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AI를 그대로 믿으면 안되는 이유 ]

이 이야기를 본 사람들이 꽤 있을수 있지만 경각심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에서 한번 공유해봅니다🫡

이제 네이버 블로그도 그냥 믿으면 안되고, AI가 알려주는 내용도 꼭 한번 팩트체크를 해야하는 세상이네요😱😱

독버섯도 요리법을 알려주는데 모르고 진짜 요리해 먹다가 큰일나는거거든요🤯

AI콘텐츠 항상 조심하자는 내용을 담은 PSA 영상 다시 한 번 공유드립니다😉😉

👉 출처 👈
OpenAI 의 전 CTO 의 스타트업 thinking machine lab 도 인재채용전쟁에 뛰어듭니다.

전직장에 대한 복수심인지 모르겠지만, 평균적으로 OpenAI 보다 2배는 챙겨준다고 합니다

원본 링크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구글 랩스의 AI 가상 시착도구 Doppl ]

패션회사들이 가장 반길만한 소식이 아닐까 합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서비스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 크게 성공한 모델이 없었던것 같네요🤔
- 바이트댄스의 Any Dressing
- 젠스파크 Fashion
- 알리바바의 Outfit Anyone

하지만 이번에 구글랩스에서 공개한 Doppl은 공개와 함께 반응이 좋습니다👍

내가 입어보고 싶은 옷이 실제로 잘 어울리는지 미리 입어볼수 있으며 단순 사진만이 아닌 영상으로도 생성이 되므로 더 자연스러운 내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해요😎😎

현재 iOS와 Android로 미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원문 보기 👈
Forwarded from SB Crypto
피그마가 IPO를 진행하려고 하나봅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신청서를 냈다고 하네요. 나름 디자인 SaaS 1등 + AI 테마기업인데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https://www.figma.com/blog/s1-public/
Forwarded from AI MASTERS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피그마AI의 시대. Config2024 키노트 요약

어도비에 인수되지 않은 피그마가 AI기능을 포함시키며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네요🔥

Config2024에 공개된 몇 가지 기능을 보니 이제 텍스트만 입력하면 UI가 출력이 되는 시대가 왔음이 느껴지는군요🚀🚀

피그마AI 간단 리뷰
- 베타서비스로 먼저 제공되며 25년 일반 유저에게 제공예정, 가격은 미정
1) Make Dsign: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앱이나 웹에 대한 디자인을 편집 가능하도록 레이어와 텍스트로 디자인 해줌
2) Visual Serach:
스크린샷이든 아이콘이든 필요한 레페런스를 넣으면 유사한 디자인을 찾아줌
3) Make Prototype:
디자인 작업 화면간에 자동으로 연결된 프로토타입 기능을 배치하여 프레임 간의 플로우를 생성해줌
4) Replace Content:
작성된 텍스트나 디자인을 기반으로 나머지 요소의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거나 다른 언어로 번역해줌
5) Rename Layers:
클릭 한 번으로 모든 레이어에 의미가 있는 이름을 지정하여 파일을 구성

✍️ 이 외에도 슬라이드 관련 내용도 굉장히 흥미롭게 봤는데, 파워포인트 긴장하지 않으면 피그마한테 밀리겠더라구요😅😅

👉 Config2024 영상 보기 👈
Meta: "MSL" 창설.. 인재 영입에 집중

이번주 AI 뉴스중에는 제일 놀라웠던건 Meta의 성공적인 AI 인재 영입이였습니다. Sam Altman의 주장과 다르게, Meta의 공격적인 채용으로 인해, GPT 메인 개발자들 부터, o1의 개발자들까지 대거 영입에 성공했습니다.

기대했던 Llama4의 결과는 엄청난 실패였지만, 과연 이번 대거 영입을 통해서 메타는 다시 AI의 왕관의 자리로 올라갈수 있을까요?

이번주 AI 뉴스 읽기
... 아니면 듣기 유튜브 스포티파이 팟빵
머신 러닝의 대가이자 현재 메타의 Cheif AI Scientist 로 일하는 중인 1960년생 'Yann LeCun' 이 이번에 채용된 Meta의 CAO (Cheif AI Officer) 인 1997년생 Alexandr Wang의 트윗을 팔로우 했습니다.

Yann 은 상당하게 보수적으로 'AGI'에 대한 접근을 해왔으며, 지금의 AI인 LLM은 AGI의 길이 아니다! 라는 주장을 계속 해왔지만,

Yann의 보스가 될 에정인 Alexandr AI Agent를 통해서 Superintelligence가 만들어진다고 주장하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리서치보다, 빨리 만들고 치고 나가야할 acclerator 중 한명인거죠.

단순 나이 차이를 넘어서, 서로간의 AGI에 대한 시선 조차 많이 달랐으며, 이제서야 팔로우 한것도 조금 신기하기도 합니다. 나름 Meta의 AI 키 플레이어들의 협업은 순조롭게 진행이 될까요?
[ 속보 ]

미드저니가 드디어 API 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금주 오피스 아워 시간에서 밝혔습니다.😚

다만 가격도 매우 비쌀 예정이며, 극 소수 유저들 대상으로만 공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OpenAI 에선 공식적으로 이번 로빈후드에서 거래되는 “OpenAI token” 은 OpenAI 의 지분이 없다고 공개했습니다.
[ 샤오미 AI Glasses 출시 ]

중국의 스마트 글래스로는 얼마전 소개드린 Rokid도 있었는데 이제 샤오미도 출시한다고 합니다👍

(샤오미에 따르면) 디자인과 기능은 Meta Ray-Ban과 유사하다고 하는데 가격은 겨우 1,999위안(약 38만원)😉😉

아직 중국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고 하니 대륙의 실수가 한번 나오길 바래봅니다🙏

👉 원문 보기 👈
PSA:

제가 이전에 '3개월에 18만원이에요!' 라고 말한 기억이 있어서 정정해드립니다.

한달간 180,000 원입니다, 즉 3개월간 18만원을 내는것이 아닌, 매달 50% 할인인 18만원을 내는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왜 AI 연구소는 점점 대형 스포츠 구단처럼 움직이는가

AI 흐름에 대해 약간은 Cynic한 뷰를 유지하는 세콰이어의 데이비드 칸이 6/17일 썼던 글. 다시 읽어보니 흥미로운 포인트가 많네요.

——————————-

🏟 스포츠팀처럼 된 이유: ‘인재’가 게임의 핵심이 되었기 때문

AI 경쟁의 중심축이 ‘컴퓨트 → 인재’로 이동
작년엔 누가 더 큰 클러스터와 컴퓨트 자원을 갖췄는지가 중요했지만, 지금은 누가 더 뛰어난 AI 인재(연구자, 엔지니어, PM 등)를 보유했느냐가 승부를 가름함.

스타 인재의 몸값이 천정부지
소위 ‘GPT-4 수준’ 모델을 다룰 수 있는 인재는 수천만~수억 달러 단위 보상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일부는 수십억 달러 가치로 평가됨

AI 인재는 언제든지 ‘포치’ 가능
스포츠 선수들은 계약기간이 있지만, AI 인재는 대부분 짧은 고용계약이나 유동적 계약 구조에 있기 때문에 언제든 더 나은 조건으로 다른 팀(회사)로 이동 가능 → 전례 없는 영입 경쟁 발생.

AI 연구소 = 자본 + 스타 인재 조합
구글, 메타, 오픈AI, 앤스로픽 등은 마치 스포츠팀처럼
‘슈퍼리치 구단주(빅테크 자본)’가 지원하고,
스타급 인재를 스카우트해 우승(기술적 돌파구)을 노리는 구조가 됨.

https://www.sequoiacap.com/article/why-ai-labs-are-starting-to-look-like-sports-teams/


챗GPT의 추가 분석

🧠 1. 컴퓨트는 더 이상 희소하지 않음 → 차별화 포인트가 아님
작년까지는 "누가 더 큰 클러스터와 GPU를 갖췄냐"가 경쟁력의 핵심이었지만 이제 NVIDIA H100도 돈만 있으면 구할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음.

즉, 하드웨어(컴퓨트)만으로는 경쟁우위를 만들기 어려움.

🧠 2. 모델 성능 향상의 핵심은 ‘새로운 아이디어’에서 나옴
GPT-4 이후, 단순한 모델 크기 증가만으로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이 어려워짐. 이제는 모델 아키텍처, 훈련 방법, 추론 최적화, RL, 메모리 등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필요.

🧠 3. 재사용 가능한 구조 속에서 ‘미세한 차이’가 결정적
대부분의 AI 기업이 오픈소스 모델이나 기존 아키텍처 위에서 개발을 함. 따라서 같은 재료(데이터+컴퓨트)로도 누가 더 잘 조합하고 튜닝하느냐가 중요함.

이는 실력 있는 팀이냐 아니냐에 따라 성과가 크게 갈림.

🧠 4. 인재는 유일하게 복제 불가능한 자산
컴퓨트는 살 수 있고, 데이터는 수집하거나 빌릴 수 있지만,
‘딥마인드 출신 최상위 연구자’나 ‘GPT급 모델을 훈련시켜 본 리더’는 돈으로도 쉽게 못 구함.

특히 이런 인재는 학습 경험과 실전 감각이 내재화된 복제불가능한 자산임.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저작물의 저작권 등록 안내서 ]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생성형 AI 활용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등록 안내서를 발표했습니다. (2025년 6월 기준)

앞으로 AI로 창작 활동을 하시는 분들께 정말 중요한 내용이라 핵심만 딱 정리해 드릴게요🫡🫡

가장 중요한 원칙: "인간의 창작적 기여"가 있는가?
- 결론부터 말하면 AI를 '어떻게' 썼느냐에 따라 저작권 등록 가능 여부 갈림
👍 등록 가능 (O)
- AI를 '도구'로 사용하고 인간의 창작성이 들어간 경우
- AI가 만든 결과물을 그대로 쓰지 않고 인간이 수정·가공·편집하여 새로운 창작성을 더한 경우
- AI가 만든 여러 결과물을 인간이 창작적으로 선택하고 배열하여 만든 편집 저작물 (예: AI 이미지로 만든 웹툰, 영상)
- 인간이 만든 스케치, 그림, 글을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완성한 경우
👎 등록 불가능 (X)
- AI가 스스로 만든 '산출물' 그 자체
- 프롬프트만 입력해서 나온 결과물을 아무런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 AI가 자동으로 생성한 그림, 음악, 글 등은 인간의 창작물이 아니므로 저작권 등록이 불가능

내 창작성을 인정받으려면? 🤔
- 법원은 '작자 나름대로의 정신적 노력의 소산'이 담겨있고 '다른 저작물과 구별될 수 있는 정도'면 창작성 인정함
- AI 작업에서는 아래 두 가지가 중요
1) 통제가능성: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창작 과정을 주도했는가?
2) 예측가능성: 내가 의도한 대로 결과물이 나왔는가?
- 단순히 "고양이 그려줘" 같은 프롬프트는 창작 기여로 보기 어렵지만
- 인페인팅, 아웃페인팅, 레이어 편집, 직접 드로잉 추가 등 구체적인 후작업을 통해 내 의도를 표현했다면 그 부분은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음


저작권 등록 신청할 때 주의할 점!
- '인간 창작 부분'과 'AI 생성 부분'을 명확히 구분해서 신청서에 기재해야 함
예시) "AI로 생성한 이미지(배경) 위에 인간이 직접 캐릭터를 드로잉하고 색감을 보정함" 과 같이 구체적으로 작성
- AI가 100% 만든 걸 본인이 창작했다고 속여서 등록하면 '허위 등록'으로 법적 문제가 생겨 거짓 신청 시 처벌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요약)
Q. 프롬프트만 잘 쓰면 저작권 등록되나요?
A. 아니요. 프롬프트 입력만으로는 나온 결과물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하기 어렵습니다. 프롬프트 자체는 '아이디어'로 취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프롬프트 자체가 소설이나 시처럼 문학적 창작성이 있다면 그 '프롬프트 텍스트' 자체는 저작물이 될 수 있습니다.)

Q. AI가 만든 그림에 제가 리터칭만 살짝 했는데, 등록되나요?
A. '사소한 변경' (단순 색 보정, 크기 조절 등)을 넘어서는 '창작적인' 수정이 있어야 합니다. 누가 봐도 원본과 다른 개성과 노력이 담겨야 합니다.

Q. AI가 작곡한 음악에 제가 노래만 불렀다면?
A. AI가 만든 멜로디와 가사는 저작권 등록이 안 됩니다. 하지만 노래를 부른 행위는 '실연(實演)'으로, '저작인접권'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공개했던 'Copyright and Artifical Intelligence' 보고서와 매우 유사하게 정리된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궁금하신 분은 클릭!

🧐 이미 AI 콘텐츠가 쓰나미처럼 쏟아지는 세상이 왔죠. AI를 활용해 '나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표현'을 얼마나 녹여내는지가 저작권의 핵심이 되겠습니다🔥 앞으로 저작권의 보호까지 받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터가 되기 위해 정독 한 번씩 하시죠🙏🙏

👉 원문 보기 👈
[ SK의 새로운 모델 에이닷엑스 소식 ]

요즘은 조용하지만 에이닷이 처음 나왔을때만 해도 상당히 많은 분들이 재밌게 활용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 기억속에서 멀어지던 차 새로운 모델인 A.X(에이닷엑스)4.0을 공했다는 소식인데요👍👍

에이닷엑스 간략 정리
- 허깅페이스를 통해 테스트 가능
- 한국어 처리 효율성이 높음(역시 국산 모델)
- 네이버, LG, KT 등 다른 국산 모델과는 다르게 Qwen2.5 기반으로 한국어 데이터를 파인튜닝
- GPT-4o보다 토큰 효율이 약 33% 우수하다고
- 내부망에서 데이터 유출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됨

🤔 대기업들이 자꾸자꾸 이런 시도를 많이 해서 우리나라만의 경쟁력을 찾아가서 글로벌 흐름을 조금이라도 쫓아가주셨으면 좋겠네요🙏

👉 허깅페이스 보기 👈
2025/07/04 02:27:48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