량 감소라는 두 가지 요소를 통해, 비트코인의 고정된 공급량을 넘어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공급이 줄어들 수 있는 디플레이션 자산을 지향한다.
덴쿤 업그레이드로 인해 현재는 디플레이션 상태는 아니지만, 여전히 비트코인보다 낮은 인플레이션율을 유지하며 이더리움(ETH)의 장기적 희소성과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수학적, 경제적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작성자: 인근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 [이슈]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불충전금과 비교하여 어떤 이점이 있을까?
작성자: 100y
-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에 대한 논의가 뜨거운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지급결제수단으로써의 활용을 눈여겨보고있다.
- 스테이블코인은 발행 자격, 예치금 운용 및 수익 분배, 결제 수수료 구조, 도산 대응책 등의 측면에서 카카오페이 머니, 네이버페이 머니와 같은 선불충전금과 그 성격이 매우 유사하다. 다만, 활용처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기존에 파편화되어있던 플랫폼과 가맹점을 모두 통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온체인에서의 활용까지 기대해볼 수 있다.
- 다만 스테이블코인 초기 시장에선 지급결제수단으로써 선불충전금에 비해 큰 이점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는 온체인 서비스의 부족, 한국의 엄격한 외환법, 복잡한 사용자경험 등이 초기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100y
-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에 대한 논의가 뜨거운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지급결제수단으로써의 활용을 눈여겨보고있다.
- 스테이블코인은 발행 자격, 예치금 운용 및 수익 분배, 결제 수수료 구조, 도산 대응책 등의 측면에서 카카오페이 머니, 네이버페이 머니와 같은 선불충전금과 그 성격이 매우 유사하다. 다만, 활용처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기존에 파편화되어있던 플랫폼과 가맹점을 모두 통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온체인에서의 활용까지 기대해볼 수 있다.
- 다만 스테이블코인 초기 시장에선 지급결제수단으로써 선불충전금에 비해 큰 이점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는 온체인 서비스의 부족, 한국의 엄격한 외환법, 복잡한 사용자경험 등이 초기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9
: : [뉴스레터] 지금 주목해야 할 3대 프리미티브: 유동성과 계정 그리고 결제 (2025년 29주차)
[아티클]
- 수이 생태계의 1등 랜딩 프로토콜이 DEX를 만든다면?
- 세이프: 온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소유권 인프라 레이어
- 스테이블코인 결제: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위협인가?
[이슈]
- [ASA 뉴스 #2] CBDC의 멈춤, 그리고 스테이블코인의 부상
- 쇼피파이, 코인베이스, 스트라이프가 보여주는 결제의 미래 (ASA 오피니언 #5)
- 스토리, 시험대에 오르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토큰 증권에서 사용처를 찾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불충전금과 비교하여 어떤 이점이 있을까? (ASA 오피니언 #8)
[코멘트]
- 울트라 사운드 머니 비전은 ETH의 가격 견인을 할 수 있을까?
🌎 29주차 뉴스레터 전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아티클]
- 수이 생태계의 1등 랜딩 프로토콜이 DEX를 만든다면?
- 세이프: 온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소유권 인프라 레이어
- 스테이블코인 결제: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위협인가?
[이슈]
- [ASA 뉴스 #2] CBDC의 멈춤, 그리고 스테이블코인의 부상
- 쇼피파이, 코인베이스, 스트라이프가 보여주는 결제의 미래 (ASA 오피니언 #5)
- 스토리, 시험대에 오르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토큰 증권에서 사용처를 찾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불충전금과 비교하여 어떤 이점이 있을까? (ASA 오피니언 #8)
[코멘트]
- 울트라 사운드 머니 비전은 ETH의 가격 견인을 할 수 있을까?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Layer3: 웹3 대중화의 마지막 퍼즐
작성자: 인근
- 웹3는 탐색과 학습이 어려운 정보의 혼돈 속에 있다. 기존의 탐색 및 학습 구조는 신뢰와 진정성을 해치고, 사용자 이탈을 초래한다. 구글과 네이버처럼 레이어3는 소비자들의 필요와 관심사에 맞는 프로젝트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레이어3의 퀘스트와 제공되는 여러 모듈형 기능들은 직접적인 사용자들의 온체인 활동을 유도하고, NFT인 큐브는 이를 온체인 평판 자산으로 기록한다. 프로젝트는 큐브 데이터를 활용해 진성 유저를 식별하고, 사용자는 지속적 보상을 얻으며 정체성을 쌓는다.
- 45개 이상의 체인을 아우르는 옴니체인 구조와 L3 토큰 기반의 경제 모델은 플랫폼 성장과 토큰 가치 상승을 연결한다. 사용자, 프로젝트, 토큰이 맞물린 이 구조는 지속 가능한 플라이휠을 만들어낸다.
- 로빈후드 등과의 협업으로 효과를 입증한 레이어3는 온체인 슈퍼앱으로 확장 중이다. 레이어3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소셜파이, 인포파이와 연결되며, 웹2와 웹3를 잇는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다
▫️ 웹3 대중화를 위한 두 가지 열쇠: 탐색과 교육
▫️ 레이어3: 관심과 정체성을 위한 인프라
▫️ 레이어3의 토크노믹스와 시장에서의 증명
▫️ 레이어3: 대중화를 위한 발견과 학습의 레이어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인근
- 웹3는 탐색과 학습이 어려운 정보의 혼돈 속에 있다. 기존의 탐색 및 학습 구조는 신뢰와 진정성을 해치고, 사용자 이탈을 초래한다. 구글과 네이버처럼 레이어3는 소비자들의 필요와 관심사에 맞는 프로젝트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레이어3의 퀘스트와 제공되는 여러 모듈형 기능들은 직접적인 사용자들의 온체인 활동을 유도하고, NFT인 큐브는 이를 온체인 평판 자산으로 기록한다. 프로젝트는 큐브 데이터를 활용해 진성 유저를 식별하고, 사용자는 지속적 보상을 얻으며 정체성을 쌓는다.
- 45개 이상의 체인을 아우르는 옴니체인 구조와 L3 토큰 기반의 경제 모델은 플랫폼 성장과 토큰 가치 상승을 연결한다. 사용자, 프로젝트, 토큰이 맞물린 이 구조는 지속 가능한 플라이휠을 만들어낸다.
- 로빈후드 등과의 협업으로 효과를 입증한 레이어3는 온체인 슈퍼앱으로 확장 중이다. 레이어3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소셜파이, 인포파이와 연결되며, 웹2와 웹3를 잇는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다
▫️ 웹3 대중화를 위한 두 가지 열쇠: 탐색과 교육
▫️ 레이어3: 관심과 정체성을 위한 인프라
▫️ 레이어3의 토크노믹스와 시장에서의 증명
▫️ 레이어3: 대중화를 위한 발견과 학습의 레이어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작성자: 100y
- 블록체인은 국가다. 블록체인에서 컨센서스 알고리즘은 현실세계의 물리법칙이며, 밸리데이터는 국회의원이고,디앱은 기업이며, 네이티브 토큰은 기축 통화이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의 GDP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 MV=PQ의 관점으로보면 블록체인의 GDP가 성장하기 위해선 TVL과 화폐유통속도가 커야한다.
- 이러한측면에서 USDT는 블록체인의 GDP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이다. 통화량 관점에서 BTC, ETH 다음으로 세 번째로 높은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으며, 화폐유통속도도 계산해보면 약 10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치가 나온다. 하지만 아직 USDT에 특화된 블록체인은 없으며, 대부분 느리고 비싼 이더리움, 트론에서 활용되고 있다.
- 스테이블은 USDT를 위한 네트워크이다. 스테이블은 이를 위해 1) USDT에 특화된 기능들과 2) 블록체인 코어 최적화를 통한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 스테이블은 EIP-7702와 ERC-4337의 지원을 통해, 사용자들이 USDT만 보유하고 있어도 네트워크의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USDT 전송의 경우 무료로 가능하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스테이블은 보장된 블록공간(Guaranteed Blockspace), USDT 전송 애그리게이터(USDT Transfer Aggregator), 기밀 전송(Confidential Transfer) 등과 같은 USDT 특화 기능을 제공하여, 기업 사용자도 쉽게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확장성 측면에서 스테이블은 RPC부터 컨센서스, 실행, DB까지 전반적인 최적화를 도입한다. 초기에는 CometBFT 기반에 EVM 실행 레이어를 사용하지만, 추후에는 Autobahn이라는 DAG기반 BFT, Stable RPC, StableVM++, Stable DB 등 전방위적인 업그레이드를 도입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스테이블은 USDT0을 통해 기존의 거대한 USDT 유동성을 쉽게 끌어 모을 수 있으며, EVM과 100% 호환가능하기 때문에 USDT를 위한 다양한 디파이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고, USDT0 전송 수수료 무료로 인해 굉장히 빠른 속도로 USDT가 거래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특성들을 고려해보았을 때 스테이블은 MV=PQ 관점에서 막대한 규모의 온체인 GDP를 가질 잠재력이 있으며, USDT를 위한 초거대 디지털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블록체인은 국가다
▫️ USDT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 USDT에 최적화된 기능들
▫️ 블록체인 코어 최적화
▫️ 마치며: 초거대 디지털 국가의 등장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100y
- 블록체인은 국가다. 블록체인에서 컨센서스 알고리즘은 현실세계의 물리법칙이며, 밸리데이터는 국회의원이고,디앱은 기업이며, 네이티브 토큰은 기축 통화이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의 GDP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 MV=PQ의 관점으로보면 블록체인의 GDP가 성장하기 위해선 TVL과 화폐유통속도가 커야한다.
- 이러한측면에서 USDT는 블록체인의 GDP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이다. 통화량 관점에서 BTC, ETH 다음으로 세 번째로 높은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으며, 화폐유통속도도 계산해보면 약 10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치가 나온다. 하지만 아직 USDT에 특화된 블록체인은 없으며, 대부분 느리고 비싼 이더리움, 트론에서 활용되고 있다.
- 스테이블은 USDT를 위한 네트워크이다. 스테이블은 이를 위해 1) USDT에 특화된 기능들과 2) 블록체인 코어 최적화를 통한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 스테이블은 EIP-7702와 ERC-4337의 지원을 통해, 사용자들이 USDT만 보유하고 있어도 네트워크의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USDT 전송의 경우 무료로 가능하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스테이블은 보장된 블록공간(Guaranteed Blockspace), USDT 전송 애그리게이터(USDT Transfer Aggregator), 기밀 전송(Confidential Transfer) 등과 같은 USDT 특화 기능을 제공하여, 기업 사용자도 쉽게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확장성 측면에서 스테이블은 RPC부터 컨센서스, 실행, DB까지 전반적인 최적화를 도입한다. 초기에는 CometBFT 기반에 EVM 실행 레이어를 사용하지만, 추후에는 Autobahn이라는 DAG기반 BFT, Stable RPC, StableVM++, Stable DB 등 전방위적인 업그레이드를 도입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스테이블은 USDT0을 통해 기존의 거대한 USDT 유동성을 쉽게 끌어 모을 수 있으며, EVM과 100% 호환가능하기 때문에 USDT를 위한 다양한 디파이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고, USDT0 전송 수수료 무료로 인해 굉장히 빠른 속도로 USDT가 거래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특성들을 고려해보았을 때 스테이블은 MV=PQ 관점에서 막대한 규모의 온체인 GDP를 가질 잠재력이 있으며, USDT를 위한 초거대 디지털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블록체인은 국가다
▫️ USDT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 USDT에 최적화된 기능들
▫️ 블록체인 코어 최적화
▫️ 마치며: 초거대 디지털 국가의 등장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이슈] 이더리움 NFT 붐은 다시 오는가?
작성자: 인근
- NFT 시장은 크립토펑크 스윕, 퍼지펭귄의 확장, 문버드의 등장 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움직임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온체인 활동을 유발하여, ETH 소각을 촉진하고 이더리움의 디플레이션 구조를 실현한다.
- 이번 흐름은 NFT의 실물 IP화, 금융화, 그리고 ETH 가격 상승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L2 확산으로 메인넷 소각 구조는 일부 달라졌지만, 여전히 강력한 ETH 소각 효과는 유지된다.
- NFT는 이더리움 경제를 움직인 촉매 중 하나였고, 게임파이, 소셜파이, RWA 같은 다음 주자들이 그 뒤를 이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지금 NFT를 시작으로 이더리움의 가치가 함께 상승하는 공생의 출발점에 서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인근
- NFT 시장은 크립토펑크 스윕, 퍼지펭귄의 확장, 문버드의 등장 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움직임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온체인 활동을 유발하여, ETH 소각을 촉진하고 이더리움의 디플레이션 구조를 실현한다.
- 이번 흐름은 NFT의 실물 IP화, 금융화, 그리고 ETH 가격 상승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L2 확산으로 메인넷 소각 구조는 일부 달라졌지만, 여전히 강력한 ETH 소각 효과는 유지된다.
- NFT는 이더리움 경제를 움직인 촉매 중 하나였고, 게임파이, 소셜파이, RWA 같은 다음 주자들이 그 뒤를 이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지금 NFT를 시작으로 이더리움의 가치가 함께 상승하는 공생의 출발점에 서 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이슈] $ENA, 써클의 캐치업 트레이드가 될 수 있을까
작성자: 재원
- 단일 3.6억 달러 조달. StablecoinX, 현금 2.6억 달러 + 재단 현물 ENA 6천만 달러 확보 → 서명 직후 전액 현물 매수
- 유통량 10% 흡수 효과. 초기 프로그램으로 ENA 약 6.8억 개(유통량 10 %)를 영구 보유 자산화, 공급 쇼크 유발 전망
- NAV 레버리지 구조. ENA 상승 → NAV·주가 상승 → 후속 자본 조달 비용 하락 → 추가 매입 → ENA 상승, 마이크로스트래티지식 플라이휠 기대.
- 투자 접근 이원화: ENA 현물 및 USDE 주식 두 가지 투자 경로 제공, 한국 시장서 초기 수요 모멘텀 창출 가능성 존재.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단일 3.6억 달러 조달. StablecoinX, 현금 2.6억 달러 + 재단 현물 ENA 6천만 달러 확보 → 서명 직후 전액 현물 매수
- 유통량 10% 흡수 효과. 초기 프로그램으로 ENA 약 6.8억 개(유통량 10 %)를 영구 보유 자산화, 공급 쇼크 유발 전망
- NAV 레버리지 구조. ENA 상승 → NAV·주가 상승 → 후속 자본 조달 비용 하락 → 추가 매입 → ENA 상승, 마이크로스트래티지식 플라이휠 기대.
- 투자 접근 이원화: ENA 현물 및 USDE 주식 두 가지 투자 경로 제공, 한국 시장서 초기 수요 모멘텀 창출 가능성 존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 메가이더 생태계: EVM의 봉인을 해제하다
작성자: 시원
- 메가이더는 기존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여 초당 10만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와 밀리초 단위의 지연시간을 구현한 실시간 블록체인이다. 아이겐DA를 통한 데이터 가용성 확보, 분업화된 노드 구조, 그리고 EVM 블록과 미니 블록의 이중 구조를 통해 기존 블록체인에서 불가능했던 복잡한 온체인 연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 메가이더는 메가마피아라는 엄격한 선발 기준의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15개의 초기 프로젝트를 선발하고, 이들이 메가이더에서만 개발하도록 하는 배타적 생태계 구축 전략을 채택했다. 또한 커뮤니티 펀딩과 NFT 컬렉션을 활용해 진정한 기여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구축해 가짜 커뮤니티에 의한 프로젝트 파밍을 방지하는 차별화된 접근법을 택했다.
- 현재 메가이더 생태계는 GTE, 발할라 같은 고빈도 CLOB 거래소부터 펌프 파티, 스윕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연계 게임, 그리고 홉 네트워크의 탈중앙 VPN 등 메가마피아 프로젝트들을 주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시일 내에 메가이더의 높은 성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메가마피아 2.0 프로젝트들을 선발해 공개할 예정이다.
▫️ 메가이더(MegaETH): 이더리움 가상머신의 한계를 시험하다
▫️ 메가이더는 어떻게 실시간 블록체인을 구축했는가
▫️ 메가이더 생태계의 핵심: 메가마피아(MegaMafia)와 커뮤니티
▫️ 메가이더 생태계 톺아보기
▫️ 메가마피아 2.0: 메가이더 생태계의 두 번째 웨이브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시원
- 메가이더는 기존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여 초당 10만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와 밀리초 단위의 지연시간을 구현한 실시간 블록체인이다. 아이겐DA를 통한 데이터 가용성 확보, 분업화된 노드 구조, 그리고 EVM 블록과 미니 블록의 이중 구조를 통해 기존 블록체인에서 불가능했던 복잡한 온체인 연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 메가이더는 메가마피아라는 엄격한 선발 기준의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15개의 초기 프로젝트를 선발하고, 이들이 메가이더에서만 개발하도록 하는 배타적 생태계 구축 전략을 채택했다. 또한 커뮤니티 펀딩과 NFT 컬렉션을 활용해 진정한 기여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구축해 가짜 커뮤니티에 의한 프로젝트 파밍을 방지하는 차별화된 접근법을 택했다.
- 현재 메가이더 생태계는 GTE, 발할라 같은 고빈도 CLOB 거래소부터 펌프 파티, 스윕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연계 게임, 그리고 홉 네트워크의 탈중앙 VPN 등 메가마피아 프로젝트들을 주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시일 내에 메가이더의 높은 성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메가마피아 2.0 프로젝트들을 선발해 공개할 예정이다.
▫️ 메가이더(MegaETH): 이더리움 가상머신의 한계를 시험하다
▫️ 메가이더는 어떻게 실시간 블록체인을 구축했는가
▫️ 메가이더 생태계의 핵심: 메가마피아(MegaMafia)와 커뮤니티
▫️ 메가이더 생태계 톺아보기
▫️ 메가마피아 2.0: 메가이더 생태계의 두 번째 웨이브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이슈] 이더 머신: 이더리움의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꿈꾸며
작성자: 인근
-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전략이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이동하려는 분위기가 포착되고 있다. 이 흐름에서, 이더 머신(The Ether Machine)은 “능동적 ETH 생성 기업”이라는 새로운 모델로 ETH의 단순 보유를 넘어 수익을 창출하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 보유에 집중한 반면, 이더 머신은 ETH를 기반으로 한 레버리지 운영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수익 모델의 발생도 의미하지만, 금융, 기술, 규제 리스크가 중첩되며,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위험도 함께 발생시킨다.
- 이더 머신이 성공한다면 “포스트-마이크로스트래티지” 모델로 자리매김하겠지만, 실패 시 기관 투자자들의 온체인 전략 회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들의 향방은 앞으로 공시 자료, 규제 방향, 수익률 성과, 생태계 반응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인근
-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전략이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이동하려는 분위기가 포착되고 있다. 이 흐름에서, 이더 머신(The Ether Machine)은 “능동적 ETH 생성 기업”이라는 새로운 모델로 ETH의 단순 보유를 넘어 수익을 창출하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 보유에 집중한 반면, 이더 머신은 ETH를 기반으로 한 레버리지 운영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수익 모델의 발생도 의미하지만, 금융, 기술, 규제 리스크가 중첩되며,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위험도 함께 발생시킨다.
- 이더 머신이 성공한다면 “포스트-마이크로스트래티지” 모델로 자리매김하겠지만, 실패 시 기관 투자자들의 온체인 전략 회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들의 향방은 앞으로 공시 자료, 규제 방향, 수익률 성과, 생태계 반응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이슈] 스테이블코인 발행, 그 다음 활용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ASA 뉴스 #3)
작성자: ASA, 강희창, 모예드
[뉴스 #1] 코스콤, 한국 자본시장에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테스트 진행
✍️ 각 금융 시장과 글로벌 시장을 잇는 연결고리 (작성자: 강희창)
[뉴스 #2] DBS 은행, 블록체인 기반 프로그래머블 리워드 출시
✍️ DBS의 프로그래머블 리워드와 스테이블코인의 시너지 (작성자: 강희창)
[뉴스 #3] 모건스탠리: 스테이블코인이 전통적 은행 예금에 도전할 수 있다
✍️ 스테이블코인 vs 예금 토큰: 경쟁 혹은 보완 관계? (작성자: 모예드)
—
*[ASA 뉴스]는 2주마다 발행되는 뉴스레터로, 아시아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요 뉴스를 정리하고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ASA, 강희창, 모예드
[뉴스 #1] 코스콤, 한국 자본시장에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테스트 진행
[뉴스 #2] DBS 은행, 블록체인 기반 프로그래머블 리워드 출시
[뉴스 #3] 모건스탠리: 스테이블코인이 전통적 은행 예금에 도전할 수 있다
—
*[ASA 뉴스]는 2주마다 발행되는 뉴스레터로, 아시아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요 뉴스를 정리하고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뉴스레터] 웹3의 대중화, USDT 국가, 그리고 압도적인 성능 기반 생태계 (2025년 30주차)
[아티클]
- 레이어3: 웹3 대중화의 마지막 퍼즐
-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 메가이더 생태계: EVM의 봉인을 해제하다
[이슈]
- 이더리움 NFT 붐은 다시 오는가?
- $ENA, 써클의 캐치업 트레이드가 될 수 있을까
- 이더 머신: 이더리움의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꿈꾸며
🌎 30주차 뉴스레터 전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아티클]
- 레이어3: 웹3 대중화의 마지막 퍼즐
-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 메가이더 생태계: EVM의 봉인을 해제하다
[이슈]
- 이더리움 NFT 붐은 다시 오는가?
- $ENA, 써클의 캐치업 트레이드가 될 수 있을까
- 이더 머신: 이더리움의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꿈꾸며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이슈] 돈복사 버그에 걸린(릴) 하이퍼리퀴드
작성자: 재원
- 하이퍼리퀴드는 0.03% 수수료와 높은 거래량으로 연 6억~9억 달러를 벌고, 수익의 97%를 HYPE 바이백에 재투자한다.
- 빌더 코드는 누구나 쉽게 하이퍼리퀴드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로, 약 200여 개의 빌더들이 2,300만 달러를 벌었으며 초기 비용은 100 USDC에 불과하다.
- HIP‑3는 누구나 HYPE 100만 개를 스테이킹해 신규 선물 시장을 열고 수수료의 최대 50%를 가져갈 수 있게 하며, CoreWriter는 HyperCore에 직접 트랜잭션을 생성(write precompiles)하고 주문을 제출할 수 있게 한다.
- CEX와의 경쟁은 단기적 리스크지만, 하이퍼리퀴드는 지갑, 브로커 및 기타 프로토콜들을 위한 백엔드 유동성 인프라를 지향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독자적인 확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하이퍼리퀴드는 0.03% 수수료와 높은 거래량으로 연 6억~9억 달러를 벌고, 수익의 97%를 HYPE 바이백에 재투자한다.
- 빌더 코드는 누구나 쉽게 하이퍼리퀴드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로, 약 200여 개의 빌더들이 2,300만 달러를 벌었으며 초기 비용은 100 USDC에 불과하다.
- HIP‑3는 누구나 HYPE 100만 개를 스테이킹해 신규 선물 시장을 열고 수수료의 최대 50%를 가져갈 수 있게 하며, CoreWriter는 HyperCore에 직접 트랜잭션을 생성(write precompiles)하고 주문을 제출할 수 있게 한다.
- CEX와의 경쟁은 단기적 리스크지만, 하이퍼리퀴드는 지갑, 브로커 및 기타 프로토콜들을 위한 백엔드 유동성 인프라를 지향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독자적인 확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이슈] 당신은 블록체인을 이해하려고 하는가?
작성자: 강희창
- 오늘 미국 행정명령 “미국의 디지털 금융기술 주도력 강화”의 워킹그룹은 미국이 블록체인 산업을 선도하고 ‘크립토의 황금기(Golden Age of Crypto)’ 를 열 수 있는 방안을 담은 166쪽짜리 보고서를 발간했다.
-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i) 디지털 자산 시장을 위한 공통 분류체계 마련, (ii) 은행과 블록체인 산업 간 연계 강화, (iii) 스테이블코인 도입 가속화, (iv) 불법 금융행위 및 과세 가이드라인 제시 등이다.
- 현실에서도 전통 금융기관(JPMorgan Chase 등)과 블록체인 기업들(Coinbase, Robinhood 등) 간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는 실제 금융 혁신을 향한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이처럼 미국과 같은 국가들이 앞서가고 있지만, 한국 역시 보다 적극적이고 열린 자세로 ‘제대로 살펴보고 이해해 보자’는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지금부터 온체인 서비스들과 인프라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흐름을 따라잡을 수 있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강희창
- 오늘 미국 행정명령 “미국의 디지털 금융기술 주도력 강화”의 워킹그룹은 미국이 블록체인 산업을 선도하고 ‘크립토의 황금기(Golden Age of Crypto)’ 를 열 수 있는 방안을 담은 166쪽짜리 보고서를 발간했다.
-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i) 디지털 자산 시장을 위한 공통 분류체계 마련, (ii) 은행과 블록체인 산업 간 연계 강화, (iii) 스테이블코인 도입 가속화, (iv) 불법 금융행위 및 과세 가이드라인 제시 등이다.
- 현실에서도 전통 금융기관(JPMorgan Chase 등)과 블록체인 기업들(Coinbase, Robinhood 등) 간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는 실제 금융 혁신을 향한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이처럼 미국과 같은 국가들이 앞서가고 있지만, 한국 역시 보다 적극적이고 열린 자세로 ‘제대로 살펴보고 이해해 보자’는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지금부터 온체인 서비스들과 인프라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흐름을 따라잡을 수 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포필러스가 글로벌 토큰화 연합체(Tokenized Asset Coalition)에 합류합니다
최근 1년 동안 RWA 자산들은 거의 $300B에 도달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있어 하나의 조직에서 일관된 목소리와 리서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써클, 코인베이스, rwa.xyz를 시작으로 a16z, aave, Galaxy Digital 등이 멤버로 운영되고 있는 TAC(Tokenized Asset Coalition)가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포필러스는 이번 코호트에 S&P Global, Fidelity 등과 함께 리서치 회사로는 최초로 TAC에 합류하였습니다.
TAC 아시아 시장 확장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합류하여 앞으로 아시아 RWA 시장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X 포스트
📰 블록미디어 기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최근 1년 동안 RWA 자산들은 거의 $300B에 도달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있어 하나의 조직에서 일관된 목소리와 리서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써클, 코인베이스, rwa.xyz를 시작으로 a16z, aave, Galaxy Digital 등이 멤버로 운영되고 있는 TAC(Tokenized Asset Coalition)가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포필러스는 이번 코호트에 S&P Global, Fidelity 등과 함께 리서치 회사로는 최초로 TAC에 합류하였습니다.
TAC 아시아 시장 확장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합류하여 앞으로 아시아 RWA 시장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4👏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