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소프트웨어 품질 붕괴, 그리고 재앙이 일상화된 과정
- Apple의 Calculator 앱이 32GB RAM을 누수 시킨 사건은 소프트웨어 품질 위기 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
- VS Code, Chrome, Discord, Spotify 등 주요 소프트웨어들의 비정상적인 메모리 사용량이 방치되고 있으며, 시스템 수준의 실패도 일상화됨
- **CrowdStrike의 …
https://news.hada.io/topic?id=23573
- Apple의 Calculator 앱이 32GB RAM을 누수 시킨 사건은 소프트웨어 품질 위기 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
- VS Code, Chrome, Discord, Spotify 등 주요 소프트웨어들의 비정상적인 메모리 사용량이 방치되고 있으며, 시스템 수준의 실패도 일상화됨
- **CrowdStrike의 …
https://news.hada.io/topic?id=23573
React 재단 출범 : React와 React Native의 새로운 보금자리
- Meta가 10년 넘게 오픈소스로 운영해온 React 를 오픈소스 커뮤니티 중심의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 로 전환하기 위해 React Foundation을 설립
- 웹뿐 아니라 모바일·데스크톱·콘솔·혼합현실 기기 까지 확장된 React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
- 새로운 React Foundation 은 **Linux Foundatio…
https://news.hada.io/topic?id=23572
- Meta가 10년 넘게 오픈소스로 운영해온 React 를 오픈소스 커뮤니티 중심의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 로 전환하기 위해 React Foundation을 설립
- 웹뿐 아니라 모바일·데스크톱·콘솔·혼합현실 기기 까지 확장된 React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
- 새로운 React Foundation 은 **Linux Foundatio…
https://news.hada.io/topic?id=23572
예제가 최고의 문서임
- 개발자들이 문서를 검색할 때 95%는 간단한 예제만으로 충분 하지만, 공식 소스에서 예제를 찾을 수 있는 경우는 5%에 불과
- 공식 기술 문서는 기본적으로 해당 생태계에 깊이 몰입한 사람을 대상 으로 작성되어, 여러 프로젝트와 언어를 오가는 개발자들에게는 컨텍스트 복원에 상당한 정신적 에너지 가 필…
https://news.hada.io/topic?id=23571
- 개발자들이 문서를 검색할 때 95%는 간단한 예제만으로 충분 하지만, 공식 소스에서 예제를 찾을 수 있는 경우는 5%에 불과
- 공식 기술 문서는 기본적으로 해당 생태계에 깊이 몰입한 사람을 대상 으로 작성되어, 여러 프로젝트와 언어를 오가는 개발자들에게는 컨텍스트 복원에 상당한 정신적 에너지 가 필…
https://news.hada.io/topic?id=23571
왜 셀프 호스팅을 해야 하는가?
- 개인 서비스의 셀프 호스팅 을 통해 빅테크와 정부의 감시로부터 벗어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주권을 확보할 수 있음
- 캘린더, 연락처, 위치 정보 등 민감한 개인 데이터 는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노출하며, Google이나 Apple 같은 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관리할 필요가 있음
- 기술 기업들이 **이유 없…
https://news.hada.io/topic?id=23570
- 개인 서비스의 셀프 호스팅 을 통해 빅테크와 정부의 감시로부터 벗어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주권을 확보할 수 있음
- 캘린더, 연락처, 위치 정보 등 민감한 개인 데이터 는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노출하며, Google이나 Apple 같은 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관리할 필요가 있음
- 기술 기업들이 **이유 없…
https://news.hada.io/topic?id=23570
Figure 03 공개 - 3세대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 Figure AI 가 범용 작업 수행과 사람으로부터 직접 학습이 가능한 3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Figure 03 을 발표, 가정용·상업용·대량 생산을 목표로 함
- 독자 개발한 비전-언어-행동 AI인 Helix 를 위해 설계된 차세대 센서 시스템과 손 시스템을 탑재, 프레임 속도 2배·지연 시간 1/4 감소·시야각 60% 확대를…
https://news.hada.io/topic?id=23565
- Figure AI 가 범용 작업 수행과 사람으로부터 직접 학습이 가능한 3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Figure 03 을 발표, 가정용·상업용·대량 생산을 목표로 함
- 독자 개발한 비전-언어-행동 AI인 Helix 를 위해 설계된 차세대 센서 시스템과 손 시스템을 탑재, 프레임 속도 2배·지연 시간 1/4 감소·시야각 60% 확대를…
https://news.hada.io/topic?id=23565
Apache Sedona DB - Geospatial을 지원하는 싱글노드 분석형 DB 엔진
- 지리공간(geospatial) 처리 를 핵심으로 설계해 벡터·래스터 연산 과 공간 최적화 를 내장한 단일 노드 분석형 DB 엔진 오픈소스
- 목표는 가장 빠른 공간 분석 쿼리 속도 와 폭넓은 함수 커버리지 제공
- 로컬 머신이나 단일 클라우드 인스턴스에서 소·중형 데이터셋 처리를 지향하고, …
https://news.hada.io/topic?id=23594
- 지리공간(geospatial) 처리 를 핵심으로 설계해 벡터·래스터 연산 과 공간 최적화 를 내장한 단일 노드 분석형 DB 엔진 오픈소스
- 목표는 가장 빠른 공간 분석 쿼리 속도 와 폭넓은 함수 커버리지 제공
- 로컬 머신이나 단일 클라우드 인스턴스에서 소·중형 데이터셋 처리를 지향하고, …
https://news.hada.io/topic?id=23594
HTMX에서 Datastar로 전환한 이유
- HTMX 사용 시 코드량을 약 70% 줄일 수 있었으나, UI 간 동기화 이슈와 더불어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의 복잡성 증가를 경험
- Datastar 도입 후, 실시간 멀티유저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WebSockets 없이 간결한 코드 구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짐
- HTMX가 **HTML 속성을 중심으로 동작 로직을 분…
https://news.hada.io/topic?id=23582
- HTMX 사용 시 코드량을 약 70% 줄일 수 있었으나, UI 간 동기화 이슈와 더불어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의 복잡성 증가를 경험
- Datastar 도입 후, 실시간 멀티유저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WebSockets 없이 간결한 코드 구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짐
- HTMX가 **HTML 속성을 중심으로 동작 로직을 분…
https://news.hada.io/topic?id=23582
아들에게 음악 발견의 기쁨을 알려주기 위해 NFC 태그가 내장된 피지컬 앨범 카드를 제작했어요
- 아들이 음악을 ‘찾고 소유하는’ 경험 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을 실물 카드로 바꾼 Album Cards 프로젝트 를 진행함
- 각 카드는 앨범 아트와 NFC 태그 를 포함해, 카드를 스마트폰으로 태그하면 해당 앨범이 PlexAmp를 통해 자동 재생되는 구조
- AI 확산 모델 을 이용해 정사각형 앨범 아트를 트레…
https://news.hada.io/topic?id=23583
- 아들이 음악을 ‘찾고 소유하는’ 경험 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을 실물 카드로 바꾼 Album Cards 프로젝트 를 진행함
- 각 카드는 앨범 아트와 NFC 태그 를 포함해, 카드를 스마트폰으로 태그하면 해당 앨범이 PlexAmp를 통해 자동 재생되는 구조
- AI 확산 모델 을 이용해 정사각형 앨범 아트를 트레…
https://news.hada.io/topic?id=23583
Vim에서 Helix로 전환한 후기
- 20년간 Vim을 사용해온 개발자가 Helix 에디터 로 전환하여 3개월간 사용한 경험을 공유
- Helix 는 복잡한 설정 없이 언어 서버(LSP) 를 기본 지원하는 점에서 매력적임
- 특히 Vim/Neovim 대비 뛰어난 검색 기능과 다중 커서 등이 개선되어, 여러 파일 내에서 맥락(context) 파악과 일괄 편집이 편…
https://news.hada.io/topic?id=23584
- 20년간 Vim을 사용해온 개발자가 Helix 에디터 로 전환하여 3개월간 사용한 경험을 공유
- Helix 는 복잡한 설정 없이 언어 서버(LSP) 를 기본 지원하는 점에서 매력적임
- 특히 Vim/Neovim 대비 뛰어난 검색 기능과 다중 커서 등이 개선되어, 여러 파일 내에서 맥락(context) 파악과 일괄 편집이 편…
https://news.hada.io/topic?id=23584
Datastar - 인터랙티브 웹 앱 구축을 위한 경량 하이퍼미디어 프레임워크
- Datastar 는 간단한 정적 웹사이트부터 실시간 협업 웹앱 까지 구축할 수 있는 경량 프레임워크 로, HTML에 하나의 스크립트 태그만 추가해 시작 가능
- 백엔드 중심 인터랙티브 UI 를 만들 수 있도록 HTML을 확장하는 하이퍼미디어 퍼스트(hypermedia-first) 접근 방식을 채택함
- htmx 처럼 …
https://news.hada.io/topic?id=23587
- Datastar 는 간단한 정적 웹사이트부터 실시간 협업 웹앱 까지 구축할 수 있는 경량 프레임워크 로, HTML에 하나의 스크립트 태그만 추가해 시작 가능
- 백엔드 중심 인터랙티브 UI 를 만들 수 있도록 HTML을 확장하는 하이퍼미디어 퍼스트(hypermedia-first) 접근 방식을 채택함
- htmx 처럼 …
https://news.hada.io/topic?id=23587
Tangled - atproto 기반 Git 협업 플랫폼
- Tangled 는 AT Protocol 기반의 소셜 기능을 갖춘 Git 협업 플랫폼으로, 개발자가 코드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유지하면서도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됨
- 기존의 ActivityPub(Forgejo)** 중심의 연합형 모델과 Radicle의 완전 P2P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분산형…
https://news.hada.io/topic?id=23589
- Tangled 는 AT Protocol 기반의 소셜 기능을 갖춘 Git 협업 플랫폼으로, 개발자가 코드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유지하면서도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됨
- 기존의 ActivityPub(Forgejo)** 중심의 연합형 모델과 Radicle의 완전 P2P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분산형…
https://news.hada.io/topic?id=23589
Wi-Fi 속도가 빠를수록 품질이 나빠지는 이유
- 5 GHz 대역에서 20/40 MHz의 좁은 채널 폭을 사용해야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지만, 소비자용 제품들은 80MHz 이상의 넓은 채널 폭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해 간섭과 지연 증가를 초래함
- 소비자들은 속도가 빠른걸 를 선호하기 때문에, 제조사/ISP는 좁은 채널 설정으로 출시할 경우 **벤치마크 순위…
https://news.hada.io/topic?id=23592
- 5 GHz 대역에서 20/40 MHz의 좁은 채널 폭을 사용해야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지만, 소비자용 제품들은 80MHz 이상의 넓은 채널 폭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해 간섭과 지연 증가를 초래함
- 소비자들은 속도가 빠른걸 를 선호하기 때문에, 제조사/ISP는 좁은 채널 설정으로 출시할 경우 **벤치마크 순위…
https://news.hada.io/topic?id=23592
“튜토리얼 지옥”을 대체한 “바이브 코딩 지옥”의 등장
- 최근 코딩 교육 환경에서 “튜토리얼 지옥” 대신 “바이브 코딩 지옥” 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됨
- 튜토리얼 지옥이 "튜토리얼 없이는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상태였다면, 바이브 코딩 지옥은 "AI 없이는 코딩할 수 없고, AI가 생성한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
- **…
https://news.hada.io/topic?id=23590
- 최근 코딩 교육 환경에서 “튜토리얼 지옥” 대신 “바이브 코딩 지옥” 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됨
- 튜토리얼 지옥이 "튜토리얼 없이는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상태였다면, 바이브 코딩 지옥은 "AI 없이는 코딩할 수 없고, AI가 생성한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
- **…
https://news.hada.io/topic?id=23590
🤩2
Lavandula - C로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었어요
- Lavandula 는 C 언어 기반의 경량 웹 프레임워크 로서, 현대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설계됨
- 직관적이고 빠른 개발 환경 을 제공하며, 불필요한 기능 없이 생산성과 성능 에 중점을 둠
- 컨트롤러/라우팅 시스템, 미들웨어 파이프라인, 테스트 프레임워크, SQLite/JSON 라이브러리 등 …
https://news.hada.io/topic?id=23564
- Lavandula 는 C 언어 기반의 경량 웹 프레임워크 로서, 현대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설계됨
- 직관적이고 빠른 개발 환경 을 제공하며, 불필요한 기능 없이 생산성과 성능 에 중점을 둠
- 컨트롤러/라우팅 시스템, 미들웨어 파이프라인, 테스트 프레임워크, SQLite/JSON 라이브러리 등 …
https://news.hada.io/topic?id=23564
React Conf 2025 (Day 1)
지난 주에 2025년 리액트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첫째 날에는 주로 리액트와 관련된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 React Keynote
- React 19.1(Owner Stacks), 19.2(Activity/useEffectEvent/Partial Pre-rendering), Canary(View Transitions) 발표
- React Compiler 1.0 정식 출시, 자…
https://news.hada.io/topic?id=23612
지난 주에 2025년 리액트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첫째 날에는 주로 리액트와 관련된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 React Keynote
- React 19.1(Owner Stacks), 19.2(Activity/useEffectEvent/Partial Pre-rendering), Canary(View Transitions) 발표
- React Compiler 1.0 정식 출시, 자…
https://news.hada.io/topic?id=23612
GeekNews Weekly #327 ChatGPT는 슈퍼앱의 꿈을 꾸는가
OpenAI가 올해로 세 번째인 개발자 행사 DevDay 2025를 개최했습니다. 매년 키노트의 첫 슬라이드는 OpenAI의 현황 지표로 시작되는데요. 2023년 첫 DevDay 때는 주간 1억 명의 ChatGPT 사용자와 200만 명의 개발자를 언급했는데, 올해는 주간 8억 명의 사용자와 400만 명의 개발자로 크게 늘었습니다. API 사용량도 분당 …
https://news.hada.io/weekly/202541
OpenAI가 올해로 세 번째인 개발자 행사 DevDay 2025를 개최했습니다. 매년 키노트의 첫 슬라이드는 OpenAI의 현황 지표로 시작되는데요. 2023년 첫 DevDay 때는 주간 1억 명의 ChatGPT 사용자와 200만 명의 개발자를 언급했는데, 올해는 주간 8억 명의 사용자와 400만 명의 개발자로 크게 늘었습니다. API 사용량도 분당 …
https://news.hada.io/weekly/202541
Zoxide - 모든 주요 셸을 지원하는 더 똑똑한 cd 명령어
- 디렉터리 사용 패턴에 따라 자주 방문한 경로를 학습 해 몇 글자만 입력해도 원하는 폴더로 즉시 점프 하는 스마트 cd 명령어
- `z foo`로 가장 높은 점수의 `foo` 일치 경로 이동, `z foo bar`로 두 키워드 모두 포함 경로 이동, `z foo/`로 하위 디렉터리 이동 지원
- `z ~/foo`, `z ..`, `z -`처…
https://news.hada.io/topic?id=23616
- 디렉터리 사용 패턴에 따라 자주 방문한 경로를 학습 해 몇 글자만 입력해도 원하는 폴더로 즉시 점프 하는 스마트 cd 명령어
- `z foo`로 가장 높은 점수의 `foo` 일치 경로 이동, `z foo bar`로 두 키워드 모두 포함 경로 이동, `z foo/`로 하위 디렉터리 이동 지원
- `z ~/foo`, `z ..`, `z -`처…
https://news.hada.io/topic?id=23616
AMD와 Sony의 PS6 칩셋, 현재 그래픽 처리 파이프라인을 재구성하려 함
- AMD와 Sony가 차세대 PlayStation 콘솔용 칩셋 'Project Amethyst' 를 공개, 기존 GPU 구조의 한계를 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 그래픽 처리 방식을 중심에 둔 아키텍처 개발 중
- 기존 래스터라이제이션 (화면을 픽셀 단위로 계산하는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신경망 처리 효율화 를 목표로…
https://news.hada.io/topic?id=23602
- AMD와 Sony가 차세대 PlayStation 콘솔용 칩셋 'Project Amethyst' 를 공개, 기존 GPU 구조의 한계를 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 그래픽 처리 방식을 중심에 둔 아키텍처 개발 중
- 기존 래스터라이제이션 (화면을 픽셀 단위로 계산하는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신경망 처리 효율화 를 목표로…
https://news.hada.io/topic?id=23602
Meta Superintelligence, 놀라운 첫 논문 ‘REFRAG’으로 RAG 효율 30배 향상
- Meta Superintelligence(MSI) 의 첫 연구 결과인 REFRAG은 기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구조를 대폭 개선해 30배 빠른 응답 속도를 달성한 새로운 접근법
- 핵심은 문서 조각을 토큰이 아닌 LLM이 직접 이해할 수 있는 ‘Chunk Embedding’ 형태로 변환하고, 필요 시 일부만 복원하…
https://news.hada.io/topic?id=23603
- Meta Superintelligence(MSI) 의 첫 연구 결과인 REFRAG은 기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구조를 대폭 개선해 30배 빠른 응답 속도를 달성한 새로운 접근법
- 핵심은 문서 조각을 토큰이 아닌 LLM이 직접 이해할 수 있는 ‘Chunk Embedding’ 형태로 변환하고, 필요 시 일부만 복원하…
https://news.hada.io/topic?id=23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