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TON, 현재 네트워크 성능 문제 발생

TON Status에 따르면, 현재 네트워크에 성능 문제가 발생하여 트랜잭션이 처리 시간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해결 리포트 확인하기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 TON: USD₮ 발행량 10억 개 돌파!

지난 4월 두바이에서 열린 TOKEN2049에서 테더(Tether)와 톤(TON)이 협력하여 USD₮를 발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초기 발행량은 1억 3천만 개로 시작했으나, 10억 개까지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고, 약 5개월 만에 그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TON 코어팀의 네트워크 부담을 줄이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이전 TON의 일시 중단 문제로 TON 코어팀은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업데이트는 시스템 성능을 강화하고, 검증자 페널티 시스템을 재도입하며, 새로운 Mintless Jettons 기술을 도입하여 생태계 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 내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TON2024.09 업데이트: 여러 가지 수정 사항 및 최적화 적용

🔵채널 없이 송수신되는 ADNL 패킷에 대한 API 호출 제한 추가: 이 통신 방식은 느린 비대칭 암호화를 요구하며, 부하가 발생할 경우 높은 메모리 사용량과 긴 패킷 해독 대기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동적 캐치체인 지연: 가능할 때 합의를 더 빨리 도출하되, 블록 생성이 어려울 경우 부하를 줄입니다.
🔵 상태 직렬화 개선: 직렬화가 취소되었을 경우 명시적으로 메모리를 정리합니다.
🔵 Collator 설정 업데이트: 실제 환경의 부하에 더 잘 맞도록 기본 블록 대조 매개변수(메시지 연기 임계값)를 업데이트합니다.
🔵 LS에서 더 상세한 가비지 컬렉션 통계 추가 및 문제 수정


성능이 저조한 검증자에 대한 벌금 제도 재도입

성능이 저조한 검증자는 블록 처리량이 기준치인 90% 미만일 경우 벌금 대상이 됩니다. 누구나 해당 라운드에서 성능이 저조했던 검증자에 대해 불만을 제기할 수 있으며, Elector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온체인으로 이루어집니다. 해당 불만 사항이 재검토를 통해 검증되면, 다른 검증자들이 이를 확인하고 온체인 투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66%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101 TON의 벌금이 부과되며, 벌금은 네트워크 비용을 제외하고 불만을 제기한 검증자에게 8 TON의 보상과 함께 나머지 검증자들에게 분배됩니다. 이 시스템은 이미 노드에 구현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 시스템은 더욱 개선되고, 벌금 금액도 증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기술 설명


Mintless Jettons 기술 도입

🔵 Mintless Jettons 란?
Mintless Jettons는 TON 블록체인에서 표준 Jetton을 확장하여 구현된 기술입니다. 네트워크에 과도한 부하를 주거나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대규모 에어드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수수료는 1달러 미만으로 매우 저렴하며, 사용자의 소유권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보장됩니다.

🔵 표준 Jetton과의 차이점은?
Mintless Jettons는 표준 Jetton의 확장판이므로, 가장 큰 차이점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미리 생성되지 않고 사용자가 첫 액션을 취할 때 생성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주소에 이미 토큰이 할당되어 있지만, 디앱이나 지갑을 통해 트랜잭션을 날려 클레임하도록 만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 지갑에서 Mintless Jettons 지원 여부?
Tonkeeper, MyTonWallet, Tonviewer, Tonscan, TON API, DTON, Toncenter와 같은 주요 TON 생태계 프로젝트들이 곧 Mintless Jettons 기술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 Mintless Jettons를 확인할 수 있는 빠른 방법은?
9월 26일에 진행될 Hamster Kombat의 에어드랍에서 이 기술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개발자 주의사항 두 가지

1. 제톤을 전송하고 동시에 클레임할 경우
제톤을 처음 전송하고 동시에 클레임할 대, 최소 0.1 TON을 전송에 첨부해야 합니다. 이는 전송 중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에 사용됩니다.

2. 에어드랍 날짜
에어드랍에는 두 가지 날짜가 있습니다.
- 제톤을 클레임할 수 있는 시작 날짜
- 제톤을 반드시 클레임해야 하는 마감 날짜
이 두 날짜는 각 사용자별로 개별 설정이 가능하지만,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설명 | 표준 | 코드


업데이트도 @TONandManner 와 함께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바이낸스에서 출시한 텔레그램 미니 앱 게임?!

바이낸스(Binance)가 최근 바이낸스 문빅스(Binance Moonbix)라는 텔레그램 미니 앱 게임을 공개했습니다. 이 게임은 우주를 배경으로, 플레이어가 우주선을 조종해 우주에 흩어진 아이템을 수집하는 방식입니다. 수집한 아이템에 따라 리더보드에 점수가 집계되며, 상위권에 오른 플레이어는 암호화폐를 보상 받는 구조입니다.

이 소식을 듣고 저도 해보려고 했지만, 한국에서는 접속이 차단되어 있습니다... 캣티즌(Catizen)처럼 VPN 사용 시 접속이 가능해지나, 안되는 나라가 꽤 있으니 위치를 바꿔가면서 해보시길 바랍니다.
👉 게임 접속해보기

최근 바이낸스의 런치풀을 보면 $NOT 을 시작으로 $DOGS, $CATI, $HMSTR 등 많은 유저를 보유한 TON 생태계의 프로젝트들이 다수 상장되고 있습니다. 단기간에 많은 유저를 온보딩 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텔레그램 미니 앱 게임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해 이번 게임을 만든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 추가 링크
채널 | 이용약관 | 봇&미니앱

#Binance #Moonbix

텔레그램 미니 앱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오픈 리그 약 2주간 휴식

9월 20일 오후 6시(KST)부터 오픈 리그와 Normie & Degen 에어드랍이 약 2주간 휴식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재개 날짜는 사전에 공지될 예정이며, 휴식이 끝난 뒤 추가로 3주 더 진행되어 계획된 4주를 채울 예정입니다.
👉 오픈 리그란?

앞으로 2주 사이에 Hamster Kombat, Catizen, Rocky Rabbit, WatBird(Gamee) 등 주요 TON 생태계 앱들이 수억 명의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Web3 역사상 최대 규모의 에어드랍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9월 20일 - Catizen (19M MAU)
🔵 9월 23일 - Rocky Rabbit (18M MAU), WatBirds (12M MAU)
🔵 9월 26일 - Hamster Kombat (100M MAU)

오픈 리그는 원활한 트랜잭션 처리와 정확한 에어드랍 활동 추적을 위해 해당 기간을 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즌 6 첫 주 동안의 모든 활동은 기록되어 있으며, 손실된 부분은 없음.
🔵 Normie와 Degen 배지 발행은 휴식 기간 동안 중단되지만, 리그가 재개되면 다시 요청할 수 있음.
🔵 앱, 디파이, NFT 리그에 속한 프로젝트들은 대규모 활동을 자제해주길 바람.

--------------------------------------------

정해진 날짜에 네트워크 부하가 예상되면, 오픈 리그 참여자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안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피해가는 것도 괜찮기는 합니다. 하지만 분명 톤은 TPS 10만 건까지 나온다고 했었는데...

#TOL

오픈 리그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
😆 $CATI 상장 시간 1시간 뒤로

바이낸스는 한국 시간으로 오후 8시에 상장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텔레그램 + BNB: Web3의 새로운 게이트웨이

최근 BNB 체인은 텔레그램(Telegram)과 통합하여 Web3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향상시키겠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이번 통합은 BNB가 텔레그램 미니 앱으로 확장하여, 목표인 10억 명의 사용자를 Web3로 온보드하는 데 기여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사용자와 개발자의 입장에서 텔레그램과 BNB 체인 통합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 사용자 입장: 텔레그램 봇 지갑을 사용하면 편리하고 빠르며, 접근성까지 높아집니다. BNB 지원 지갑:
- CodexField Wallet: 사용해보기 | SDK 문서
- UXUY Wallet: 사용해보기 | SDK 문서

🔵 개발자 입장: BNB 체인에서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Privy SDK를 통해 텔레그램 로그인을 앱에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온보딩이 원활하고 로그인 보안이 강화되며, 빠르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이 Web3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를 인지한 바이낸스는 이번 통합을 발표했으며, 문빅스(Moonbix) 게임을 시작으로 BNB 디앱들이 텔레그램과 연동되어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문빅스(Moonbix) 란?

텔레그램 생태계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TADA Mini: 텔레그램 내 차량 호출 어플리케이션

2018년에 출시한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승차 공유 플랫폼인 TADA가 TON 재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텔레그램 미니 앱인 TADA Mini를 정식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텔레그램 내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TON 또는 USDT-TON 등 TON 블록체인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Token 2049 행사 기간에 맞춰 싱가포르에 도입이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텔레그램에서 탑승이 생각보다 쉽게 이루어진다는 점에 열광했습니다. 출시를 기념하여, 행사 기간에 무료 차량 호출 이벤트나 할인 혜택도 제공되었습니다.

TADA의 모회사인 MVL Group은 2018년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동성을 혁신하겠다는 비전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탑승자보다는 운전자를 위한 멀티체인 지갑, DeFi, DePIN, Vehicle RWA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며 약 30만 명의 운전자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축해왔습니다. 최근 텔레그램에 TON과 지갑 기능이 통합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손쉽게 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을 확인하고, 탑승자의 타겟을 Web3에 익숙한 사용자들로 변경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4개월간 빠르게 TADA Mini를 개발해, 전 세계 Web3 사용자들이 참여하는 Token2049에 맞춰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TADA Mini는 다양한 Web3 프로젝트들과 TON 생태계의 사용자들에게 실생활에 연계된 강력한 유틸리티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미니 게임이나 밈과 같은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도 구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TADA는 2024년 말까지 홍콩으로 확장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TON Society Korea가 공유한 Token2049 기간에 TADA Mini를 이용한 생생한 후기

이처럼 블록체인이 실생활과 결합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무리합니다.

생태계 이야기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텔레그램 이용 약관 위반 시, 유효한 법적 요청에 따라 IP주소와 전화번호가 당국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파벨 두로프(Pavel Durov)는 자신의 채널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공유했습니다.

텔레그램 검색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공개 채널과 봇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이 악용되어 불법적인 활동에 사용되는 문제도 발생해 왔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를 활용한 모더레이터 팀이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불법 컨텐츠들을 차단했습니다. 또한 악용을 막기 위해 이용 약관과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업데이트하였고, 규칙 위반 시 유효한 법적 요청에 따라 IP 주소와 전화번호가 관련 당국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 전문보기

이는 일부 일반 사용자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지만, 텔레그램을 악용해 사기, 음란물 유포, 불법 약물 거래 등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이들을 단속하고,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1
🤑 TON X Curve, TON X Bitget + Foresight: TON의 새로운 협업 및 투자 유치

최근 TON은 Curve와 협력하여 TON 기반의 스테이블 스왑 프로젝트를 육성하기로 했으며, Bitget과 Foresight Ventures 로부터 3천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1️⃣ TON X Curve
이번 협업은 Curve Finance의 CFMM(Constant Function Market Maker) 모델을 활용하여 스테이블코인 스왑을 더욱 간편하게 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거래 중 가격 변동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TON은 이번 새로운 DEX 프로젝트를 구축할 독립 개발팀을 선정할 예정이며, 그 과정에서 투명성과 커뮤니티의 참여를 보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urve Finance의 창립자인 Michael Egorov는 프로토콜 메커니즘과 개발 전략에 대한 자문 역할을 맡아 프로젝트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TON Foundation의 DeFi 리더인 Vlad Degen은 TON에서 곧 다양한 체인의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이 추가될 예정이며, 이러한 발전을 위해 CFMM 모델이 필수적이므로 이번 협업은 당연한 선택이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선정된 개발팀은 Curve Finance의 스테이블 스왑 공식을 구현하고 프로젝트 성장을 위한 지원을 받을 것입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일부 토큰은 veCRV 보유자를 포함한 자격 있는 사용자들에게 에어드랍될 예정입니다.

* Curve Finance
Curve Finance는 스테이블코인 및 동종 토큰 간의 효율적이고 완전히 자동화된 저슬리피지 거래를 지원하는 세계적인 탈중앙화 거래소(DEX)입니다. 16개의 블록체인에서 운영되며, 스테이블코인 및 대출 플랫폼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설립되어 현재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Curve Finance는 유동성 매칭을 위해 주문서를 사용하는 대신 자동 시장 조성자(AMM)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몇 안 되는 플랫폼으로 DeFi 생태계에서 빠르게 자리 잡았습니다.


2️⃣ TON X Bitget + Foresight
암호화폐 거래소 Bitget과 Foresight Ventures는 TON에 3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투자의 목적은 텔레그램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 특히 “Tap-to-Earn” 수익 모델을 가진 게임들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TON 토큰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두 회사 모두 TON 블록체인의 거버넌스와 개발에 더욱 깊이 참여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처럼 TON은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활발히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TON의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TapSwap 곧 TGE 날짜 발표?!

약 6시간 전, TapSwap이 커뮤니티에 흥미로운 소식과 여러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알렸습니다. 10월 중순쯤으로 예상되는데, 조만간 정확한 날짜가 공개될까요?

👉 TapSwap 접속하기

에어드랍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HMSTR 상장까지 약 1시간 남았습니다.

⚠️ TON 네트워크는 과부하 가능성을 대비해 긴장 상태에 들어갔으며, 검증자들에게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요청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부탁했습니다.

🛣 Hamster Kombat 로드맵

📆 2024년 10월
🔵 Hamster Kombat 시즌 2 시작
🔵 새로운 게임들로 게임 라이브러리 확장
🔵 게임 내 외부 결제 시스템 통합

📆 2024년 11월
🔵 iOS, Android 및 데스크탑용 PWA(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출시
🔵 외부 개발자가 제작한 첫 번째 게임 세트 출시
🔵 시즌 2에서 게임 내 자산에 NFT 통합

📆 2024년 12월
🔵 Hamster 생태계의 게임에서 사용될 전용 광고 네트워크 런칭
🔵 클랜 시스템 도입, 게임 메커니즘에 통합된 새로운 기능 추가

📆 소각 계획
🔵 광고 수익을 이용해 시장에서 토큰을 다시 사들여, 정기적인 플레이어 배분과 토큰 소각에 사용할 계획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TON 6달러 복귀!

비트코인이 66k를 넘기면서, 톤도 6달러에 복귀했습니다. 🎉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Tonkeeper 멀티시그 기능 출시!

Tonkeeper가 멀티시그(multisig) 지갑을 출시했습니다. 멀티시그 기능은 Pro 구독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지갑 생성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Tonkeeper Pro를 열고 새 지갑을 생성하거나 기존 지갑을 선택합니다.
2. 멀티시그 지갑 생성을 선택합니다.
3. 지갑을 공동 관리할 참여자를 추가합니다.
4. 거래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서명 수를 설정합니다.
5. 다른 참여자들이 서명할 수 있도록 지갑에서 작업 요청을 생성합니다.

멀티시그 지갑이란?

멀티시그 지갑은 두 개 이상의 개인 키를 이용해, 거래를 승인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암호화폐 지갑입니다. 이 지갑은 여러 참여자들이 계정을 관리하며, 거래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개인이 단독으로 자산을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금의 도난, 해킹, 오용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멀티시그 지갑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구축되며, 서명자 수, 필요한 서명 조건, 서명자 목록 등이 코드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조직, DAO, 기업의 팀 지갑, 백업 및 복구 시스템, 에스크로 서비스, 공동 자산 관리 등에 주로 활용됩니다.

생태계 이야기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CATI 약 1,500만 개가 거래소로 이동할 예정 + 문제 발생!?

최근 캣티즌(Catizen)은 상장을 앞두고 자체 $CATI 토큰을 스테이킹하면 거래소 토큰을 보상으로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물량은 24일 오후 7시(KST)까지 잠겨 있었으며, 그 이후로 인출이 가능하다고 안내되었습니다.

그러나 캣티즌 측은 즉시 인출을 허용하지 않았고, 28일 오후 9시(KST)까지 모든 물량을 거래소로 송금해주겠다고 했으나, 그마저도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캣티즌 커뮤니티 내 불만이 커지고 있으며, 스테이킹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신뢰를 잃고 매도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테이킹 해제 이후 토큰 가격은 약 20% 하락했으며, 상장 당시와 비교해서는 약 40%가 하락한 상태입니다.

현재 일부 사용자들은 거래소로 입금이 완료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입금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생태계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NotPixel: Notcoin 새로운 게임 출시!

지난 9월 24일, Notcoin은 Clicker와 Lost Dogs에 이어 NotPixel을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게임은 1000x1000 픽셀의 가상 캔버스를 기반으로 하여, 수백만 명의 플레이어가 실시간으로 픽셀의 색상을 변경하면서 캔버스를 채워 나가는 방식입니다. 여러 프로젝트에서 이 캔버스를 마치 광고판처럼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그리는 각 픽셀은 PX 포인트로 보상받으며, 동시에 채굴도 시작됩니다. 더 많은 PX를 얻으려면 부스터를 사용해 픽셀을 채우거나, TNT를 구매해 픽셀을 부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태스크를 완료하거나 친구를 초대하는 방식으로도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NotPixel은 텔레그램과 TON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모드와 도구, 보상 시스템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Notcoin 팀이 개발한 미니 앱들은 깔끔한 UI와 직관적인 UX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11월에 $PX 토큰이 출시될 것이라는 소문도 있어, 관심 있는 분들은 한 번 체험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 NotPixel 접속하기

이러한 인기 덕분인지, $NOT의 가격은 24일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28일에는 0.01달러를 넘기기도 했습니다.

🔗 커뮤니티 링크
채널 | 트위터/X

⬜️⬜️⬜️⬜️⬜️⬜️
⬜️⬜️⬜️⬜️⬜️⬜️
⬜️⬜️⬛️⬛️⬜️⬜️
⬜️⬜️⬛️⬛️⬜️⬜️
⬜️⬜️⬜️⬜️⬜️⬜️
⬜️⬜️⬜️⬜️⬜️⬜️

NOT 관련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STON.fi V2 출시!

지난 9월 26일, STON.fi는 V2 출시를 발표하며, 새로운 스마트 컨트랙트와 대규모 업데이트 및 개선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2022년에 개발된 V1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현재 V2에서 지원하는 기능

최소한의 수수료로 토큰을 빠르고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풀 생성 및 유동성 공급을 한 번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나이퍼 공격을 방지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SDK를 통해 STON.fi DEX를 제품에 통합할 때, 추천 수수료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기능입니다.

--------------------------------------------

👍 추후 V2에 추가될 기능

새로운 유형의 유동성 풀 지원: 전문화된 풀이나 독특한 풀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하나의 토큰으로 유동성 공급이 가능해집니다. 유연한 유동성 공급자 설정이 가능합니다.

더 많은 통합 거래 지원: 여러 단계를 거치던 프로세스를 한 번의 트랜잭션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개선됩니다.

라우팅 기능 개선: 가장 효율적인 토큰 경로를 찾아 스왑을 진행합니다.


이전 STON.fi의 아키텍처를 보면, 모든 LP를 단일 스마트 컨트랙트에 배치하여 트래픽이 폭증할 때 각 사용자가 이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하면서 혼잡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DOGS 상장 시에는 이 문제가 더욱 두드러져 많은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사항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해보니, V2부터는 각 거래쌍별로 풀을 분할하여 관리하기 시작했습니다. V1과 V2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V1 전체 풀: EQ...Ut
• V2 TON/HMSTR 풀: EQ...49
• V2 TON/USD₮ 풀: EQ...ed

이번 업데이트에서 정확한 코드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싶었지만, 공개되지 않아 아쉽게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이후 인터페이스 개선, 안정성 향상, 속도 개선 등 새로운 기능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게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꾸준히 팔로업하며 지켜볼 생각입니다.

DEX에 관한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STON.fi와 DeDust.io 간단한 비교 분석

다음은 TON 생태계의 가장 큰 DEX인 스톤파이(STON.fi)와 디더스트(DeDust.io)에 대한 간단한 비교입니다.

1️⃣ TVL(Total Value Locked):

현재 기준으로 스톤파이는 약 1억 8,829만 달러, 디더스트는 약 1억 6,144만 달러로 스톤파이가 약 16% 더 높은 수치를 보입니다.

2️⃣ 네트워크 수수료:

스톤파이와 디더스트는 모두 약 0.04~0.05TON 정도로 비슷한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단, 멀티홉(multihop) 스왑은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스왑의 경우입니다.

3️⃣ 스왑 수수료:

• 스톤파이는 0.3%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이 중 66.67%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33.33%는 플랫폼에 할당됩니다.

• 디더스트는 기존 0.4%의 수수료를 부과했으나, 7월에 수수료를 인하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기본적으로 0.25%의 수수료를 부과하며, TON/USDT 풀에서는 0.1%, stTON/TON 및 wsTON/TON과 같은 안정적인 거래쌍에서는 0.05%의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수수료의 80%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20%는 $SCALE 스테이커들에게 분배됩니다.

4️⃣ 거래쌍 및 지원 자산:

스톤파이는 약 549개의 거래쌍을 지원하며, 디더스트는 약 1,131개의 거래쌍을 지원합니다. 이 차이는 가스펌프(GasPump)에서 생성된 토큰들이 디더스트에 상장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5️⃣ 네이티브 토큰 지원:

• 스톤파이는 TON을 래핑한 pTON(Proxy TON)을 사용합니다.

• 디더스트는 네이티브 토큰인 TON을 직접 지원합니다.

6️⃣ 설계 구조 차이:

• 스톤파이는 라우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V1에서는 모든 제톤이 하나의 router 컨트랙트에 쌓였으나, V2에서는 거래쌍에 해당하는 두 제톤이 각 router 컨트랙트에 쌓입니다. pool 컨트랙트는 AMM 계산과 LP 할당을 담당합니다.

• 디더스트는 볼트 시스템을 도입하여, 토큰들은 각각의 vault 컨트랙트에 쌓이며, pool 컨트랙트는 AMM 계산과 LP 할당을 담당합니다.

7️⃣ AMM 모델:

• 스톤파이의 경우, CPMM(x * y = k) 모델을 적용합니다.

• 디더스트의 경우, 변동성이 있는 풀에는 CPMM(x * y = k) 모델을 적용하고, 안정적인 풀에는 Sushiswap의 Stable Swap(x³ * y + y³ * x = k)을 적용해 슬리피지를 줄이고 집중된 유동성으로 가격 변동을 최소화시켰습니다.

8️⃣ 환불 매커니즘:

유동성이 부족하거나, 예상 수신 토큰의 양이 예상 최소값보다 적은 경우 환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TON의 특성 상, 한 번의 거래에 다중 트랜잭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원자적이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모든 작업을 롤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멀티홉 스왑 중에 환불이 일어난 경우, 두 DEX 모두 중간 통로에 있는 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9️⃣ LP 보상:

• 스톤파이는 단순히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으로는 APR이 낮습니다. 이를 위해 유동성 공급자를 위한 Farming 기능을 제공하며, LP 토큰을 다시 스테이킹하는 방식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24개의 거래쌍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디더스트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으로 Farming에 참여하게 됩니다. 추가로 Boost* 기능을 만들었는데, 이를 통해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Boost 기능은 주로 해당 토큰을 만들거나, 풀을 만든 사람들이 사용자에게 추가 보상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분산된 특성 덕분에 누구나 보상을 제공하고 풀을 늘릴 수 있습니다.


1️⃣0️⃣ 토크노믹스:

• 스톤파이는 총 1억 개의 $STON을 발행했으며, 50%는 DAO, 31%는 투자자(12개월 락업), 14%는 팀(24개월 락업), 5%는 어드바이저(12개월 락업)에게 할당되었습니다.

• 디더스트는 총 2,100만 개의 $SCALE을 발행했으며, 26.02%는 유통, 25%는 생태계 기금, 20.54%는 소각, 20%는 팀, 5.83%는 개발, 2.61%는 마케팅에 할당되었습니다.

1️⃣1️⃣ 토큰 활용처:

• $STON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24개월까지 스테이킹하면 $ARKENSTON과 $GEMSTON을 받을 수 있습니다. $ARKENSTON은 DAO 투표권을 제공하며, 스테이킹 양과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GEMSTON은 거래 가능한 제톤으로, 스테이킹 양과 잠금 기간에 따라 할당됩니다. 현재 $STON의 가격은 $3.70, $GEMSTON의 가격은 $0.23입니다.

• $SCALE은 기간없이 자유롭게 스테이킹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언스테이킹이 가능합니다. 5%의 수수료를 내면 즉시 언스테이킹이 가능하고, 수수료 없이 언스테이킹하기 위해서는 72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스테이킹 보상은 플랫폼에서 수집한 수수료 중 본인의 비율에 따라 지급되며, 매일 보상이 지급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2주 이상 보상을 받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SCALE의 가격은 $4.17입니다.


TON 생태계는 네트워크 설계 특성상 DEX 구축에 많은 고려 사항과 제약이 있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TON 생태계의 발전 가능성이 큰 만큼 DEX 분야에서도 큰 성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STONFI
#DeDust

TON 생태계 이야기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 Chainlink, TON 지원

최근 체인링크(Chainlink)가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섹션에 TON 블록체인을 추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TON 생태계에서도 고빈도 시장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와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체인링크의 데이터 스트림은 기존의 고정된 간격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오라클과 달리, 요청 기반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블록체인 상에서 데이터를 직접 검증하기 때문에 신뢰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1초 미만의 고빈도 시장 데이터를 보안성 있게 제공합니다.

체인링크는 현재 가장 영향력 있는 오라클 서비스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탈중앙화된 오라클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DeFi(탈중앙화 금융) 분야와 크로스체인 활용에서 중요한 인프라로 기능하며,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신뢰성과 보안성을 입증해 왔습니다.

TON과 체인링크의 통합은 TON 생태계에 전환점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서비스가 해당 기술을 통합하여 보안성, 투명성, 정확성이 강화된 새로운 솔루션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프라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텔레그램에 NFT 통합 예정?!

지난 10월 5일, 파벨 두로프(Pavel Durov)는 텔레그램에 여러 흥미로운 기능들이 출시되었음을 발표했고, 그중에서도 선물 기능을 특히 강조했습니다. 어떤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전문보기

🎁 1. 선물 기능:

사용자는 이제 친구에게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선물을 받은 사람은 이를 프로필 페이지에 표시하거나 Stars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일부 선물은 한정판으로 제공되며, 올해 말에는 이 한정판 선물을 TON 기반의 NFT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토큰화된 선물은 텔레그램 외부에서 경매나 거래가 가능하며, 소유권은 블록체인에 기록될 예정입니다.
선물을 보내고 싶으시면, 친구의 프로필을 열고 ⋮ 이나 ⋯ 버튼을 누른 뒤, Send a Gift 탭을 누르시면 보내실 수 있습니다.


🤳 2. 전화 번호 인증 기능(비즈니스):

이제 텔레그램을 통해 전화번호 인증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SMS 인증 방식과 유사하게, 텔레그램에서 인증 코드를 발송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SMS 인증 서비스의 가격은 전송 국가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건당 $0.01 ~ $0.05 사이입니다. 하지만 텔레그램에서는 한 건당 $0.01로 고정된 가격을 제공합니다.
👉 상세보기

⚠️ 3. 개선된 신고 인터페이스:

텔레그램은 불법 콘텐츠 차단을 강화하면서,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신고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개선했습니다. 이는 AI 기능 강화를 위해 업데이트되었으며, 카테고리를 더 세분화시켜 인터페이스를 만들었습니다.
메시지를 신고하려면, 안드로이드에서는 탭, iOS에서는 길게 누르기, 데스크톱이나 웹에서는 오른쪽 클릭 후 ‘신고’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외에도 iOS의 영상 통화 기능 재설계, 안드로이드에서 RTMP(실시간 메시징 프로토콜)를 통한 라이브 스트리밍 지원 등 다양한 기능 개선도 이루어졌습니다. 개인적으로는 TON 기반 NFT 전환 기술이 어떻게 구현될지, 그리고 약 5개월 전 TOKEN2049 두바이에서 발표한 텔레그램 스티커의 NFT화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지 궁금합니다. 이 두 기능이 모두 올해 말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텔레그램에 어떻게 통합될지 정말 기대됩니다.

텔레그램 업데이트 소식도 @TONandMann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2025/10/25 09:02:30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