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5월 대만 AI서버/노트북/메인보드 제조 기업 Gigabyte 매출액 46,728.3백만대만달러(+55.3% MoM, +107.8% YoY) 발표
- 마더보드 사업의 비수기 영향에도 AI 랙 서버 출하량 증가로 역대 최고 매출액 재차 갱신
- Gigabyte의 1분기 매출 기준 AI 서버를 포함한 서버 사업이 55%, 마더보드 및 그래픽 카드 사업은 고급 신제품 판매 증가로 40%를 차지
- 그래픽 카드 사업 또한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플랫폼인 RTX 50 시리즈 출시에 힘입어 성장 지속
- Gigabye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플랫폼 기반 GB200 NVL72 프로세서가 유럽, 미주,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고객에게 순조롭게 공급중이며, GB300과 B300 등 신제품 또한 하반기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 또한 AI 서버 외에도 AI PC 측면에서는 차세대 AI Top이 엔비디아의 신제품(GB10)과 함께 3분기에 양산 돌입 전망
(자료: Gigabyte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5월 대만 AI서버/노트북/메인보드 제조 기업 Gigabyte 매출액 46,728.3백만대만달러(+55.3% MoM, +107.8% YoY) 발표
- 마더보드 사업의 비수기 영향에도 AI 랙 서버 출하량 증가로 역대 최고 매출액 재차 갱신
- Gigabyte의 1분기 매출 기준 AI 서버를 포함한 서버 사업이 55%, 마더보드 및 그래픽 카드 사업은 고급 신제품 판매 증가로 40%를 차지
- 그래픽 카드 사업 또한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플랫폼인 RTX 50 시리즈 출시에 힘입어 성장 지속
- Gigabye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플랫폼 기반 GB200 NVL72 프로세서가 유럽, 미주,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고객에게 순조롭게 공급중이며, GB300과 B300 등 신제품 또한 하반기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 또한 AI 서버 외에도 AI PC 측면에서는 차세대 AI Top이 엔비디아의 신제품(GB10)과 함께 3분기에 양산 돌입 전망
(자료: Gigabyte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Meritz Overnight Tech 2025. 6. 10 (화)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3.34%, 1W +24.08%, 1M +44.30%)
NAND(MLC 64Gb: 1D +0.97%, 1W +2.86%, 1M +7.8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아마존,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 위해 펜실베이니아에 200억 달러 투자 (Reuters)
https://buly.kr/jZQfjX
오픈AI, 6월기준 연간 실행 매출 100억 달러 돌파…2024년 12월 55억달러 대비 급성장 (Reuters)
https://buly.kr/HHcesOF
TSMC, 미국 압박에 글로벌 성장 전략 조정 - 일본, 독일 투자 속도 조절 (Digitimes asia)
https://buly.kr/G3DM0Zr
퀄컴, 알파웨이브 24억달러에 인수하며 AI 포트폴리오 강화 (Reuters)
https://buly.kr/HHcesO4
아이온큐, 영국 양자 스타트업 옥스퍼드 아이오닉스 10억 달러에 인수 (CNBC)
https://buly.kr/uUBeYA
中 파운드리 SMIC, 삼성과 점유율 격차 1.7%로 좁혀 (ZDNET Korea)
https://buly.kr/AlkcQT9
TSMC, 안전 사고 여파로 AP7 첨단 패키징 공장 장비 반입 연기 (TrendForce)
https://buly.kr/FWT54AF
마이크로소프트, 휴대용 게임 시장 진출…ROG Xbox Ally 공개 (CNBC)
https://buly.kr/DlJVG5j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2%), Micron(+2.2%), Western Digital(+2.8%), Intel(+2.1%), Qualcomm(+4.1%), TI(+3.5%), STMicro(+2.9%), AMD(+4.8%), Magnachip(+3.2%), SMIC(+5.1%), LG디스플레이(+2.9%), AUO(-3.4%), 테스(-2.8%), KLA(+2.6%), LAM Research(+2.3%), 원익머트리얼즈(+2.6%), 덕산네오룩스(-2.1%), UDC(+3%), 삼성SDI(-2%), LG에너지솔루션(-2.1%), BYD(-3.3%), Panasonic(-1.9%)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3.34%, 1W +24.08%, 1M +44.30%)
NAND(MLC 64Gb: 1D +0.97%, 1W +2.86%, 1M +7.8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아마존,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 위해 펜실베이니아에 200억 달러 투자 (Reuters)
https://buly.kr/jZQfjX
오픈AI, 6월기준 연간 실행 매출 100억 달러 돌파…2024년 12월 55억달러 대비 급성장 (Reuters)
https://buly.kr/HHcesOF
TSMC, 미국 압박에 글로벌 성장 전략 조정 - 일본, 독일 투자 속도 조절 (Digitimes asia)
https://buly.kr/G3DM0Zr
퀄컴, 알파웨이브 24억달러에 인수하며 AI 포트폴리오 강화 (Reuters)
https://buly.kr/HHcesO4
아이온큐, 영국 양자 스타트업 옥스퍼드 아이오닉스 10억 달러에 인수 (CNBC)
https://buly.kr/uUBeYA
中 파운드리 SMIC, 삼성과 점유율 격차 1.7%로 좁혀 (ZDNET Korea)
https://buly.kr/AlkcQT9
TSMC, 안전 사고 여파로 AP7 첨단 패키징 공장 장비 반입 연기 (TrendForce)
https://buly.kr/FWT54AF
마이크로소프트, 휴대용 게임 시장 진출…ROG Xbox Ally 공개 (CNBC)
https://buly.kr/DlJVG5j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2%), Micron(+2.2%), Western Digital(+2.8%), Intel(+2.1%), Qualcomm(+4.1%), TI(+3.5%), STMicro(+2.9%), AMD(+4.8%), Magnachip(+3.2%), SMIC(+5.1%), LG디스플레이(+2.9%), AUO(-3.4%), 테스(-2.8%), KLA(+2.6%), LAM Research(+2.3%), 원익머트리얼즈(+2.6%), 덕산네오룩스(-2.1%), UDC(+3%), 삼성SDI(-2%), LG에너지솔루션(-2.1%), BYD(-3.3%), Panasonic(-1.9%)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5월 대만 PI첨단소재 경쟁사 Taimide Tech 매출액 226.6백만대만달러(+11.3% MoM, +18.5%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
- Taimide는 AI관련 응용 제품 및 특수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T6 생산 라인 확장(5억 대만달러 투자)을 진행 중
- 2026년부터 연간 생산 Capa는 600톤이 추가(기존 2,100톤)되며 신규 생산라인은 2026년 양산을 시작할 예정
(자료: Taimide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5월 대만 PI첨단소재 경쟁사 Taimide Tech 매출액 226.6백만대만달러(+11.3% MoM, +18.5%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
- Taimide는 AI관련 응용 제품 및 특수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T6 생산 라인 확장(5억 대만달러 투자)을 진행 중
- 2026년부터 연간 생산 Capa는 600톤이 추가(기존 2,100톤)되며 신규 생산라인은 2026년 양산을 시작할 예정
(자료: Taimide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Apple WWDC 2025 후기 : 속 빈 강정
Apple이 10일(한국시간 기준) 열린 자사의 연례 행사인 ‘WWDC 2025'를 개최, AI가 아닌 OS 개편 중심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Apple이 자사 OS의 시각적 구성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한 것은 2013년 이후 12년만에 처음이고 이날 공개한 리퀴드 글래스는 역시 애플답게 디자인적으로는 완성도가 높았습니다
다만 AI 관련 새로운 전략 공개가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 발표는 전략적으로 다소 아쉬운 판단이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AI 관련해서도 일부 기능을 공개했으나 차별화된 혁신보다는 기존 시중에 존재하는 AI 기능을 뒤따라가는 수준에 그친 모습이었습니다
지난달 Google의 연례 개발자 행사 'I/O 2025’와 비교했을 때, 기술적 임팩트와 방향성 모두에서 상대적인 열세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종합적으로 이번 WWDC는 Apple의 AI 경쟁력 부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AI 분야에 수십억 달러를 집중 투자하고 있는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해 Apple이 점차 뒤처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당사는 또한 올해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의 흥행 실패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는 1)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하드웨어 완성도가 빠르게 향상되면서, 중국 내 애플의 점유율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2) 2026년부터는 Siri의 본격적인 업데이트, 폴더블 아이폰 + 풀스크린 디스플레이 적용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전반의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기대감에 기반한 수요 이연 확대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연초부터 Apple 및 밸류체인 전반의 주가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밸류에이션 매력이 일부 부각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Apple의 AI 경쟁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수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Apple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디레이팅 압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당사의 기존 견해를 유지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s://vo.la/kWfFORY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Apple WWDC 2025 후기 : 속 빈 강정
Apple이 10일(한국시간 기준) 열린 자사의 연례 행사인 ‘WWDC 2025'를 개최, AI가 아닌 OS 개편 중심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Apple이 자사 OS의 시각적 구성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한 것은 2013년 이후 12년만에 처음이고 이날 공개한 리퀴드 글래스는 역시 애플답게 디자인적으로는 완성도가 높았습니다
다만 AI 관련 새로운 전략 공개가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 발표는 전략적으로 다소 아쉬운 판단이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AI 관련해서도 일부 기능을 공개했으나 차별화된 혁신보다는 기존 시중에 존재하는 AI 기능을 뒤따라가는 수준에 그친 모습이었습니다
지난달 Google의 연례 개발자 행사 'I/O 2025’와 비교했을 때, 기술적 임팩트와 방향성 모두에서 상대적인 열세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종합적으로 이번 WWDC는 Apple의 AI 경쟁력 부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AI 분야에 수십억 달러를 집중 투자하고 있는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해 Apple이 점차 뒤처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당사는 또한 올해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의 흥행 실패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는 1)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하드웨어 완성도가 빠르게 향상되면서, 중국 내 애플의 점유율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2) 2026년부터는 Siri의 본격적인 업데이트, 폴더블 아이폰 + 풀스크린 디스플레이 적용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전반의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기대감에 기반한 수요 이연 확대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연초부터 Apple 및 밸류체인 전반의 주가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밸류에이션 매력이 일부 부각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Apple의 AI 경쟁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수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Apple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디레이팅 압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당사의 기존 견해를 유지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s://vo.la/kWfFORY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5월 대만 유리섬유 제조사 Baotek(일본 Nitto Boseki 대만 자회사) 매출액 185.2백만대만달러(-9.9% MoM, +21.6% YoY) 발표
- Baotek은 대만의 유리섬유 전문 제조업체로, 2018년 일본 Nitto Boseki의 지분 인수 이후 자회사로 편입
- 이후 EMC, TUC 등 대만 고객사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대만 내 유리섬유 원사(Yarn) 생산 공장을 신설함.
- 최근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 수요 확대에 따라, 고급 Low Dk 및 T-Glass 유리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
- 이에 따라 Baotek은 3분기부터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비중 확대를 위한 설비 교체를 추진할 계획
- 4분기 설비 교체 완료 시, 고부가 제품의 생산 비중은 전체의 30% 이상, 매출 비중은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
- 또한 CoWoS FC-BGA에 사용되는 저열팽창계수 (Low CTE) T-Glass는 2026년부터 정식 양산에 돌입할 계획.
(자료: Baotek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5월 대만 유리섬유 제조사 Baotek(일본 Nitto Boseki 대만 자회사) 매출액 185.2백만대만달러(-9.9% MoM, +21.6% YoY) 발표
- Baotek은 대만의 유리섬유 전문 제조업체로, 2018년 일본 Nitto Boseki의 지분 인수 이후 자회사로 편입
- 이후 EMC, TUC 등 대만 고객사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대만 내 유리섬유 원사(Yarn) 생산 공장을 신설함.
- 최근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 수요 확대에 따라, 고급 Low Dk 및 T-Glass 유리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
- 이에 따라 Baotek은 3분기부터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비중 확대를 위한 설비 교체를 추진할 계획
- 4분기 설비 교체 완료 시, 고부가 제품의 생산 비중은 전체의 30% 이상, 매출 비중은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
- 또한 CoWoS FC-BGA에 사용되는 저열팽창계수 (Low CTE) T-Glass는 2026년부터 정식 양산에 돌입할 계획.
(자료: Baotek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5월 대만 MLCC 업체 Yageo 매출액 11,503.4백만대만달러(+3.6% MoM, +7.5%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
- MoM 기준 매출 감소는 관세 면제 기간 내 조기 구매, 노동절 연휴, 미 달러화 가치 하락 등의 영향
- 그러나 Yageo는 최근 주주총회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의 본격 가동으로 인해 수주출하비율(BB ratio)이 1.2~1.3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2분기 가동률이 실적 발표 컨퍼런스에서 제시한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다고 언급
(2분기 표준 제품 가동률 목표는 65%, 고급 제품은 70%)
- 또한 환율과 관세의 영향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며, 현 추세를 고려할 때 하반기 전망 역시 긍정적이라고 강조
(자료: Yageo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5월 대만 MLCC 업체 Yageo 매출액 11,503.4백만대만달러(+3.6% MoM, +7.5%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
- MoM 기준 매출 감소는 관세 면제 기간 내 조기 구매, 노동절 연휴, 미 달러화 가치 하락 등의 영향
- 그러나 Yageo는 최근 주주총회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의 본격 가동으로 인해 수주출하비율(BB ratio)이 1.2~1.3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2분기 가동률이 실적 발표 컨퍼런스에서 제시한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다고 언급
(2분기 표준 제품 가동률 목표는 65%, 고급 제품은 70%)
- 또한 환율과 관세의 영향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며, 현 추세를 고려할 때 하반기 전망 역시 긍정적이라고 강조
(자료: Yageo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AP시스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계약상대방: Xiamen Tianma Display Technology
- 내용: OLED 제조장비
- 계약금액: 계약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요청
- 대금지급 조건: 계약금 무 / 90% (FOB 후 L/C), 10% (FAC 후 T/T)
- 계약기간: 2025년 6월 9일 ~ 2026년 5월 20일
https://buly.kr/2qYWVAA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AP시스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계약상대방: Xiamen Tianma Display Technology
- 내용: OLED 제조장비
- 계약금액: 계약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요청
- 대금지급 조건: 계약금 무 / 90% (FOB 후 L/C), 10% (FAC 후 T/T)
- 계약기간: 2025년 6월 9일 ~ 2026년 5월 20일
https://buly.kr/2qYWVAA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애플, 폴더블 OLED SCM 중국으로 기운다
- 내달 OLED 주변 소재 최종 선정 전망
- OLED 셀 자체를 삼성디스플레이가 100% 공급하는 방안은 변화가 없지만, 셀을 둘러싼 각종 소재들은 중국 내 대형 제조사가 도맡을 가능성이 높음
- 이 안이 현실화 되면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OLED를 공급하더라도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계 수혜는 제한될 것으로 예상
https://buly.kr/4mcrJy3 (링크)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애플, 폴더블 OLED SCM 중국으로 기운다
- 내달 OLED 주변 소재 최종 선정 전망
- OLED 셀 자체를 삼성디스플레이가 100% 공급하는 방안은 변화가 없지만, 셀을 둘러싼 각종 소재들은 중국 내 대형 제조사가 도맡을 가능성이 높음
- 이 안이 현실화 되면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OLED를 공급하더라도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계 수혜는 제한될 것으로 예상
https://buly.kr/4mcrJy3 (링크)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www.kipost.net
애플, 폴더블 OLED SCM 중국으로 기운다 - KIPOST(키포스트)
내년에 애플이 출시할 폴더블 스마트폰용 OLED SCM(서플라이체인)이 중국으로 기울고 있다. OLED 셀 자체를 삼성디스플레이가 100% 공급하는 방안은 변화가 없지만, 셀을 둘러싼 각종 소재들은 중국 내 대형 제조...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5월 대만 TSMC 매출액 320,516.0백만대만달러(-8.3% MoM, +39.6%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42.6% 성장
(자료: TSMC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5월 대만 TSMC 매출액 320,516.0백만대만달러(-8.3% MoM, +39.6% YoY) 발표
- 1~5월 누적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42.6% 성장
(자료: TSMC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