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삼성 Mobility 임은영]
[자동차 주 폭등 주의보 : 고금리 피해주에서 탈출]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어제(11월 14일) 밤 미국 CPI 둔화가 확인되면서,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는 하루새에 3.88% 하락, 4.453%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시장에서는 현재 대세인 AI 주식보다는, 고금리의 가장 큰 피해주였던 자동차 업종이 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2.13%), 마이크로소프트(+0.98%) 보다는, 테슬라(+6.12%), GM(+4.87%), Ford(5.91%),
루시드(5.04%), 리비안(+4.39%) 주가 상승폭이 더 높았습니다.
2023년 9월 기준 미국 60개월 할부금융 금리 7.51%, 60일 이상 연체율이 6.1%로 3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 등 그동안
자동차업종에는 고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가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테슬라도 3분기 실적발표에서 고금리의 어려움을 여러차례 코멘트했습니다.
특히 한국 자동차 업종은 호실적에도 불구, 자동차 수요둔화우려, 수급상의 공백으로 역사상 최저 Valuation으로 De-rating된
상태입니다.
2024년 추정실적 기준, 현대차 P/E 3.7배, 기아 P/E 3.3배, 한국타이어 4배, 부품사 에스엘 4배, 화신 4배, 성우하이텍
4배 등 P/E 3~4배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2배가 올라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의 Valuation입니다.
현대/기아는 4분기에 5년내 최대 생산대수(193만대)가 예상되며, 2024년 신차싸이클에 재진입하여 미국시장 Top 3 및 미국 전기차
시장 Top2 등극이 예상됩니다.
고금리 피해주였던 자동차업종에 관심을 가질 시점입니다.
(2023년 11월 15일 공표 자료)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어제(11월 14일) 밤 미국 CPI 둔화가 확인되면서,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는 하루새에 3.88% 하락, 4.453%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시장에서는 현재 대세인 AI 주식보다는, 고금리의 가장 큰 피해주였던 자동차 업종이 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2.13%), 마이크로소프트(+0.98%) 보다는, 테슬라(+6.12%), GM(+4.87%), Ford(5.91%),
루시드(5.04%), 리비안(+4.39%) 주가 상승폭이 더 높았습니다.
2023년 9월 기준 미국 60개월 할부금융 금리 7.51%, 60일 이상 연체율이 6.1%로 3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 등 그동안
자동차업종에는 고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가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테슬라도 3분기 실적발표에서 고금리의 어려움을 여러차례 코멘트했습니다.
특히 한국 자동차 업종은 호실적에도 불구, 자동차 수요둔화우려, 수급상의 공백으로 역사상 최저 Valuation으로 De-rating된
상태입니다.
2024년 추정실적 기준, 현대차 P/E 3.7배, 기아 P/E 3.3배, 한국타이어 4배, 부품사 에스엘 4배, 화신 4배, 성우하이텍
4배 등 P/E 3~4배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2배가 올라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의 Valuation입니다.
현대/기아는 4분기에 5년내 최대 생산대수(193만대)가 예상되며, 2024년 신차싸이클에 재진입하여 미국시장 Top 3 및 미국 전기차
시장 Top2 등극이 예상됩니다.
고금리 피해주였던 자동차업종에 관심을 가질 시점입니다.
(2023년 11월 15일 공표 자료)
최근 테마섹터중에 STO섹터를 유심하게 보고 있고.진행상황을 계속 체크 중
실질적으로 증권신고서를 내고
철회 및 수정을 반복 하고 있는 회사는
[뮤직카우-비상장] 음원IP
[서울옥션] [케이옥션] [아트앤가이드-비상장] 미술이 있음.
그 어떤회사도 한번에 통과하여 청약일정이 확정된 사례는 없고, 계속 해서 철회 및 수정을 하고 있는 상황.
그중 뮤직카우가 12월 8일 청약을 앞두고 있었으나 어제 금감원의 정정요구가 있었음.
다시말해서 STO쪽은 아직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대감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이해하면 됨.
주식은 미래가치를 앞으로 당겨서 시세를 먹는것. 미래가치는 없던것이 새로 생기느냐 엄청난 편리/수익을 주느냐, 시장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느냐의 관점에서 고려해야함.
STO는 없던것의 새로움의 관점에서 보고 있고
뮤직카우는 비교적 수익의 대한 Projection이 가능한 섹터이기때문에 그래도 승인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되어 주목중
관련주는 지분15%를 들고 있는
[스틱인베스트먼트] 임.
정정요구가 있었으나 오늘 시세가 많이 빠지지 않음. STO시장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나오지 않았기 떄문.
미술쪽 종목들 [서울옥션][케이옥션]이 단일가로 들어간 상황
STO관련 투자계약증권에 대해 정정요구가 있을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정구간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조정구간에서 담으면 2024년 플레이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예상
실질적으로 증권신고서를 내고
철회 및 수정을 반복 하고 있는 회사는
[뮤직카우-비상장] 음원IP
[서울옥션] [케이옥션] [아트앤가이드-비상장] 미술이 있음.
그 어떤회사도 한번에 통과하여 청약일정이 확정된 사례는 없고, 계속 해서 철회 및 수정을 하고 있는 상황.
그중 뮤직카우가 12월 8일 청약을 앞두고 있었으나 어제 금감원의 정정요구가 있었음.
다시말해서 STO쪽은 아직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대감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이해하면 됨.
주식은 미래가치를 앞으로 당겨서 시세를 먹는것. 미래가치는 없던것이 새로 생기느냐 엄청난 편리/수익을 주느냐, 시장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느냐의 관점에서 고려해야함.
STO는 없던것의 새로움의 관점에서 보고 있고
뮤직카우는 비교적 수익의 대한 Projection이 가능한 섹터이기때문에 그래도 승인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되어 주목중
관련주는 지분15%를 들고 있는
[스틱인베스트먼트] 임.
정정요구가 있었으나 오늘 시세가 많이 빠지지 않음. STO시장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나오지 않았기 떄문.
미술쪽 종목들 [서울옥션][케이옥션]이 단일가로 들어간 상황
STO관련 투자계약증권에 대해 정정요구가 있을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정구간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조정구간에서 담으면 2024년 플레이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