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의 새로운 모델 에이닷엑스 소식 ]
요즘은 조용하지만 에이닷이 처음 나왔을때만 해도 상당히 많은 분들이 재밌게 활용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 기억속에서 멀어지던 차 새로운 모델인 A.X(에이닷엑스)4.0을 공했다는 소식인데요👍👍
✅ 에이닷엑스 간략 정리
- 허깅페이스를 통해 테스트 가능
- 한국어 처리 효율성이 높음(역시 국산 모델)
- 네이버, LG, KT 등 다른 국산 모델과는 다르게 Qwen2.5 기반으로 한국어 데이터를 파인튜닝
- GPT-4o보다 토큰 효율이 약 33% 우수하다고
- 내부망에서 데이터 유출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됨
🤔 대기업들이 이런 시도를 통해 우리나라만의 경쟁력을 찾아가서 글로벌 흐름을 조금이라도 쫓아가주셨으면 좋겠네요🙏
👉 허깅페이스 보기 👈
요즘은 조용하지만 에이닷이 처음 나왔을때만 해도 상당히 많은 분들이 재밌게 활용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 기억속에서 멀어지던 차 새로운 모델인 A.X(에이닷엑스)4.0을 공했다는 소식인데요👍👍
✅ 에이닷엑스 간략 정리
- 허깅페이스를 통해 테스트 가능
- 한국어 처리 효율성이 높음(역시 국산 모델)
- 네이버, LG, KT 등 다른 국산 모델과는 다르게 Qwen2.5 기반으로 한국어 데이터를 파인튜닝
- GPT-4o보다 토큰 효율이 약 33% 우수하다고
- 내부망에서 데이터 유출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됨
🤔 대기업들이 이런 시도를 통해 우리나라만의 경쟁력을 찾아가서 글로벌 흐름을 조금이라도 쫓아가주셨으면 좋겠네요🙏
👉 허깅페이스 보기 👈
Forwarded from 상상인 AI/디지털자산 김경태
[KT 믿:음 2.0 첫 자체 사용 후기]
KT에서 만들었다고 하니까 시장에서 큰 기대감은 없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데이터 준비부터 기초부터 차근차근 훈련시킨 (From-the-scratch) 국산 자체기술 AI
소위 말해 소버린AI 자격요건을 갖춘 모델로써는 성능이 상당히 양호합니다
아직 자체적인 검색 기능(RAG)와 멀티모달 기능은 없고 텍스트 데이터만 지원하긴 하지만
1. 기초 논리
2. 추상적 사고 기능
3. 논리적 사고 기능
4. 법적&윤리적 문제 방지 기능
을 상당한 수준으로 구현했습니다.
개인적인 사용 체감 성능은 330억개 매개변수를 쓴 큰 모델인 엑사원보다 Thinking 기능 없이 110억개 매개변수로 가볍게 구현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수준으로 느껴집니다.
어제 SKT에서 출시한 모델은 Qwen 2.5 파인튜닝 버전이라 자체적인 기술력이 있다고 보긴 어려웠고 성능도 인상적이진 않았습니다만 오늘 KT 믿:음 모델은 네이밍 센스는 좀 난해하지만.. 통신사 AI대결에선 판정승을 줘도 한 치의 부족함이 없습니다!
이정도면 국내 소버린 AI 리스트에 LG, 네이버, 카카오 + KT를 붙여도 될 것 같습니다!
***
벤치마크가 아직 나오지 않아서 엑사원(LG), 하이퍼클로바(네이버), 카나나(카카오)와 숫자로 비교하긴 어렵습니다만...
솔직히 LLM 벤치마크는 이제 AI가 핫해지고 경쟁이 심화된 이후로는 공개된 벤치마크 스코어가 높아질때까지 훈련시키는 쪽으로 벤치마크의 원 목적이 변질된 점도 분명 있습니다.
그렇기에 AI관련 기사를 보실 때 "GPT보다 높은 벤치마크 점수!" 등 관련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실성능은 본인의 체감성능 또는 LLM Arena 같은 여러 랭킹 사이트를 참고하는게 더 객관적인 듯 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485866?sid=105
KT에서 만들었다고 하니까 시장에서 큰 기대감은 없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데이터 준비부터 기초부터 차근차근 훈련시킨 (From-the-scratch) 국산 자체기술 AI
소위 말해 소버린AI 자격요건을 갖춘 모델로써는 성능이 상당히 양호합니다
아직 자체적인 검색 기능(RAG)와 멀티모달 기능은 없고 텍스트 데이터만 지원하긴 하지만
1. 기초 논리
2. 추상적 사고 기능
3. 논리적 사고 기능
4. 법적&윤리적 문제 방지 기능
을 상당한 수준으로 구현했습니다.
개인적인 사용 체감 성능은 330억개 매개변수를 쓴 큰 모델인 엑사원보다 Thinking 기능 없이 110억개 매개변수로 가볍게 구현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수준으로 느껴집니다.
어제 SKT에서 출시한 모델은 Qwen 2.5 파인튜닝 버전이라 자체적인 기술력이 있다고 보긴 어려웠고 성능도 인상적이진 않았습니다만 오늘 KT 믿:음 모델은 네이밍 센스는 좀 난해하지만.. 통신사 AI대결에선 판정승을 줘도 한 치의 부족함이 없습니다!
이정도면 국내 소버린 AI 리스트에 LG, 네이버, 카카오 + KT를 붙여도 될 것 같습니다!
***
벤치마크가 아직 나오지 않아서 엑사원(LG), 하이퍼클로바(네이버), 카나나(카카오)와 숫자로 비교하긴 어렵습니다만...
솔직히 LLM 벤치마크는 이제 AI가 핫해지고 경쟁이 심화된 이후로는 공개된 벤치마크 스코어가 높아질때까지 훈련시키는 쪽으로 벤치마크의 원 목적이 변질된 점도 분명 있습니다.
그렇기에 AI관련 기사를 보실 때 "GPT보다 높은 벤치마크 점수!" 등 관련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실성능은 본인의 체감성능 또는 LLM Arena 같은 여러 랭킹 사이트를 참고하는게 더 객관적인 듯 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485866?sid=105
[ Higgsfield의 Soul은 진짜 인간의 영혼을 의미하는것 같다]
얼마전 공유드렸던 Higgsfield의 Canvas도 미친 기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Soul 업데이트와 함께 공개된 결과물들이 조금 충격적일 정도입니다😱
Soul은 사람처럼 보이는 고화질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모델이라 소개 하고 있는데 실제로 지금까지 공개된 이미지들을 보면 너무 놀랍네요🚀🚀
외국인 유저가 Soul을 활용해 만들어본 '오징어게임'의 비하인드씬을 첨부해 봤는데 구독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만약 정비의 문화혁명 채널에서 오징어게임 미국판 후속편 촬영장면이 유출됐다는 글과 함께 올라왔다면...?🤯
승오님이 말아주는 영화이야기라면 우리 모두 AI라고 의심하지 않고 속아 넘어갔을거 같네요😅😅
👉 원문 보기 👈
얼마전 공유드렸던 Higgsfield의 Canvas도 미친 기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Soul 업데이트와 함께 공개된 결과물들이 조금 충격적일 정도입니다😱
Soul은 사람처럼 보이는 고화질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모델이라 소개 하고 있는데 실제로 지금까지 공개된 이미지들을 보면 너무 놀랍네요🚀🚀
외국인 유저가 Soul을 활용해 만들어본 '오징어게임'의 비하인드씬을 첨부해 봤는데 구독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만약 정비의 문화혁명 채널에서 오징어게임 미국판 후속편 촬영장면이 유출됐다는 글과 함께 올라왔다면...?🤯
승오님이 말아주는 영화이야기라면 우리 모두 AI라고 의심하지 않고 속아 넘어갔을거 같네요😅😅
👉 원문 보기 👈
모든 오픈 소스는 공짜는 아닙니다
꽤 많은 어그로를 끌었던 Cluely 모델을 따라한 'Glass' 는 Y Combinator의 리트윗을 받으며 '와! 4일만에 이런걸 해냈다고?' 라는 칭찬을 받았지만, 이를 향해 이의 제기한 개발자가 나왔습니다.
일명 'Cheating Daddy' 의 프로젝트로, 해당 프로젝트는 GPL V3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3) 라이센스로, '저작권은 없으며, 계속 없어야 한다' 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즉, 해당 소스를 변경을 할시, 그 어떤 파생 상품이 나와도 저작권은 쭉 없어야 하는게 룰입니다.
Glass의 코드를 뜯어보면 Cheating Daddy와 유사한 수준이 아니라 똑같았지만, (지금은 수정되었지만) Apache 2.0, 저작권을 개인이 가질수 있는 라이센스, 로 변경을 하여 저격 당했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라이센스 위반' 으로 법정 싸움까지도 갈수 있는 수준입니다.
비록 '오픈소스' 가 AI 발전에 큰 도움을 줬지만, 절대로 라이센스에 어긋난 프로젝트를 개발들은 안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큰일 납니다. .. 🦪 큰일나..
꽤 많은 어그로를 끌었던 Cluely 모델을 따라한 'Glass' 는 Y Combinator의 리트윗을 받으며 '와! 4일만에 이런걸 해냈다고?' 라는 칭찬을 받았지만, 이를 향해 이의 제기한 개발자가 나왔습니다.
일명 'Cheating Daddy' 의 프로젝트로, 해당 프로젝트는 GPL V3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3) 라이센스로, '저작권은 없으며, 계속 없어야 한다' 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즉, 해당 소스를 변경을 할시, 그 어떤 파생 상품이 나와도 저작권은 쭉 없어야 하는게 룰입니다.
Glass의 코드를 뜯어보면 Cheating Daddy와 유사한 수준이 아니라 똑같았지만, (지금은 수정되었지만) Apache 2.0, 저작권을 개인이 가질수 있는 라이센스, 로 변경을 하여 저격 당했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라이센스 위반' 으로 법정 싸움까지도 갈수 있는 수준입니다.
비록 '오픈소스' 가 AI 발전에 큰 도움을 줬지만, 절대로 라이센스에 어긋난 프로젝트를 개발들은 안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큰일 납니다. .. 🦪 큰일나..
AI MASTERS
이번엔 오랜만에 듣는 Ilya Sutskever 소식입니다. Meta가 무려 44조원 (320억 달러) 오퍼를 했지만 Ilya 도 해당 오퍼를 거절했습니다. Meta는 여기에 굴하지 않고, SSI CEO 인 Daniel Gross 와 깃허브 창업자인 Nat Friedman 도 데려올라고 이야기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뉴스
SSI의 Daniel Gross가 공식적으로 SSI를 떠났습니다.
누가봐도 META 갈꺼 같지만 과연 Daniel Gross는 어디로 갈까요?
[ 커서에서 클로드 핵심 인재 2명 영입 ]
최근 메타가 AI인재들을 영입하고 있다는 소식을 여러차례 공유드렸죠😉😉
그런데 이게 메타뿐 아니라 AI 회사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자 마치 스포츠팀끼리의 선수 영입구조와 유사하다는 글처럼 인재 영입 전쟁의 서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오늘 전해드릴 소식으로는 Cursor를 운영하는 Anysphere에서 Anthropic Claude Code의 리드 엔지니어와 프로덕트 매니저를 영입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이 시장이 더 치열하고 뛰어난 인재들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겠죠😎
AI Masters 운영자들도 마음의 준비를 다 해두었으니 얼른 뺏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 원문 보기 👈
최근 메타가 AI인재들을 영입하고 있다는 소식을 여러차례 공유드렸죠😉😉
그런데 이게 메타뿐 아니라 AI 회사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자 마치 스포츠팀끼리의 선수 영입구조와 유사하다는 글처럼 인재 영입 전쟁의 서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오늘 전해드릴 소식으로는 Cursor를 운영하는 Anysphere에서 Anthropic Claude Code의 리드 엔지니어와 프로덕트 매니저를 영입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이 시장이 더 치열하고 뛰어난 인재들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겠죠😎
AI Masters 운영자들도 마음의 준비를 다 해두었으니 얼른 뺏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