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파나소닉의 MEGTRON CCL 출시 로드맵 공유드립니다
올해 말을 기점으로 Q glass가 적용되는 M9 등급 CCL의 상용화가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파나소닉의 MEGTRON CCL 출시 로드맵 공유드립니다
올해 말을 기점으로 Q glass가 적용되는 M9 등급 CCL의 상용화가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Forwarded from IH Research
벡텔은 미국 최고의 EPC 기업으로 작년 예상 매출은 $220억불 미만이며 수주잔고는 $450억불로 추정됩니다. 인프라, 에너지, 광산 등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프로젝트들을 담당하고 있으며 신재생 에너지 매출은 감소했으나 최근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LNG 플랜트는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상장 주식이라 정보공개가 잘 안되는데 만약 상장되어 있었다면 LNG 수출 사이클에서 가장 대장이 되었을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벡텔이 많은 기자재를 한국기업들에게서 공급받고 있죠. 내년 상반기까지 벡텔과 우리나라 기자재업체들의 수주가 이어질 것이라고 보는데, 주가는.. 요새 쉽진 않습니다 ㅎ
https://www.mt.co.kr/stock/2025/10/22/2025102212251890240
다만 비상장 주식이라 정보공개가 잘 안되는데 만약 상장되어 있었다면 LNG 수출 사이클에서 가장 대장이 되었을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벡텔이 많은 기자재를 한국기업들에게서 공급받고 있죠. 내년 상반기까지 벡텔과 우리나라 기자재업체들의 수주가 이어질 것이라고 보는데, 주가는.. 요새 쉽진 않습니다 ㅎ
https://www.mt.co.kr/stock/2025/10/22/2025102212251890240
머니투데이
한텍, 美 벡텔 LNG 프로젝트 우수 공급사로 선정 - 머니투데이
한텍이 미국 벡텔(Bechtel)사가 주최한 2025 우수 공급사 시상식(Supply Chain ExcellenceAward)에서 우수 공급사로 선정돼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벡텔은 1898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글로벌 EPC(설계·조달·건설) 기업이다. LNG
Forwarded from TNBfolio
블랙록·GIP, 한국에 20조 원 규모 투자 의향서 내일 전달
(by https://www.tg-me.com/TNBfolio)
- 블랙록과 GIP가 공동 소유한 뷔나그룹이 한국에 14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의 투자의향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 투자 분야는 재생에너지와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내일 국회에서 공식 전달식이 진행된다.
- 이재명 대통령과의 면담 이후 과기정통부는 블랙록과 관련 MOU를 체결한 바 있다.
- 이번 LOI는 MOU의 후속 조치로, 본계약 체결 가능성이 높은 단계로 평가된다.
- 뷔나그룹은 이미 아태 지역 9개국에서 3.2GW 규모의 재생에너지 자산을 운용 중이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301620
(by https://www.tg-me.com/TNBfolio)
- 블랙록과 GIP가 공동 소유한 뷔나그룹이 한국에 14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의 투자의향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 투자 분야는 재생에너지와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내일 국회에서 공식 전달식이 진행된다.
- 이재명 대통령과의 면담 이후 과기정통부는 블랙록과 관련 MOU를 체결한 바 있다.
- 이번 LOI는 MOU의 후속 조치로, 본계약 체결 가능성이 높은 단계로 평가된다.
- 뷔나그룹은 이미 아태 지역 9개국에서 3.2GW 규모의 재생에너지 자산을 운용 중이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301620
SBS NEWS
[단독] 블랙록·GIP 공동소유 회사 20조 원 투자 의향 표명…내일 국회서 전달식
SBS 취재에 따르면, 블랙록과 그 산하 글로벌인프라스트럭처파트너스가 공동으로 소유한 뷔나그룹은 내일 국회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약 140억 달러, 우리 돈 20조 원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투자의향서 전달식을 열 예정입니다.
Forwarded from 루팡
Vertiv Holdings 2025년 3분기 실적 (장전 +9%)
매출액: 26.8억 달러 (예상 25.9억 달러) | 전년 대비 +29%
조정 EPS: 1.24달러 (예상 0.99달러) | 전년 대비 +63%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매출: 101.6억–102.4억 달러 (예상 100.8억 달러) | 전년 대비 +26–28%
조정 EPS: 4.07–4.43달러 (예상 3.82달러)
조정 영업이익: 20.4억–20.8억 달러 | 전년 대비 약 +40%
조정 영업이익률: 20.0%–20.5%
조정 잉여현금흐름(FCF): 14.7억–15.3억 달러
2025년 4분기 가이던스
매출: 28.1억–28.9억 달러 (예상 28.2억 달러)
조정 EPS: 1.23–1.29달러
조정 영업이익: 6.2억–6.6억 달러
조정 영업이익률: 22.1%–22.7%
조정 잉여현금흐름: 4.7억–5.3억 달러
기타 핵심 지표
조정 영업이익: 5.96억 달러 | +43% YoY
조정 영업이익률: 22.3% | +220bps YoY
유기적 주문 성장률: +60% YoY / +20% QoQ
Book-to-Bill 비율: 약 1.4배
수주잔고: 95억 달러
영업활동현금흐름: 5.09억 달러 | +36% YoY
조정 잉여현금흐름: 4.62억 달러 | +38% YoY
유동성: 27억 달러
순차입배율: 약 0.5배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 Ba2 → Ba1
지역별 성장률 (YoY)
미주: +43%
아시아·태평양(APAC): +20%
경영진 코멘트
Giordano Albertazzi (CEO):
“29%의 강력한 매출 성장과 대규모 수주잔고를 달성했으며, 이는 가속화되는 시장 수요와 당사의 경쟁 우위를 반영합니다.”
“운영 효율성과 비용 관리가 마진 확장을 이끌었으며, EMEA 구조조정을 통해 2026년 수요를 공략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AI 인프라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 및 ER&D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Dave Cote (이사회 의장):
“디지털 시대는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Vertiv는 계속해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26.8억 달러 (예상 25.9억 달러) | 전년 대비 +29%
조정 EPS: 1.24달러 (예상 0.99달러) | 전년 대비 +63%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매출: 101.6억–102.4억 달러 (예상 100.8억 달러) | 전년 대비 +26–28%
조정 EPS: 4.07–4.43달러 (예상 3.82달러)
조정 영업이익: 20.4억–20.8억 달러 | 전년 대비 약 +40%
조정 영업이익률: 20.0%–20.5%
조정 잉여현금흐름(FCF): 14.7억–15.3억 달러
2025년 4분기 가이던스
매출: 28.1억–28.9억 달러 (예상 28.2억 달러)
조정 EPS: 1.23–1.29달러
조정 영업이익: 6.2억–6.6억 달러
조정 영업이익률: 22.1%–22.7%
조정 잉여현금흐름: 4.7억–5.3억 달러
기타 핵심 지표
조정 영업이익: 5.96억 달러 | +43% YoY
조정 영업이익률: 22.3% | +220bps YoY
유기적 주문 성장률: +60% YoY / +20% QoQ
Book-to-Bill 비율: 약 1.4배
수주잔고: 95억 달러
영업활동현금흐름: 5.09억 달러 | +36% YoY
조정 잉여현금흐름: 4.62억 달러 | +38% YoY
유동성: 27억 달러
순차입배율: 약 0.5배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 Ba2 → Ba1
지역별 성장률 (YoY)
미주: +43%
아시아·태평양(APAC): +20%
경영진 코멘트
Giordano Albertazzi (CEO):
“29%의 강력한 매출 성장과 대규모 수주잔고를 달성했으며, 이는 가속화되는 시장 수요와 당사의 경쟁 우위를 반영합니다.”
“운영 효율성과 비용 관리가 마진 확장을 이끌었으며, EMEA 구조조정을 통해 2026년 수요를 공략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AI 인프라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 및 ER&D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Dave Cote (이사회 의장):
“디지털 시대는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Vertiv는 계속해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한화 엔터/레저/운송 박수영
[단독]한중 정상회담서 ‘2단계 한중 FTA’ 논의할 듯
2단계 FTA가 타결되면 상품, 교육 중심에서 서비스, 법률, 문화 등으로 개방 범위가 확대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24094?sid=100
2단계 FTA가 타결되면 상품, 교육 중심에서 서비스, 법률, 문화 등으로 개방 범위가 확대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24094?sid=100
Naver
[단독]한중 정상회담서 ‘2단계 한중 FTA’ 논의할 듯
APEC 기간 중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2단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2단계 한중 FTA는 2015년 발효된
Forwarded from Dean's Ticker
GE버노바, 3Q25 어닝 서프라이즈 $GEV
= 주당순이익(EPS) 1.64달러, 예상치 1.62달러
= 유기적 매출 98.3억 달러, 예상치 91.6억 달러 대비
= 신규주문액 146억 달러
2025년 가이던스 재확인
= 매출 360억~370억 달러 범위 상단으로 향할 것으로 예상 371.9억 달러
= 관세 및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이 약 3억~4억 달러 하단에 이를 것으로 예상
+3.5%
= 주당순이익(EPS) 1.64달러, 예상치 1.62달러
= 유기적 매출 98.3억 달러, 예상치 91.6억 달러 대비
= 신규주문액 146억 달러
2025년 가이던스 재확인
= 매출 360억~370억 달러 범위 상단으로 향할 것으로 예상 371.9억 달러
= 관세 및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이 약 3억~4억 달러 하단에 이를 것으로 예상
+3.5%
Forwarded from 하나증권/에너지화학/윤재성
*미국 최대 가스생산업체 EQT Corp. 컨센 상회
- 3Q25 Adjusted EPS 0.52$로 컨센서스 0.43$를 +21% 상회
-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판매량 증가 영향
- 3Q25 EQT의 천연가스 평균 실현가격은 1년 전 2.38$/Mcfe에서 2.76$/Mcfe로 상승
- 분기 총 판매량은 634,395MMcf으로, 작년 동기581,414 MMcfe 대비 증가
- LNG 수출 확대, 더운 날씨로 인한 전력 소비 증가, 데이터센터 운영 확대로 인한 천연가스 수요 증가 중. EIA는 2025년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수요 모두 사상 최대치 경신을 예상
- EQT는 주로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에 걸친 애팔래치아 분지(Appalachian Basin)에서 천연가스 탐사 및 생산(E&P) 중
- 3Q25 중 회사는 Sempra, NextDecade, Commonwealth LNG와 총 연간 450만 톤(4.5 MTPA) 규모의 LNG 오프테이크 계약을 체결. 인도는 2030~2031년부터 시작될 예정
EQT beats quarterly profit estimates on strong natural gas prices, sales volumes -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eqt-corp-beats-quarterly-profit-estimates-higher-natural-gas-prices-2025-10-21/
- 3Q25 Adjusted EPS 0.52$로 컨센서스 0.43$를 +21% 상회
-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판매량 증가 영향
- 3Q25 EQT의 천연가스 평균 실현가격은 1년 전 2.38$/Mcfe에서 2.76$/Mcfe로 상승
- 분기 총 판매량은 634,395MMcf으로, 작년 동기581,414 MMcfe 대비 증가
- LNG 수출 확대, 더운 날씨로 인한 전력 소비 증가, 데이터센터 운영 확대로 인한 천연가스 수요 증가 중. EIA는 2025년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수요 모두 사상 최대치 경신을 예상
- EQT는 주로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에 걸친 애팔래치아 분지(Appalachian Basin)에서 천연가스 탐사 및 생산(E&P) 중
- 3Q25 중 회사는 Sempra, NextDecade, Commonwealth LNG와 총 연간 450만 톤(4.5 MTPA) 규모의 LNG 오프테이크 계약을 체결. 인도는 2030~2031년부터 시작될 예정
EQT beats quarterly profit estimates on strong natural gas prices, sales volumes -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eqt-corp-beats-quarterly-profit-estimates-higher-natural-gas-prices-2025-10-21/
Reuters
EQT Corp beats quarterly profit estimates on higher natural gas prices
U.S.-based energy company EQT Corp beat Wall Street estimates for third-quarter profit on Tuesday, benefiting from higher natural gas prices and sales volumes.
Forwarded from Dean's Ticker
3Q25 어닝시즌 특징이 '법인세율' 인하
무디스(MCO)는 22일 3Q25 실적발표에서 법인세율 전망치를 기존 23~25% → 22~23%로 하향 조정.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도 작지만 0.5%p 법인세 인하를 전망. 이로써 기업들의 현금흐름과 ROIC 등 자본효율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펀더멘털 개선에 따른 주가상승, 잉여현금 증가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됨.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2025년 7월 OBBB 법안을 통과시켜 법인세율을 직전 감세법안이었던 TCJA('17~'25) 대비 35% → 21%로 영구적으로 인하한 바 있음
https://www.tg-me.com/d_ticker
무디스(MCO)는 22일 3Q25 실적발표에서 법인세율 전망치를 기존 23~25% → 22~23%로 하향 조정.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도 작지만 0.5%p 법인세 인하를 전망. 이로써 기업들의 현금흐름과 ROIC 등 자본효율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펀더멘털 개선에 따른 주가상승, 잉여현금 증가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됨.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2025년 7월 OBBB 법안을 통과시켜 법인세율을 직전 감세법안이었던 TCJA('17~'25) 대비 35% → 21%로 영구적으로 인하한 바 있음
https://www.tg-me.com/d_ticker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ㄴ한화에어로스페이스
3Q25 Preview: 방산 황제의 영토 확장은 계속된다(목표주가 1,450,000원 유지)
*내년 기준 PER 18.4배네요.
리포트 링크 : https://research.koreainvestment.com/streamdocs/view/sd;streamdocsId=eyJjdHkiOiJKV1QiLCJlbmMiOiJBMTI4Q0JDLUhTMjU2IiwiYWxnIjoiZGlyIn0..sifZhYHQB3aadmhIyEdyCQ.INmdPoBYTjPYXIBwshBJnbWOQ7JliA_JuHc87V89K1vCNYo5y-RhPZJG2z0GmfLCFw8ZYrkMSIYrNvuZpQTwMZ6j0Dn_J30E6qfr01mBDu23C61VMPVq6j7kJGfu6uWVRSNHsZnjE8CFphMJcHO0zdkgJv9CXJ7mFfA_qSA21OaMJD2DFPepvtKnGGFVycsKJEovjkYM_ApG1-gWAzGRkJQseY5Ge3umFfJJbhBJhq84sTFrjIBlEVlxn5MQK6GM.JdO-pZaCVqMGap2uB_vPOA
3Q25 Preview: 방산 황제의 영토 확장은 계속된다(목표주가 1,450,000원 유지)
*내년 기준 PER 18.4배네요.
리포트 링크 : https://research.koreainvestment.com/streamdocs/view/sd;streamdocsId=eyJjdHkiOiJKV1QiLCJlbmMiOiJBMTI4Q0JDLUhTMjU2IiwiYWxnIjoiZGlyIn0..sifZhYHQB3aadmhIyEdyCQ.INmdPoBYTjPYXIBwshBJnbWOQ7JliA_JuHc87V89K1vCNYo5y-RhPZJG2z0GmfLCFw8ZYrkMSIYrNvuZpQTwMZ6j0Dn_J30E6qfr01mBDu23C61VMPVq6j7kJGfu6uWVRSNHsZnjE8CFphMJcHO0zdkgJv9CXJ7mFfA_qSA21OaMJD2DFPepvtKnGGFVycsKJEovjkYM_ApG1-gWAzGRkJQseY5Ge3umFfJJbhBJhq84sTFrjIBlEVlxn5MQK6GM.JdO-pZaCVqMGap2uB_vPOA
👍1
Forwarded from US Stocks Insider 🇺🇸 (미국 주식 인사이더)
선수촌
누군가는 번역해줄 것 같은 내용이니, 영어 번역이 귀찮다면 좀만 기둘 ㅇㅇ
$BYND 공매도 보유자로 켄 그리핀의 시타델(CITADEL)과 마틴 슈크렐리가 언급됨.
게시물에 따르면, 시타델은 과거 $GME 상승장 당시 로빈후드($HOOD)에 매수 버튼 비활성화를 압박한 기관으로 지목됐으며, 마틴 슈크렐리는 과거 에이즈 치료제 다라프림(Daraprim) 가격을 한 알당 $750로 인상해 전국적 비난을 받았던 인물임.
게시물에 따르면, 시타델은 과거 $GME 상승장 당시 로빈후드($HOOD)에 매수 버튼 비활성화를 압박한 기관으로 지목됐으며, 마틴 슈크렐리는 과거 에이즈 치료제 다라프림(Daraprim) 가격을 한 알당 $750로 인상해 전국적 비난을 받았던 인물임.
Forwarded from Dean's Ticker
암페놀, 어닝 & 가이던스 모두 크게 상회 $APH
3Q FY25 Results
= EPS $0.93 (est. $0.80), 86% YoY
= 매출 $6.19b (est. $5.56b), 54% YoY
= GPM 38.1% (est. 36.4%), 4.5%p YoY
= OPM 27.5% (est. 25.3%), 6.6%p YoY
= FCF $1.22b (est. $0.92b), 154% YoY
= DPS $0.25/Share, 52% YoY
= 법인세 : 27.0% (Prior. 24.0%)
= ROIC : 18.0% (Prior. 14.7%)
FY25 Guidance
= EPS $$3.26~3.28 (est. $3.05), 73% YoY
= 매출 $22.66~22.76b (est. $21.70b), 50% YoY
Comment
= 액체측정용 센서 업체 <로체스터센서> 8월 인수 완료
= 고내구성 케이블 업체 <트렉슨> 4Q25 인수 마무리 - $1b
= 네트워크 인프라 기업 CommScope의 케이블 사업부 인수 - $10.5b
→ 다수의 M&A로 포트폴리오를 고마진 제품 중심으로 개편 中
+4.0%
*장초 9% 급등 후 차익실현 발생
데이터센터 케이블 공급업체
3Q FY25 Results
= EPS $0.93 (est. $0.80), 86% YoY
= 매출 $6.19b (est. $5.56b), 54% YoY
= GPM 38.1% (est. 36.4%), 4.5%p YoY
= OPM 27.5% (est. 25.3%), 6.6%p YoY
= FCF $1.22b (est. $0.92b), 154% YoY
= DPS $0.25/Share, 52% YoY
= 법인세 : 27.0% (Prior. 24.0%)
= ROIC : 18.0% (Prior. 14.7%)
FY25 Guidance
= EPS $$3.26~3.28 (est. $3.05), 73% YoY
= 매출 $22.66~22.76b (est. $21.70b), 50% YoY
Comment
= 액체측정용 센서 업체 <로체스터센서> 8월 인수 완료
= 고내구성 케이블 업체 <트렉슨> 4Q25 인수 마무리 - $1b
= 네트워크 인프라 기업 CommScope의 케이블 사업부 인수 - $10.5b
→ 다수의 M&A로 포트폴리오를 고마진 제품 중심으로 개편 中
+4.0%
*장초 9% 급등 후 차익실현 발생
Forwarded from 루팡
테슬라 2025년 3분기 실적 (시간외 -0.4%)
매출: 281억 달러 (예상 262억 달러); 전년 대비 12% 증가
조정 EPS: 0.50달러 (예상 0.54달러); 전년 대비 31% 감소
영업이익: 16억 2천만 달러 (예상 16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40% 감소
총이익률: 18.0% (예상 17.2%); 전년 대비 185bp 하락
잉여현금흐름(FCF): 39억 9천만 달러 (예상 12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46% 증가
영업현금흐름: 62억 4천만 달러; 전년과 유사
현금 및 투자자산: 416억 달러; 전년 대비 24% 증가
운영 실적
차량 인도량: 497,099대; 전년 대비 7% 증가
에너지 저장용량 설치: 12.5GWh; 전년 대비 81% 증가
슈퍼차저 커넥터: 73,817개; 전년 대비 18% 증가
글로벌 차량 인도 및 에너지 저장 부문 모두 사상 최대 기록
부문별 매출
자동차 부문 매출: 212억 1천만 달러; 전년 대비 6% 증가
에너지 발전 및 저장 매출: 34억 2천만 달러; 전년 대비 44% 증가
서비스 및 기타 매출: 34억 8천만 달러; 전년 대비 25% 증가
에너지 저장 부문 총이익: 사상 최대 11억 달러 기록
전망 (OUTLOOK)
물량(Volume)
글로벌 무역 및 재정 정책 변화가 자동차 및 에너지 공급망, 비용 구조, 내구재 및 관련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테슬라는 차량, 에너지 및 미래 사업 성장을 위한 신중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거시경제 환경, 자율주행 기술 가속화 속도, 공장 생산 증설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금(Cash)
우리는 제품 로드맵, 장기적인 생산능력 확충 계획 및 기타 비용을 충당할 충분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불확실한 시기에도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업을 관리할 것입니다.
이익(Profit)
제조 및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한 혁신 실행을 지속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하드웨어 관련 이익이 AI, 소프트웨어, 차량 운용 기반 수익 확대와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제품(Product)
우리는 AI 소프트웨어가 구동하는 서비스 기반 미래 수익화 기회를 고려하여, 비용·규모·효율성을 중심으로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차별화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판매량을 늘리고 있으며, 새로운 공장 및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전 기존 생산능력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사이버캡(Cybercab), 테슬라 세미(Tesla Semi), 메가팩 3(Megapack 3)는 2026년 양산 일정에 맞춰 진행 중입니다.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의 1세대 생산 라인은 양산을 대비해 설치되고 있습니다.
매출: 281억 달러 (예상 262억 달러); 전년 대비 12% 증가
조정 EPS: 0.50달러 (예상 0.54달러); 전년 대비 31% 감소
영업이익: 16억 2천만 달러 (예상 16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40% 감소
총이익률: 18.0% (예상 17.2%); 전년 대비 185bp 하락
잉여현금흐름(FCF): 39억 9천만 달러 (예상 12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46% 증가
영업현금흐름: 62억 4천만 달러; 전년과 유사
현금 및 투자자산: 416억 달러; 전년 대비 24% 증가
운영 실적
차량 인도량: 497,099대; 전년 대비 7% 증가
에너지 저장용량 설치: 12.5GWh; 전년 대비 81% 증가
슈퍼차저 커넥터: 73,817개; 전년 대비 18% 증가
글로벌 차량 인도 및 에너지 저장 부문 모두 사상 최대 기록
부문별 매출
자동차 부문 매출: 212억 1천만 달러; 전년 대비 6% 증가
에너지 발전 및 저장 매출: 34억 2천만 달러; 전년 대비 44% 증가
서비스 및 기타 매출: 34억 8천만 달러; 전년 대비 25% 증가
에너지 저장 부문 총이익: 사상 최대 11억 달러 기록
전망 (OUTLOOK)
물량(Volume)
글로벌 무역 및 재정 정책 변화가 자동차 및 에너지 공급망, 비용 구조, 내구재 및 관련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테슬라는 차량, 에너지 및 미래 사업 성장을 위한 신중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거시경제 환경, 자율주행 기술 가속화 속도, 공장 생산 증설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금(Cash)
우리는 제품 로드맵, 장기적인 생산능력 확충 계획 및 기타 비용을 충당할 충분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불확실한 시기에도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업을 관리할 것입니다.
이익(Profit)
제조 및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한 혁신 실행을 지속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하드웨어 관련 이익이 AI, 소프트웨어, 차량 운용 기반 수익 확대와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제품(Product)
우리는 AI 소프트웨어가 구동하는 서비스 기반 미래 수익화 기회를 고려하여, 비용·규모·효율성을 중심으로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차별화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판매량을 늘리고 있으며, 새로운 공장 및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전 기존 생산능력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사이버캡(Cybercab), 테슬라 세미(Tesla Semi), 메가팩 3(Megapack 3)는 2026년 양산 일정에 맞춰 진행 중입니다.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의 1세대 생산 라인은 양산을 대비해 설치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