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Girls Inc 곰탕 WL 이벤트 🎉
🍯beradrome, bullas 등 프로젝트와 협업하며 오랫동안 베라의 빌더로 활동한 빌더 broccoli 가 몇 베라 커뮤니티 멤버와 빌딩하는 프로젝트 Future Girls Inc 의 WL 이벤트입니다!
🐻독특한 색감과 디자인으로 모바일 게임과 pfp 컬렉션을 기획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단 다른 것 보다 아트 디자인이 확 눈에 띄는 편
🐻래플 상세
- 래플 상품 : GTD 50 (일단 제출하면 된다 수준?)
- 참가 방법 : 1) 👉 구글폼 EVM 주소 제출
2) 👉 트위터 팔로우
- 참가 기한 : 4/16(수) 1AM 까지
🐻민팅정보
- supply : 2666
- 가격 : 약 $35
- 일정 : 4/17 (아마도 늦게쯤?)
- 장소 : 매직에덴
🐻추가정보
- 일단 genesis를 민팅하고, 추후 pfp 콜렉션이 에어드랍됨
- 유틸 관점에서는 역시 bullas 처럼 oBERO 와 BGT(리워드볼트 승인시) 를 기대해볼 수 있을지도... nft와의 연계는 확실하진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디자인 컨셉이 마음에 들어서 민팅해볼 생각인데, 하입은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곰.
🍯beradrome, bullas 등 프로젝트와 협업하며 오랫동안 베라의 빌더로 활동한 빌더 broccoli 가 몇 베라 커뮤니티 멤버와 빌딩하는 프로젝트 Future Girls Inc 의 WL 이벤트입니다!
🐻독특한 색감과 디자인으로 모바일 게임과 pfp 컬렉션을 기획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단 다른 것 보다 아트 디자인이 확 눈에 띄는 편
🐻래플 상세
- 래플 상품 : GTD 50 (일단 제출하면 된다 수준?)
- 참가 방법 : 1) 👉 구글폼 EVM 주소 제출
2) 👉 트위터 팔로우
- 참가 기한 : 4/16(수) 1AM 까지
🐻민팅정보
- supply : 2666
- 가격 : 약 $35
- 일정 : 4/17 (아마도 늦게쯤?)
- 장소 : 매직에덴
🐻추가정보
- 일단 genesis를 민팅하고, 추후 pfp 콜렉션이 에어드랍됨
- 유틸 관점에서는 역시 bullas 처럼 oBERO 와 BGT(리워드볼트 승인시) 를 기대해볼 수 있을지도... nft와의 연계는 확실하진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디자인 컨셉이 마음에 들어서 민팅해볼 생각인데, 하입은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곰.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3❤4
Forwarded from 베라체인 곰지채널
베라체인 거버넌스 업데이트 (04.15) 🐻
가디언즈 어셈블
이번 거버넌스 변경 사항은 거버넌스 가디언 위원회가 도입되어 RFRV(Reward Funding Request Vault) 승인 과정을 더욱 투명하고 분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거버넌스 가디언 (5인)
• Joon Kim: 독립된 BGT 재단 이사, Celestia 재단 이사이자 Cornell Law School JD 학위 보유
• Homme: Bera Chain 재단 이사, Berachain 공동 창립자
• Janitoor: The Honey Jar 창립자
• Yogi: Bera Labs의 생태계 책임자
• Matt: Asymmetric Research(AR) 리서처
새로운 거버넌스 과정
1. 프로토콜 팀이 Typeform을 작성하고 거버넌스 포럼에 게시하여 리워드 볼트 신청
2. 독립적인 BGT 재단이 Berachain 생태계 팀에 피드백 및 질문 제공 요청
3. 커뮤니티 멤버들의 포럼 참여 및 질문
4. 초기 실사 과정 후, BGT 재단이 Berachain 생태계 팀에 거버넌스 가디언에게 제공할 권고안 작성 요청
5. 가디언들의 다수결 투표로 결정 (이해 충돌 시 해당 가디언은 투표 기권)
6. 매주 새로운 리워드 볼트 활성화 전, 승인 여부에 대한 공개 결정 발표
이번 주 승인된 리워드 볼트 목록
베라체인 블로그에서 자세히 확인하기 🐼
🌀 디스프레드 밸리데이터
🔗 코리안베라즈 커뮤니티 허브
가디언즈 어셈블
이번 거버넌스 변경 사항은 거버넌스 가디언 위원회가 도입되어 RFRV(Reward Funding Request Vault) 승인 과정을 더욱 투명하고 분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거버넌스 가디언 (5인)
• Joon Kim: 독립된 BGT 재단 이사, Celestia 재단 이사이자 Cornell Law School JD 학위 보유
• Homme: Bera Chain 재단 이사, Berachain 공동 창립자
• Janitoor: The Honey Jar 창립자
• Yogi: Bera Labs의 생태계 책임자
• Matt: Asymmetric Research(AR) 리서처
새로운 거버넌스 과정
1. 프로토콜 팀이 Typeform을 작성하고 거버넌스 포럼에 게시하여 리워드 볼트 신청
2. 독립적인 BGT 재단이 Berachain 생태계 팀에 피드백 및 질문 제공 요청
3. 커뮤니티 멤버들의 포럼 참여 및 질문
4. 초기 실사 과정 후, BGT 재단이 Berachain 생태계 팀에 거버넌스 가디언에게 제공할 권고안 작성 요청
5. 가디언들의 다수결 투표로 결정 (이해 충돌 시 해당 가디언은 투표 기권)
6. 매주 새로운 리워드 볼트 활성화 전, 승인 여부에 대한 공개 결정 발표
이번 주 승인된 리워드 볼트 목록
BEX POOLS (Vault Proposer — Pool)
- Wizzwoods — WIZZ/wBERA
NON-BEX POOLS (DEX — Vault Proposer — Pair)
- Wasabee — Wasabee — iBERA/wBERA
- Wasabee — Wasabee — wgBERA/wBERA
- Kodiak — Bedrock — BR/wBERA
- Kodiak — BeraBorrow — POLLEN/wBERA
- Kodiak — Henlo — HENLO/wBERA
- Kodiak — Ooga Booga — OOGA/wBERA
- Kodiak — OpenState — osBGT/iBERA
- Kodiak — BeraPaw — LBGT/wBERA
- Kodiak — BakerDAO — LBGT/BREAD
NON-DEX Vaults (Proposer - Utility)
- BULL ISH — Bullas Game
- Dolomite — dBERA
- Henlo — Henlockers (100M, 330M, 420M, 690M, 1B)
- D2 Finance — dgnBeraLand
- D2 Finance — HyperBera.USDC
- WeBera Finance — weiBERA Vault
- WeBera Finance — weWBERA Vault
베라체인 블로그에서 자세히 확인하기 🐼
🔗 코리안베라즈 커뮤니티 허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1
Forwarded from 베라체인 곰지채널
BeraHive Seoul 하이라이트 요약 🐻
4월 15일 화요일 개최된 BeraHive Seoul 밋업에 와주신 여러분들에게 모두 감사드리며, 참석하지 못하셨던 분들을 위해 베라체인 APAC 생태계 리드, Ella의 발표 내용을 요약해드립니다.
베라체인 주요 지표
- 활성 계정: 약 400만 개
- 일일 트랜잭션: 180만 개
- HONEY 토큰 공급량: 3억 7300만 달러
- TVL 랭킹: 7위
- 최근 일주일 DEX 볼륨: 13위
역플라이휠 안정화 시나리오
인센티브 감소 -> BGT 수익률 하락
BGT 소각으로 BERA 교환 -> BERA 하락
BGT 클레임 감소 -> APR 상승
LP 수익률 상승 -> 플라이휠 안정화
진짜 유동성 증명이란, 프로덕트를 위한 경제 엔진
프로덕트 빌딩 -> 수익 창출 -> 인센티브 부여 -> 유동성 증명을 통한 수익 분배 -> 반복
베라체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어떻게 하면 APR을 높일지가 아닌, 사용자가 매일 사용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안착시키는 것
유동성 증명은 이를 위한 경제 엔진이다.
———————————————————-
이외에도 THJ, 인프라레드, Moby, Alterim 등의 베라체인 생태계 프로젝트 팀에서 새로운 소식과 업데이트 등을 공유해주셨습니다.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디스프레드 밸리데이터
🔗 코리안베라즈 커뮤니티 허브
4월 15일 화요일 개최된 BeraHive Seoul 밋업에 와주신 여러분들에게 모두 감사드리며, 참석하지 못하셨던 분들을 위해 베라체인 APAC 생태계 리드, Ella의 발표 내용을 요약해드립니다.
베라체인 주요 지표
- 활성 계정: 약 400만 개
- 일일 트랜잭션: 180만 개
- HONEY 토큰 공급량: 3억 7300만 달러
- TVL 랭킹: 7위
- 최근 일주일 DEX 볼륨: 13위
역플라이휠 안정화 시나리오
인센티브 감소 -> BGT 수익률 하락
BGT 소각으로 BERA 교환 -> BERA 하락
BGT 클레임 감소 -> APR 상승
LP 수익률 상승 -> 플라이휠 안정화
진짜 유동성 증명이란, 프로덕트를 위한 경제 엔진
프로덕트 빌딩 -> 수익 창출 -> 인센티브 부여 -> 유동성 증명을 통한 수익 분배 -> 반복
베라체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어떻게 하면 APR을 높일지가 아닌, 사용자가 매일 사용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안착시키는 것
유동성 증명은 이를 위한 경제 엔진이다.
———————————————————-
이외에도 THJ, 인프라레드, Moby, Alterim 등의 베라체인 생태계 프로젝트 팀에서 새로운 소식과 업데이트 등을 공유해주셨습니다.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코리안베라즈 커뮤니티 허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1🤮1
베라 곰탕 본점 🐻⛓️♨️
Future Girls Inc 곰탕 WL 이벤트 🎉 🍯beradrome, bullas 등 프로젝트와 협업하며 오랫동안 베라의 빌더로 활동한 빌더 broccoli 가 몇 베라 커뮤니티 멤버와 빌딩하는 프로젝트 Future Girls Inc 의 WL 이벤트입니다! 🐻독특한 색감과 디자인으로 모바일 게임과 pfp 컬렉션을 기획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단 다른 것 보다 아트 디자인이 확 눈에 띄는 편 🐻래플 상세 - 래플 상품 : GTD 50…
Future Girls Inc 곰탕 WL 이벤트 당첨자 발표 🎉
는 없고 제출하신 전원 당첨입니다곰🌟 🌟
제 몫의 2개분 빼고 딱 맞게 다 들어와서 주소 제출했습니다
민팅은 23일 매직에덴에서 할 예정이라하고, 민팅 전에 다시 포스팅하겠곰
는 없고 제출하신 전원 당첨입니다곰
제 몫의 2개분 빼고 딱 맞게 다 들어와서 주소 제출했습니다
민팅은 23일 매직에덴에서 할 예정이라하고, 민팅 전에 다시 포스팅하겠곰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1
Forwarded from 슈드
Ramen 토큰 출시 방식 살짝 변화
Public Round 기능 정식 도입
가챠를 쓰거나 입찰을 받았던 라멘에서 퍼블릭 라운드도 만든다고 합니다.
핵심 업데이트 내용
1. Public Round(공개 라운드) 신설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오픈 라운드
프로젝트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 가능 (토큰 수량, 가격, 지갑당 참여 한도 등) 커뮤니티 라운드에서 남은 물량 자동 이월
2. Community Round 개편
기존 Private / Gacha / Overflow 라운드를 하나로 통합
새로운 구조:
Community GTD (보장 배정)
gRAMEN 소지자: Gacha 참여 후 당첨 시 최대 10장까지 할당
프로젝트 측에서 지정한 화이트리스트 지갑도 참여 가능
일반적으로 4시간 운영
Community FCFS (선착순)
GTD에서 남은 물량을 선착순
gacha 참여자 중 미당첨자도 최대 5배까지 참여 가능
일반적으로 1시간 운영
3. Public Round (공개 라운드)
화이트리스트 불필요, 누구나 참여 가능, 커뮤니티 라운드에서 남은 물량 자동 이월
제 생각
사실 장이 좋지 않아서 쉽지 않습니다. 우가부가는 대박이 나긴했지만 토큰 세일이 곧 수익이다 라고 할건 없는 것 같습니다만 계속해서 발전하려고 하는 건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나올 여러 토큰런치패드도 찍먹할 생각입니다! 누구나 다 참여할 수 있다는 건 고무적이긴 합니다.
https://ramenfinance.medium.com/introducing-public-round-9d7c84648627
❤3👍3🖕2
Beraji-KO 프리시즌 오픈 !!
👉트윗원문
🍯Beraji 의 게임&디파이 Beraji-KO 프리시즌이 오늘 7시 시작합니다. NFT 잔뜩 물린김에 알아보는데 너무 복잡해서.... NFT 보유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보겠곰
👉참고설명
🐻크게 두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 카드 게임 영역과 디파이 영역
1️⃣디파이 영역
👉게임 스테이킹 설명 트윗
‼️ 먼지가 된 각종 베라 자산 스테이킹을 하면 APR 에 따른 aSUGAR 를 먼저 수취할 수 있고 = 사실상 이름만 스테이킹인 렌딩, 스테이킹 자산 하락에 따른 청산 위험 존재.. 스테이킹 빼려면 aSUGAR 를 상환해야함, 상환/스왑 수수료 꽤 쎔 (2%)
🐻일단 머리를 꽤 잘썼다고 생각하는게 본인들 토큰을 대출해주는 렌딩을 스테이킹으로 표현했고..(다만 이자가 나가는게 아니라 들어오는) 대출 받는 aSUGAR 를 통해 oBERO 와 BGT(베라페어 승인시) 를 얻을 수 있게 만들어 수요를 만들어낼 예정인듯 하곰
2️⃣카드게임 영역
- 베라 생태계 각종 프로젝트의 토큰가격/NFT바닥가/트윗활성화 등 정보를 카드에 실시간 반영해 베라 상금을 두고 pvp 할 수 있는 구조
- 볼륨을 넣어서 이득을 만들 수 있는 구조라기보다는 저처럼 물려있는 NFT, 생태계 자산들이 있으면 카드게임에 활용해서 aSUGAR, BERA 등의 용돈을 타가는 것이 기본 구조인 시스템
- 순위에 들면 토너먼트 등의 상위 상금이 있는 게임에 참가할 수 있고, beraji NFT 보유 + 기본 참가 횟수만 채워도 얻을 수 있는 기본 상금도 존재
🐝리스크
- 각종 NFT/토큰을 쉽게 믿고 스테이킹할 수 있느냐하는 기본적인 컨트랙트 신뢰 리스크
- 어차피 가만히 냅두는거 여기다 넣어서 꽁 토큰이라도 얻자 vs 어떤 토큰/NFT 의 미래 보상을 위한 스냅샷이 존재한다면 스테이킹해놔서 얻지 못할 가능성
🐝일단 이정도인 것 같은데 지금 막 런칭된거 이거저거 살펴보고 또 포스팅해보겠곰.. 아니면 같이 해보면서 알아가보자곰
👉트윗원문
🍯Beraji 의 게임&디파이 Beraji-KO 프리시즌이 오늘 7시 시작합니다. NFT 잔뜩 물린김에 알아보는데 너무 복잡해서.... NFT 보유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보겠곰
👉참고설명
🐻크게 두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 카드 게임 영역과 디파이 영역
1️⃣디파이 영역
👉게임 스테이킹 설명 트윗
- 파트너 베라 자산을 스테이킹하면 aSUGAR 를 파밍 가능 (펼쳐서 목록 열기)
-NFT
Steady teddys
TheBullas
Bit Bears
Band Bears
Baby Bears
Boo Bears
HoneyComb
Yeetard
hungrybera
Big Stronk Beras
THC
Smilee Beras
-토큰
$HENLO
$iBGT
$OOGA
$LBGT
$BERA
$NAV
$YEET
$RAMEN
$POLLEN
$HOLD
‼️ 먼지가 된 각종 베라 자산 스테이킹을 하면 APR 에 따른 aSUGAR 를 먼저 수취할 수 있고 = 사실상 이름만 스테이킹인 렌딩, 스테이킹 자산 하락에 따른 청산 위험 존재.. 스테이킹 빼려면 aSUGAR 를 상환해야함, 상환/스왑 수수료 꽤 쎔 (2%)
🐻일단 머리를 꽤 잘썼다고 생각하는게 본인들 토큰을 대출해주는 렌딩을 스테이킹으로 표현했고..
2️⃣카드게임 영역
- 베라 생태계 각종 프로젝트의 토큰가격/NFT바닥가/트윗활성화 등 정보를 카드에 실시간 반영해 베라 상금을 두고 pvp 할 수 있는 구조
- 볼륨을 넣어서 이득을 만들 수 있는 구조라기보다는 저처럼 물려있는 NFT, 생태계 자산들이 있으면 카드게임에 활용해서 aSUGAR, BERA 등의 용돈을 타가는 것이 기본 구조인 시스템
- 순위에 들면 토너먼트 등의 상위 상금이 있는 게임에 참가할 수 있고, beraji NFT 보유 + 기본 참가 횟수만 채워도 얻을 수 있는 기본 상금도 존재
🐝리스크
- 각종 NFT/토큰을 쉽게 믿고 스테이킹할 수 있느냐하는 기본적인 컨트랙트 신뢰 리스크
- 어차피 가만히 냅두는거 여기다 넣어서 꽁 토큰이라도 얻자 vs 어떤 토큰/NFT 의 미래 보상을 위한 스냅샷이 존재한다면 스테이킹해놔서 얻지 못할 가능성
🐝일단 이정도인 것 같은데 지금 막 런칭된거 이거저거 살펴보고 또 포스팅해보겠곰.. 아니면 같이 해보면서 알아가보자곰
❤2
베라 곰탕 본점 🐻⛓️♨️
Beraji-KO 프리시즌 오픈 !! 👉트윗원문 🍯Beraji 의 게임&디파이 Beraji-KO 프리시즌이 오늘 7시 시작합니다. NFT 잔뜩 물린김에 알아보는데 너무 복잡해서.... NFT 보유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보겠곰 👉참고설명 🐻크게 두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 카드 게임 영역과 디파이 영역 1️⃣디파이 영역 👉게임 스테이킹 설명 트윗 - 파트너 베라 자산을 스테이킹하면 aSUGAR 를 파밍 가능 (펼쳐서 목록 열기) -NFT Steady…
beraji-KO 디파이/NFT 스테이킹 영역 추가 설명
👉docs 참고
👉설명 트윗 참고
🍯표현이 스테이킹으로 되어있지만 사실 렌딩이고, 여기서 얻어지는 aSUGAR 는 LST 토큰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얻는 양이 늘어나지만 결국 담보(스테이킹) 자산을 회수할때 전량 상환해야합니다. (모든 스왑/상환 수수료 2%) -> 뭔가 NFT나 토큰마다 상환조건이 조금씩 다른것 같곰 꼭 확인 필요!!
🐻그러면 aSUGAR 로 뭘 할 수 있는데?
1️⃣베라드롬에서 aSUGAR 단일풀로 oBERO 파밍 (SOON)
2️⃣aSUGAR/WBERA LP로 BGT 파밍 (SOON)
🐻스테이킹 빨리하면 뭐가 좋곰?
- 어차피 상환해야하지만 어쨌든 aSUGAR가 늘어나기에 만약 베라드롬과 BGT 풀이 미래의 꿀통이 된다면 미리 모아두는게 좋긴 합니다.
🐻리스크
- 청산 리스크 : 담보 50% 하락시(?) 7일 타이머가 돌고, 7일동안 aSUGAR를 상환하지 않으면 청산
- 아마 모든 트젝에 2% 텍스가 붙는 것 같은데 요것도... (미확인)
🐝아무런 쓸모없이 놀고있는 NFT/토큰을 활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되겠지만 일단 aSUGAR 에 대한 파밍처가 soon 이라서, 리스크를 지고 미리 진입해서 aSUGAR를 모을 작전인지 아니면 상황보고 진입할지 정도 판단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풀 보상이 빈집 꿀통이 된다면 어느정도 수요가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 같곰
👉docs 참고
👉설명 트윗 참고
🍯표현이 스테이킹으로 되어있지만 사실 렌딩이고, 여기서 얻어지는 aSUGAR 는 LST 토큰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얻는 양이 늘어나지만 결국 담보(스테이킹) 자산을 회수할때 전량 상환해야합니다. (모든 스왑/상환 수수료 2%) -> 뭔가 NFT나 토큰마다 상환조건이 조금씩 다른것 같곰 꼭 확인 필요!!
🐻그러면 aSUGAR 로 뭘 할 수 있는데?
1️⃣베라드롬에서 aSUGAR 단일풀로 oBERO 파밍 (SOON)
2️⃣aSUGAR/WBERA LP로 BGT 파밍 (SOON)
🐻스테이킹 빨리하면 뭐가 좋곰?
- 어차피 상환해야하지만 어쨌든 aSUGAR가 늘어나기에 만약 베라드롬과 BGT 풀이 미래의 꿀통이 된다면 미리 모아두는게 좋긴 합니다.
🐻리스크
- 청산 리스크 : 담보 50% 하락시(?) 7일 타이머가 돌고, 7일동안 aSUGAR를 상환하지 않으면 청산
- 아마 모든 트젝에 2% 텍스가 붙는 것 같은데 요것도... (미확인)
🐝아무런 쓸모없이 놀고있는 NFT/토큰을 활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되겠지만 일단 aSUGAR 에 대한 파밍처가 soon 이라서, 리스크를 지고 미리 진입해서 aSUGAR를 모을 작전인지 아니면 상황보고 진입할지 정도 판단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풀 보상이 빈집 꿀통이 된다면 어느정도 수요가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 같곰
❤2💯1
베라 TMI : '나 덤핑한거 아니고 지갑 나눈거야'
👉트윗원문
🍯최근 iBGT를 던졌던 고래는 최근 베라, 헨로, 스테디를 대량으로 매수하면서 이목을 끌었던 OG General 이라는 형님인데 트윗을 올리며 '다크모드' 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곰
🐻이에 본인도 똑같이 덤핑했었던 NAV햄이 '나중에 보이코 언락 지나서 살지 궁금한데 볼륨 보니까 아직 안산 것 같네ㅋㅋ' 라고 인용했고, '나는 적어도 숨기진 않는다' 며 개밉상 멘트를...
🐻OG General 은 마지막에 미베라 준비됐냐고 남겼는데... 현재 그의 스테디 보유량은 158개
👉트윗원문
🍯최근 iBGT를 던졌던 고래는 최근 베라, 헨로, 스테디를 대량으로 매수하면서 이목을 끌었던 OG General 이라는 형님인데 트윗을 올리며 '다크모드' 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곰
🐻이에 본인도 똑같이 덤핑했었던 NAV햄이 '나중에 보이코 언락 지나서 살지 궁금한데 볼륨 보니까 아직 안산 것 같네ㅋㅋ' 라고 인용했고, '나는 적어도 숨기진 않는다' 며 개밉상 멘트를...
🐻OG General 은 마지막에 미베라 준비됐냐고 남겼는데... 현재 그의 스테디 보유량은 158개
🤨2
미베라 우편의 이스터에그, 적혀있는 주소에 담긴 내용들
👉트윗원문
🍯미베라 우편에는 간혹 실제 주소가 적혀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주소에는 미베라의 컨셉, 또는 미베라가 추구하는 컬트적 사상과 관련된 장소와 관련 되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First 710 Ashbury st located in San Franscisco, "The Grateful Dead House" : 밴드 그레이트풀데드가 거주했고, 해당 지역은 1960년대 히피운동의 중심지
🐻43 S 5th street San Jose CA : 그레이프풀데드의 첫번째 공연과 Acid test (단체 LSD 파티; 당시엔 합법이었다고...) 가 열린 장소
🐻1483 Shulgin Rd Lafayette CA : 즐거운 집단 생활의 본질을 연구하는 섹스컬트(??)의 성지
🐻2030 willard h dow center (다우케미컬본사) : 여기서 수석 화학자로 일했던 알렉산더 T. 슐긴은 엑스터시의 대부라고..
🐻general wade military rd and 4700 s bureau rd : 교도소 인 것 같은데 잘 몰?루겠 (댓글보면 그레이트풀데드 투어에서 LSD 를 돌리던 사람이 복역하던 곳이라는 말도...)
🐝미베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과 컨셉으로 가득차있지만.. 밀라디의 시이퍼펑크에 기원하면서도 사뭇 다른 정체성을 만들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의견)
🐝가격이나 하입을 떠나서.. 과연 컬렉션이 리빌된 이후에는 어떤 커뮤니티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가 궁금한 미베라곰
👉트윗원문
🍯미베라 우편에는 간혹 실제 주소가 적혀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주소에는 미베라의 컨셉, 또는 미베라가 추구하는 컬트적 사상과 관련된 장소와 관련 되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First 710 Ashbury st located in San Franscisco, "The Grateful Dead House" : 밴드 그레이트풀데드가 거주했고, 해당 지역은 1960년대 히피운동의 중심지
🐻43 S 5th street San Jose CA : 그레이프풀데드의 첫번째 공연과 Acid test (단체 LSD 파티; 당시엔 합법이었다고...) 가 열린 장소
🐻1483 Shulgin Rd Lafayette CA : 즐거운 집단 생활의 본질을 연구하는 섹스컬트(??)의 성지
🐻2030 willard h dow center (다우케미컬본사) : 여기서 수석 화학자로 일했던 알렉산더 T. 슐긴은 엑스터시의 대부라고..
🐻general wade military rd and 4700 s bureau rd : 교도소 인 것 같은데 잘 몰?루겠 (댓글보면 그레이트풀데드 투어에서 LSD 를 돌리던 사람이 복역하던 곳이라는 말도...)
🐝미베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과 컨셉으로 가득차있지만.. 밀라디의 시이퍼펑크에 기원하면서도 사뭇 다른 정체성을 만들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의견)
🐝가격이나 하입을 떠나서.. 과연 컬렉션이 리빌된 이후에는 어떤 커뮤니티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가 궁금한 미베라곰
미베라
❤1
BGT capture와 APR 이 어긋나보이는 이유 : BGT 램프 개념
👉docs 읽기
🍯PoL 시작할 당시 해당 포스팅으로 적긴 했지만... 여전히 설명하기 어려워 다시 작성하곰. 일단 대충 개념만 알고 있다면 충분히 꿀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BGT 보상 분배는 3일간에 걸쳐 이뤄지곰
- 리워드볼트가 "현재" 가진 BGT를 3일로 나누어 분배
- 그래서 당장 BGT capture가 너무 높거나 아예 없어도, "현재" 보유 물량을 나누어 분배하기 때문에 APR 반영에 약간의 버퍼링이 생기는 개념
🐻썸넬 예시 참고 : BGT 분배가 아예 없던 풀이 capture를 받기 시작할때
🐝 엄밀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디테일하게 틀린 부분들이 있는 설명이지만 실제로 furthermore 나 bgtscan 을 참고하면서 활용하기에는 큰 문제는 없곰
🐻그래도 뭔지 모르겠다? 그럼 이것만 외우자곰!!
👉docs 읽기
🍯PoL 시작할 당시 해당 포스팅으로 적긴 했지만... 여전히 설명하기 어려워 다시 작성하곰. 일단 대충 개념만 알고 있다면 충분히 꿀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BGT capture % 는 APR 을 선행한다.
🐻BGT 보상 분배는 3일간에 걸쳐 이뤄지곰
- 리워드볼트가 "현재" 가진 BGT를 3일로 나누어 분배
- 그래서 당장 BGT capture가 너무 높거나 아예 없어도, "현재" 보유 물량을 나누어 분배하기 때문에 APR 반영에 약간의 버퍼링이 생기는 개념
🐻썸넬 예시 참고 : BGT 분배가 아예 없던 풀이 capture를 받기 시작할때
- 구간1 (0~1일) : BGT capture를 받기 시작한 풀이라면, 아무리 많이 받더라도 당장 모아놓은 "현재" BGT가 적기 때문에, APR이 서서히 증가
- 구간2 (1일~2일) : BGT capture가 줄어 2.5%를 받더라도, 아직 1일치 쌓은 상태라 APR이 APR은 소폭 오르거나 거의 유지 (실제 계산하면 내려갈 수 도 있지만 대강 개념은 이렇습니다)
- 구간3 (2일~3일) : capture는 구간1보다 적지만 누적된 BGT가 3일을 채워서 APR 증가폭 커짐
- 구간4 (3일~6일) : capture는 0% 이지만 보유중인 BGT가 있으므로 3일간 서서히 감소
🐝 엄밀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디테일하게 틀린 부분들이 있는 설명이지만 실제로 furthermore 나 bgtscan 을 참고하면서 활용하기에는 큰 문제는 없곰
🐻그래도 뭔지 모르겠다? 그럼 이것만 외우자곰!!
BGT capture % 는 APR 을 선행한다.
❤4👍1
Forwarded from Mid-curve Research (tranks)
플라이휠은 돌지 않았다. 왜?
프로토콜의 인센티브가 회복하는 추이가 관찰되었지만, 이 추이가 장기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아니, 정확하게 얘기하면 $BERA 가격 상승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며칠 간 그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고, 생태계 빌더들의 의견을 참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현 인센티브 지급 구조의 문제
지금 프로토콜이 인센티브를 배출할 때 설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는 총 3가지입니다.
즉, 인센티브가 지출되는 전체 기간을 프로토콜이 설정할 수 없으며, 밸리데이터들의 보팅이 쏠릴 경우 빠르면 반나절만에 인센티브가 고갈되곤 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밸리데이터들은 인센티브 레이트가 높게 설정된 리워드 볼트를 쫓아 보팅 변경을 자주 실행하게 되고, 빠른 보팅 변경을 소화하지 못하는 밸리데이터들로 인해 해당 밸리데이터에게 위임된 $BGT의 내제가치는 하락하여 전체 $BGT의 내제가치와 희석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프로토콜들 또한 낮은 인센티브 레이트로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지출을 보장하는 것이 아닌, 높은 레이트로 단기 배출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BGT 배출 확보가 프로토콜의 장기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것이 아니라 높은 인센티브를 배출하는 저시총 토큰의 펌프앤 덤프를 유도하게 됩니다.
“뭐 그래도 단기적으로는 PoL 참여 수요가 증가하며 $BERA 가격도 올라야 하는거 아냐?”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여기에는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합니다.
- 유동성 $BGT의 가치 흡수
투자자들은 인센티브 총량이 늘어날 때, 유동성 $BGT 토큰을 매수하여 단기적으로 인센티브를 수취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즉, 인센티브 총량이 증가하면, 유동성 $BGT 토큰들이 $BERA보다 우선적으로 인센티브 증가에 대한 가치 포착에 성공하게 됩니다.
물론, 유동성 $BGT 토큰들의 프리미엄이 상승하면, PoL 참여 수요를 끌어올려 장기적으로는 $BERA 가격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에게 플라이휠 모멘텀이 생겼다는 것을 각인시키고, 유동성 공급을 통한 $BGT 파밍을 유도하는 데에는 조금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동안 프로토콜들이 간헐적으로 지출하는 인센티브는 고갈되어 버리고, 유동성 $BGT 토큰의 프리미엄 또한 상승을 멈추며 PoL 참여에 필요한 $BERA의 수요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10일간의 인센티브 배출량의 증가가 $BERA 가격 증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프로토콜의 인센티브가 회복하는 추이가 관찰되었지만, 이 추이가 장기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아니, 정확하게 얘기하면 $BERA 가격 상승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며칠 간 그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고, 생태계 빌더들의 의견을 참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현 인센티브 지급 구조의 문제
지금 프로토콜이 인센티브를 배출할 때 설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는 총 3가지입니다.
1. 어떤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2. 얼마나 많은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3. 풀에서 발생되는 $BGT 1개 당 몇 개의 인센티브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즉, 인센티브가 지출되는 전체 기간을 프로토콜이 설정할 수 없으며, 밸리데이터들의 보팅이 쏠릴 경우 빠르면 반나절만에 인센티브가 고갈되곤 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밸리데이터들은 인센티브 레이트가 높게 설정된 리워드 볼트를 쫓아 보팅 변경을 자주 실행하게 되고, 빠른 보팅 변경을 소화하지 못하는 밸리데이터들로 인해 해당 밸리데이터에게 위임된 $BGT의 내제가치는 하락하여 전체 $BGT의 내제가치와 희석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프로토콜들 또한 낮은 인센티브 레이트로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지출을 보장하는 것이 아닌, 높은 레이트로 단기 배출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BGT 배출 확보가 프로토콜의 장기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것이 아니라 높은 인센티브를 배출하는 저시총 토큰의 펌프앤 덤프를 유도하게 됩니다.
“뭐 그래도 단기적으로는 PoL 참여 수요가 증가하며 $BERA 가격도 올라야 하는거 아냐?”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여기에는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합니다.
- 유동성 $BGT의 가치 흡수
투자자들은 인센티브 총량이 늘어날 때, 유동성 $BGT 토큰을 매수하여 단기적으로 인센티브를 수취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즉, 인센티브 총량이 증가하면, 유동성 $BGT 토큰들이 $BERA보다 우선적으로 인센티브 증가에 대한 가치 포착에 성공하게 됩니다.
물론, 유동성 $BGT 토큰들의 프리미엄이 상승하면, PoL 참여 수요를 끌어올려 장기적으로는 $BERA 가격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에게 플라이휠 모멘텀이 생겼다는 것을 각인시키고, 유동성 공급을 통한 $BGT 파밍을 유도하는 데에는 조금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동안 프로토콜들이 간헐적으로 지출하는 인센티브는 고갈되어 버리고, 유동성 $BGT 토큰의 프리미엄 또한 상승을 멈추며 PoL 참여에 필요한 $BERA의 수요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10일간의 인센티브 배출량의 증가가 $BERA 가격 증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5❤2
Forwarded from Mid-curve Research (tranks)
Mid-curve Research
플라이휠은 돌지 않았다. 왜? 프로토콜의 인센티브가 회복하는 추이가 관찰되었지만, 이 추이가 장기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아니, 정확하게 얘기하면 $BERA 가격 상승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며칠 간 그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고, 생태계 빌더들의 의견을 참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현 인센티브 지급 구조의 문제 지금 프로토콜이 인센티브를 배출할 때 설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는 총 3가지입니다. 1. 어떤…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우선 위 내용들은 이미 산발적으로 트위터 상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들이므로, 팀들도 이런 문제들을 인지하고 있고, 차차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베라체인 재단은 그리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의견을 몇 자 적어보자면,
우선적으로 지속성이 있는 인센티브 배출을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인센티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번의 경우, 인센티브 배출량 대비 레이트 한도를 설정하거나 에포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재단은 일단 PoL이 시작되며 3일로 줄어든 램프기간을 7일로 다시 늘리는 방식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해당 방식이 도입되면 지금과 같은 현상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외에도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할 것 같아 보입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BGT 배출이 프로토콜의 수익을 증진(렌딩 프로토콜에서 대출에 대한 $BGT 지급과 같이)시키고, 해당 수익을 다시 인센티브로 활용하는 좋은 선례를 필두로 이러한 리워드 볼트들이 더욱 활성화되는 생태계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번의 경우, 프로젝트와 밸리데이터간의 개인적인 DM이 아니라 퍼블릭하게 프로토콜의 제안을 볼 수 있는 창구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유동성 $BGT 프로토콜의 $BGT 보팅 거버넌스 도입 또한 빨리 이루어져 협상의 창구가 더 넓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유동성 $BGT 프로토콜들의 거버넌스가 도입되면, 프로토콜 입장에서도 해당 거버넌스 토큰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생겨 지속가능성이 보장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가 간단하게 생각한 내용은 이정도인데, 제 의견 외에도 $BERA의 가치 추출에 대해 네이티브 디앱을 활용하자는 색다른 아이디어를 낸 IVX의 파운더의 bobdbldr의 스레드도 읽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처음으로 베라체인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들을 적어 내린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베라체인에 가장 큰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단순한 스테이킹 보상, 그랜츠라는 명목으로 자체 토큰을 찍어서 내보내는 타 체인보다 베라체인 생태계에 가지고 기대가 더 큰 것은 제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 같습니다.
그저 곰들이 유연하게 이 위기를 극복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Berachain.
우선 위 내용들은 이미 산발적으로 트위터 상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들이므로, 팀들도 이런 문제들을 인지하고 있고, 차차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베라체인 재단은 그리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의견을 몇 자 적어보자면,
우선적으로 지속성이 있는 인센티브 배출을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인센티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인센티브 배출 기간 증진
2. 밸리데이터와 프로토콜 간의 딜 활성화
1번의 경우, 인센티브 배출량 대비 레이트 한도를 설정하거나 에포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재단은 일단 PoL이 시작되며 3일로 줄어든 램프기간을 7일로 다시 늘리는 방식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해당 방식이 도입되면 지금과 같은 현상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외에도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할 것 같아 보입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BGT 배출이 프로토콜의 수익을 증진(렌딩 프로토콜에서 대출에 대한 $BGT 지급과 같이)시키고, 해당 수익을 다시 인센티브로 활용하는 좋은 선례를 필두로 이러한 리워드 볼트들이 더욱 활성화되는 생태계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번의 경우, 프로젝트와 밸리데이터간의 개인적인 DM이 아니라 퍼블릭하게 프로토콜의 제안을 볼 수 있는 창구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유동성 $BGT 프로토콜의 $BGT 보팅 거버넌스 도입 또한 빨리 이루어져 협상의 창구가 더 넓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유동성 $BGT 프로토콜들의 거버넌스가 도입되면, 프로토콜 입장에서도 해당 거버넌스 토큰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생겨 지속가능성이 보장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가 간단하게 생각한 내용은 이정도인데, 제 의견 외에도 $BERA의 가치 추출에 대해 네이티브 디앱을 활용하자는 색다른 아이디어를 낸 IVX의 파운더의 bobdbldr의 스레드도 읽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처음으로 베라체인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들을 적어 내린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베라체인에 가장 큰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단순한 스테이킹 보상, 그랜츠라는 명목으로 자체 토큰을 찍어서 내보내는 타 체인보다 베라체인 생태계에 가지고 기대가 더 큰 것은 제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 같습니다.
그저 곰들이 유연하게 이 위기를 극복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Berachain.
👍4❤3
베라 곰탕 본점 🐻⛓️♨️
BGT capture와 APR 이 어긋나보이는 이유 : BGT 램프 개념 👉docs 읽기 🍯PoL 시작할 당시 해당 포스팅으로 적긴 했지만... 여전히 설명하기 어려워 다시 작성하곰. 일단 대충 개념만 알고 있다면 충분히 꿀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BGT capture % 는 APR 을 선행한다. 🐻BGT 보상 분배는 3일간에 걸쳐 이뤄지곰 - 리워드볼트가 "현재" 가진 BGT를 3일로 나누어 분배 - 그래서 당장 BGT capture가…
bgt capture 와 apr 활용 예시
🍯오늘 오후 쯤에 잔돈으로 남은 소량 BERA 가 지갑에 있길래 갭이 4~5% 정도 벌어진 iBERA로 바꿨습니다.
🐻바꾼 이유
-배경1 : 일주일 전 infrared가 발표한 1.4 업데이트에 따르면 자신들이 보유한 대량의 BGT를 효율이 좋은 검증인으로 더 넓게 퍼뜨려 특히 iBGT 의 apr을 높이려고 시도했고, 동시에 자신들의 밸리데이터에서 인센티브를 얻을 수 없는 iBERA 풀에 BGT capture를 제공하지 않기 시작
- 배경2 : BGT 부스팅 효율 증가 + 인센티브 안주는 풀에 BGT 미제공, 두가지 콤보로 iBGT의 apr은 증가했으나 iBERA 풀의 apr 개떡락하여 iBERA 디페깅 -5% 발생
1️⃣bgt 캡쳐 히스토리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했으나 오늘 오후 기준 iBERA 풀은 각각 apr 20%, bgt capture는 2.16%, TVL은 5M 수준 이었고, 이는 3일간 해당 캡쳐/TVL 유지될시 약 apr 80% 로 상승 (프리미엄 136%)
2️⃣iBERA 풀을 확인해보니 전부 인프라레드 밸리데이터가 5%*2 씩 할당해놓은 것으로 확인하여 (당연하지만..) 당장 이 캡쳐를 빼는일은 없겠다는 것에 베팅
3️⃣앞으로 1~2일간 bgt ramp 개념에 의해 apr이 상승하면 다시 단일베라 파밍 수요의 진입으로 디페깅 갭이 메워지길 기대
🐻리스크1 : 인프라레드 밸리데이터가 iBERA 풀에서 bgt capture를 다시 빼는 상황 (가능성 꽤 존재, 뺄 이유도 찾아보자면 많긴함)
🐻리스크2 : TVL의 급격한 증가로 apr이 타 단일베라 파밍처보다 높아지지 않는 경우 (캡쳐만 유지된다면 가능성 낮음)
🐻리스크3 : dwbera 와 같은 타 단일베라 파밍풀이 떡상해서 몇M 정도는 받아줄 수 있는 + iBERA풀 보다 높은 apr이 되는 경우 (가능성 더 낮음)
를 종합적으로 생각해서 다른 자산을 팔아서 진입한건 아니고... 남아있는 BERA로만 바꿔봤곰.. 밖에 갔다오니 apr이 20%에서 25% 정도로 증가했고, bgt 캡쳐도 2.22%로 증가했곰...! 제발 캡쳐 유지 부탁!
🍯오늘 오후 쯤에 잔돈으로 남은 소량 BERA 가 지갑에 있길래 갭이 4~5% 정도 벌어진 iBERA로 바꿨습니다.
🐻바꾼 이유
-배경1 : 일주일 전 infrared가 발표한 1.4 업데이트에 따르면 자신들이 보유한 대량의 BGT를 효율이 좋은 검증인으로 더 넓게 퍼뜨려 특히 iBGT 의 apr을 높이려고 시도했고, 동시에 자신들의 밸리데이터에서 인센티브를 얻을 수 없는 iBERA 풀에 BGT capture를 제공하지 않기 시작
- 배경2 : BGT 부스팅 효율 증가 + 인센티브 안주는 풀에 BGT 미제공, 두가지 콤보로 iBGT의 apr은 증가했으나 iBERA 풀의 apr 개떡락하여 iBERA 디페깅 -5% 발생
1️⃣bgt 캡쳐 히스토리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했으나 오늘 오후 기준 iBERA 풀은 각각 apr 20%, bgt capture는 2.16%, TVL은 5M 수준 이었고, 이는 3일간 해당 캡쳐/TVL 유지될시 약 apr 80% 로 상승 (프리미엄 136%)
2️⃣iBERA 풀을 확인해보니 전부 인프라레드 밸리데이터가 5%*2 씩 할당해놓은 것으로 확인하여 (당연하지만..) 당장 이 캡쳐를 빼는일은 없겠다는 것에 베팅
3️⃣앞으로 1~2일간 bgt ramp 개념에 의해 apr이 상승하면 다시 단일베라 파밍 수요의 진입으로 디페깅 갭이 메워지길 기대
🐻리스크1 : 인프라레드 밸리데이터가 iBERA 풀에서 bgt capture를 다시 빼는 상황 (가능성 꽤 존재, 뺄 이유도 찾아보자면 많긴함)
🐻리스크2 : TVL의 급격한 증가로 apr이 타 단일베라 파밍처보다 높아지지 않는 경우 (캡쳐만 유지된다면 가능성 낮음)
🐻리스크3 : dwbera 와 같은 타 단일베라 파밍풀이 떡상해서 몇M 정도는 받아줄 수 있는 + iBERA풀 보다 높은 apr이 되는 경우 (가능성 더 낮음)
를 종합적으로 생각해서 다른 자산을 팔아서 진입한건 아니고... 남아있는 BERA로만 바꿔봤곰.. 밖에 갔다오니 apr이 20%에서 25% 정도로 증가했고, bgt 캡쳐도 2.22%로 증가했곰...! 제발 캡쳐 유지 부탁!
🔥6👍4
크립토 오프로드 (Let Winners Run)
Alterim AI WL 등록 최근 memeswap, bonzi 등 베라체인 프로젝트와 협업 발표를 하던 Alterim AI가 WL 등록을 오픈했습니다. PFP를 클론으로 만들어서 소셜을 하겠다는 신기(?)한 컨셉이라 아직은 큰 기대는 없긴한데.. 나름 MVP 영상 및 텔레그램 미니앱도 만들었길래 WL는 등록해봤습니다. $ATRM 토큰도 발행 예정 딥 리서치를 한건 아니라서 DYOR 꼭 하시길 바랍니다. (광고 아님) Alterim.ai 링크
Alterim AI WL 등록 막차타기
👉트윗원문
👉WL 등록 바로가기
🍯베라재단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Build-A-Bera 3기 프로젝트인 Alterim AI 는 NFT PFP 를 디지털 클론으로 만들고 그것을 디지털 ID 로 활용하는 생태계를 조성한다고 하는데곰..
🐻4월 24일 시작하는 CBT에 필요한 SBT 를 민팅하는데 필요한 WL을 아직도 접수받고 있곰 !! (언제까지일지 모르겠는데 곧 닫히지 않을까요.. 저는 진작에 끝난줄!)
🐻업데이트 된지 약간 오래된 것 같은 docs에 보면 토크노믹스 개요와 에어드랍도 표시가 되어있어서 일단 뭔지 몰라도 WL 얻어두고 상세 정보 나오면 그때가서 판단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베라 생태계/커뮤니티 근본이 NFT 문화에 있고 최근 스테디, 미베라의 인기가 좋기 때문에 이런 컨셉이 베라와 핏이 잘 맞지 않나 생각하곰
👉트윗원문
👉WL 등록 바로가기
🍯베라재단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Build-A-Bera 3기 프로젝트인 Alterim AI 는 NFT PFP 를 디지털 클론으로 만들고 그것을 디지털 ID 로 활용하는 생태계를 조성한다고 하는데곰..
🐻4월 24일 시작하는 CBT에 필요한 SBT 를 민팅하는데 필요한 WL을 아직도 접수받고 있곰 !! (언제까지일지 모르겠는데 곧 닫히지 않을까요.. 저는 진작에 끝난줄!)
🐻업데이트 된지 약간 오래된 것 같은 docs에 보면 토크노믹스 개요와 에어드랍도 표시가 되어있어서 일단 뭔지 몰라도 WL 얻어두고 상세 정보 나오면 그때가서 판단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베라 생태계/커뮤니티 근본이 NFT 문화에 있고 최근 스테디, 미베라의 인기가 좋기 때문에 이런 컨셉이 베라와 핏이 잘 맞지 않나 생각하곰
❤6👍2
Forwarded from TheHoneyJar 공지채널
헨로 !! 쓸모없는 $HENLO 는 현재 두가지 방법으로 $BGT 를 파밍할 수 있다곰
1️⃣Henlocked : oBERO, BGT 파밍 (현재 최대 apr 288%)
- $HENLO 의 FDV 밸류가 특정 가격에 도달할때 토큰의 잠금이 해제되는 가격 락업 볼트
- 100M, 330M, 420M, 690M, 1B 5개 헨로커 초기 출시
- 각 헨로커는 최대 3B (supply 3%) 캡이 있으며 모두 채워지면 총 공급의 15% 락업
- $BGT, $oBERO 동시 파밍 (LBGT, yBGT 클레임 가능)
1. Henlocked 페이지에서 원하는 가격 볼트에 $HENLO 예치, 현재 100M 볼트 마감
*주의 : 가격이 도달하지 않으면 출금 불가
2. beradrome 페이지에서 예치한 볼트를 찾아 Manage 클릭 후 deposit
3. $oBERO 는 manage 클릭 후 클레임
4. $BGT 는 berahub 'my reward vault' 탭에 자동으로 생성, 자동으로 파밍 시작 (자동 활성화 이므로 LBGT, yBGT는 각LST 페이지에서 클레임 가능)
*beradrome 볼트 참고 설명 링크
2️⃣WBERA-HENLO (iBGT, LBGT 민팅시 현재 apr 289%)
1. WBERA-HENLO 볼트 페이지 이동
2. BERA 만 단일로 입금받아 LP를 생성하는 single-side 풀이므로, 원하는 만큼의 BERA 예치
3. Berahub 페이지 영수증 토큰 예치하여 $BGT, $LBGT 파밍 혹은 infrared 페이지 영수증 토큰 예치하여 $iBGT 파밍
* 싱글사이드 풀이라 하더라도 예치하는 순간 코디악 LP 로 전환되며, 1:1 이 아니라 예치 당시 기준에 따라 비율이 다를 수 있고, IL 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헨로!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질문해주세곰
THJ 공식 홈페이지 | 트위터 | 링크모음
THJ 한국 커뮤니티 공지방 | 채팅방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베라 곰탕 본점 🐻⛓️♨️
Future Girls Inc 곰탕 WL 이벤트 🎉 🍯beradrome, bullas 등 프로젝트와 협업하며 오랫동안 베라의 빌더로 활동한 빌더 broccoli 가 몇 베라 커뮤니티 멤버와 빌딩하는 프로젝트 Future Girls Inc 의 WL 이벤트입니다! 🐻독특한 색감과 디자인으로 모바일 게임과 pfp 컬렉션을 기획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단 다른 것 보다 아트 디자인이 확 눈에 띄는 편 🐻래플 상세 - 래플 상품 : GTD 50…
Future Girls Inc 민팅 정보
👉트윗원문
👉매직에덴 민팅 페이지
🍯얼마전 WL 이벤트를 했던 Future Girls 의 민팅 이벤트입니다곰
🐻민팅시간
- GTD : 4/24(목) 6AM~11PM (gtd라 여유롭지만 마감은 매직에덴에 표시가 안돼서 가능하면 미리!)
- FCFS : 4/25(금) 0AM~
- public : 4/25(금) 12PM~
🐻가격 : 9 BERA
🐻공급 : 2666
🐻기타 코멘트
- 현재 gtd 지갑들 민팅 페이지에서 활성화 안되는 중
- 제네시스 컬렉션이라 본품 pfp 는 Q3 계획 1:1 에어드랍될 예정
- 최근 생태계 NFT 민팅이 $3 수수료 무민 조차 마감 못하는 상황이라서 어떤 단기 이득이 있을 가능성은 낮곰
- 그럼에도 저는 꽤 좋게보는 디자인/컨셉과 bullas/beradrome 쪽 개발 협업하던 og 빌더 기반이라서 일단 민팅하고 시장가가 민팅가 아래로 오면 더 살까 고민할것같곰
- 유틸로서는 뭐 이것저것 캐쥬얼 게임이라던지 bullas 같은 접근 방식도 계획된 것 같은데 일단은 계획일 뿐이라...!!
👉트윗원문
👉매직에덴 민팅 페이지
🍯얼마전 WL 이벤트를 했던 Future Girls 의 민팅 이벤트입니다곰
🐻민팅시간
- GTD : 4/24(목) 6AM~11PM (gtd라 여유롭지만 마감은 매직에덴에 표시가 안돼서 가능하면 미리!)
- FCFS : 4/25(금) 0AM~
- public : 4/25(금) 12PM~
🐻가격 : 9 BERA
🐻공급 : 2666
🐻기타 코멘트
- 현재 gtd 지갑들 민팅 페이지에서 활성화 안되는 중
- 제네시스 컬렉션이라 본품 pfp 는 Q3 계획 1:1 에어드랍될 예정
- 최근 생태계 NFT 민팅이 $3 수수료 무민 조차 마감 못하는 상황이라서 어떤 단기 이득이 있을 가능성은 낮곰
- 그럼에도 저는 꽤 좋게보는 디자인/컨셉과 bullas/beradrome 쪽 개발 협업하던 og 빌더 기반이라서 일단 민팅하고 시장가가 민팅가 아래로 오면 더 살까 고민할것같곰
- 유틸로서는 뭐 이것저것 캐쥬얼 게임이라던지 bullas 같은 접근 방식도 계획된 것 같은데 일단은 계획일 뿐이라...!!
❤5
Forwarded from Mid-curve Research (tranks)
$BGT 유동화 프로토콜을 분류하는 세 가지 기준
$BGT 유동화 프로토콜들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랑 특징들 정리해 봄.
앞으로 나올 유동화 프로토콜들에도 적용 가능.
1. 어떻게 $BGT를 적재하는가?
- 볼트 운영 방식: 리워드 볼트가 새로 추가될 때마다 유동화 프로토콜들도 볼트를 새롭게 생성해야 한다는 제약이 존재하지만, 배출되는 $BGT를 바로바로 적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
- 위임 수령 방식: 비교적 간단하게 리워드 볼트 확장 가능하고(Bearn의 경우, 유저가 직접 $yBGT를 수령할 수 있는 리워드 볼트를 추가할 수 있음), 리워드 볼트 예치금을 담보로 자산을 빌리는 기능(ex. Beradrome) 이용에 지장이 없음.
하지만 유저 클레임 시 $BGT가 적재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프로토콜 자체에 오토 컴파운딩 기능을 탑재하는 경우가 많음.
2. 자체 노드를 운영하는가?
- 노드 운영 방식: 적재한 BGT를 바로 자신들의 노드에 위임할 수 있게 되어 PoL의 모든 부분에 관여가 가능해짐. 이로 인해 플라이휠 구축에 용이함.
또한 거버넌스가 생기더라도, $BGT 위임에 대한 거버넌스가 아닌, 유동성 풀 투표에 대한 거버넌스가 생길 가능성이 큼
- 밸리데이터 위임 방식: 플라이휠 구축을 위해 높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밸리데이터와의 파트너십이 필연적임.
$BGT 위임에 대한 거버넌스를 붙이기 용이함.
3. $BGT에 거버넌스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가?
- 거버넌스 기능 포함 방식: 거버넌스 참여 수요로 인해 더 높은 프리미엄을 형성할 개연성이 존재함. 다만, 자체 토큰을 발행할 경우 해당 토큰에 별다른 유틸리티를 부여하기 어려움.
- 거버넌스 기능 불포함 방식: 적재한 $BGT를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플라이휠을 구축하거나, 자체 토큰에 거버넌스 유틸리티를 부여하여 다른 업사이드 창출 가능.
다만, 생태계에 역플라이휠이 돌 때 $BGT 유동화 토큰의 역 프리미엄이 발생하거나, $BGT 리딤율이 올라갈 수 있음.
*$mBGT는 '유동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토큰이 아니여서 배제
$BGT 유동화 프로토콜들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랑 특징들 정리해 봄.
앞으로 나올 유동화 프로토콜들에도 적용 가능.
1. 어떻게 $BGT를 적재하는가?
$BGT는 거래가 불가능한 자산, 클레임 시 다른 지갑 주소로 대리 수령만 가능.
따라서 유동화 프로토콜들이 $BGT를 적재하는 방식으로는 유저로부터 직접 자산을 예치받아 $BGT를 적재하는 볼트 운영 방식과 유저의 클레임 액션이 일어날 때 유저의 $BGT를 수령받는 위임 수령 방식이 존재함.
- 볼트 운영 방식: 리워드 볼트가 새로 추가될 때마다 유동화 프로토콜들도 볼트를 새롭게 생성해야 한다는 제약이 존재하지만, 배출되는 $BGT를 바로바로 적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
- 위임 수령 방식: 비교적 간단하게 리워드 볼트 확장 가능하고(Bearn의 경우, 유저가 직접 $yBGT를 수령할 수 있는 리워드 볼트를 추가할 수 있음), 리워드 볼트 예치금을 담보로 자산을 빌리는 기능(ex. Beradrome) 이용에 지장이 없음.
하지만 유저 클레임 시 $BGT가 적재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프로토콜 자체에 오토 컴파운딩 기능을 탑재하는 경우가 많음.
2. 자체 노드를 운영하는가?
- 노드 운영 방식: 적재한 BGT를 바로 자신들의 노드에 위임할 수 있게 되어 PoL의 모든 부분에 관여가 가능해짐. 이로 인해 플라이휠 구축에 용이함.
또한 거버넌스가 생기더라도, $BGT 위임에 대한 거버넌스가 아닌, 유동성 풀 투표에 대한 거버넌스가 생길 가능성이 큼
- 밸리데이터 위임 방식: 플라이휠 구축을 위해 높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밸리데이터와의 파트너십이 필연적임.
$BGT 위임에 대한 거버넌스를 붙이기 용이함.
3. $BGT에 거버넌스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가?
- 거버넌스 기능 포함 방식: 거버넌스 참여 수요로 인해 더 높은 프리미엄을 형성할 개연성이 존재함. 다만, 자체 토큰을 발행할 경우 해당 토큰에 별다른 유틸리티를 부여하기 어려움.
- 거버넌스 기능 불포함 방식: 적재한 $BGT를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플라이휠을 구축하거나, 자체 토큰에 거버넌스 유틸리티를 부여하여 다른 업사이드 창출 가능.
다만, 생태계에 역플라이휠이 돌 때 $BGT 유동화 토큰의 역 프리미엄이 발생하거나, $BGT 리딤율이 올라갈 수 있음.
*$mBGT는 '유동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토큰이 아니여서 배제
❤2👍1
인프라레드 포인트 시스템 발표
👉트윗원문
👉포인트docs
👉그동안 쌓은 포인트 보러가기
🐻포인트 획득 방법
- iBGT 파밍 / 스테이킹
- iBERA 스테이킹
- wbera-iBGT/iBERA LP풀 포인트 멀티플
‼️beraborrow, origami 등 여러 파트너들을 통해서도 포인트 적립이 되는 중인데, 아직 표시되지 않는 중. 곧 하나씩 반영 예정!!
🐻동시에 발표한 TheBlock 기사에 따르면 Q3 TGE 계획 중 인걸로
🐝 작년 1월 2.5M 시드 라운드, 작년 6월 구바낸랩스 2.25M, 올 3월 시리즈A 14M 투자받은 이력이 있곰
🐝 인프라레드 큰형님들 베라를 캐리해주십쇼...!!
👉트윗원문
👉포인트docs
👉그동안 쌓은 포인트 보러가기
🐻포인트 획득 방법
- iBGT 파밍 / 스테이킹
- iBERA 스테이킹
- wbera-iBGT/iBERA LP풀 포인트 멀티플
‼️beraborrow, origami 등 여러 파트너들을 통해서도 포인트 적립이 되는 중인데, 아직 표시되지 않는 중. 곧 하나씩 반영 예정!!
🐻동시에 발표한 TheBlock 기사에 따르면 Q3 TGE 계획 중 인걸로
🐝 작년 1월 2.5M 시드 라운드, 작년 6월 구바낸랩스 2.25M, 올 3월 시리즈A 14M 투자받은 이력이 있곰
🐝 인프라레드 큰형님들 베라를 캐리해주십쇼...!!
❤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