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그룹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GS퓨처스는 필라에너지의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투자했다.
또 GS퓨처스를 비롯해 토요타 벤처스(Toyota Ventures), 리팩터 캐피털(Refactor Capital) 등이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필라의 플러그인 가정용 배터리는 사람들이 스마트하고 간단한 자동 백업 전원을 제공한다.
http://thetracker.co.kr/View.aspx?No=3822860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더트래커
[단독]GS, 美 배터리 제조업체 '필라에너지'에 투자
더트래커 = 박현승 기자GS그룹이 미국의 가정용 배터리 제조업체 '필라에너지(Pila Energy)'에 투자를 단행했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그룹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GS퓨처스는 필라에너지의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투자했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는다. 필라에너지는 이번 펀딩 라운드에서 400만 달러(약 57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R7 파트너스(R7 Partners)가 주도했다. 또…
❤6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이투데이
[속보] 국제유가, 상승…WTI 0.5%↑
국제유가는 21일(현지시간) 상승했다.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30달러(0.5%) 오른 배럴당
2차전지 김희제
미국 에너지부가 현지시간 21일 전략 비축유 확보 차원에서 100만배럴 규모의 원유를 매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에너지부는 오는 12월과 내년 1월 인도분 원유를 구매할 계획입니다.
이번 구매에는 원유 매입 용도로 배정된 1억 7천100만달러를 활용할 방침입니다.
미국의 원유 구매 움직임이 알려지면서 WTI는 장중 58.28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_hub/20000266634?division=NAV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biz.sbs.co.kr
美 "원유 100만배럴 구매…전략 비축유 확보"
미국 에너지부가 현지시간21일 전략 비축유 확보 차원에서 100만배럴 규모의 원유를 매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에너지부는 오는 12월과 내년 1월 인도분 원유를 구매할 계획입니다.이번 구매에는 원유 매입 용도로 배정된 1억 7천100만달러를 활용할 방침입니다.크리스 라이트 장관은 성명에서 "미국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지난 …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및 가공 회사 Anugrah Neo Energy Materials는 3억 달러 이상 수준의 IPO를 계획 중 (약 25년 12월, 20억 달러 규모로 낮아질 수 있음)
대상회사는 중부 술라웨시에 두 개의 니켈 라테라이트 광산을 운영하고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indonesias-anugrah-neo-energy-materials-plans-over-300-mln-ipo-sources-say-2025-10-21/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euters
Indonesia's Anugrah Neo Energy Materials plans over $300 mln IPO, sources say
Indonesian nickel mining and processing company Anugrah Neo Energy Materials is planning an initial public offering to raise more than $300 million on the Indonesia Stock Exchange, two people with direct knowledge of the matter said.
중도파 Rodrigo Paz(11월 08일 취임) 대통령 선출에 따라 볼리비아 리튬에 대한 해외 수출 확대 예상
이전 정부의 정책은 국가 통제 의무화 법률 등이 다수 존재하여 신규 개발 속도가 저해되었고 투자가 냉각된 상태
Paz는 투명성 확보를 위해 중국(CATL) 및 러시아 등과 진행한 리튬 계약을 면밀히 검토하고 투명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혀 (캠페인을 통해 리튬 단일 시장에 대한 강한 의견보다는 자국 시장의 민간 주도 성장과 빈곤층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강조)
또한 현재까지 볼리비아의 2,300만 톤에 달하는 리튬 자원에 대한 정책 계획을 논의하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 취임 직후 행보를 잘 살펴야 할 것
볼리비아 리튬 입찰 계약에 실패했던 미국 Lilac의 남미 지사장은 규제와 투명성이 보장된다면, 새로운 기회(투자)를 모색할 것이라고 언급
https://www.reuters.com/world/china/bolivias-new-president-rekindles-cautious-hope-long-stalled-lithium-dreams-2025-10-21/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euters
Bolivia's new president rekindles cautious hope for long-stalled lithium dreams
Bolivia's election of centrist Rodrigo Paz is raising cautious hopes that a more market-friendly leader could pave the way for international investment in the country's ample lithium reserves after years of false starts under two decades of socialist rule.
❤4
2차전지 김희제
GM Q3'25 Earnings Deck.pdf
[GM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
GM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본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당분기 주요 실적 요약
매출액: USD 48.6B (-0.4% YoY)
EPS-diluted-adj: USD 2.80 (-5.4% YoY)
EBIT-adj(Margin): USD 3.4B(6.9%, -1.5%p YoY)
*1.1억 달러의 관세비용과 0.9억 달러의 보증(AS) 비용이 발생했으나, 일부는 관세 절감 노력과 기타 고정비 절감으로 상쇄
■2025년 수정 가이던스(조정 이전)
EBIT-adj: USD 12.0~13.0B (USD 10.0~12.5B)
EPS-diluted-adj: USD 9.75~10.50 (USD 8.25~10.00)
CapEx+Battery JV: USD 10.0~11.0B
*주요 가정 요약: 연간 실적 전망치를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했고, 관세비 부담도 절감 조치로 개선될 전망
1) 북미 가격 0.5~1.0% 상승, GM Financial EBT 25~30억 달러, 반도체 등 공급 안정
2) Q4 도매량 계절적 감소, ETR 20~21%
3) 2025년 연간 총 관세 영향이 USD 3.5~4.5B (USD 4.0~5.0B)으로 축소
4) 관세율 현 수준 유지, 원자재/공급업체 간접 비용도 포함
5) Q4 신관세 수정 반영, 관세 Offset 효과로 35% 절감 전망
■판매량 및 시장 점유율
미국 내 EV 판매량 66.5K 기록하며 +16.5% QoQ, 107% YoY 상승 및 시장점유율 16.5% 시현(+0.7%p QoQ, +7.2%p YoY)
주요 OEM 업체 대비 최저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했음에도 불구, 최대 상승률을 기록. GM China(중국)는 신에너지차(NEV) 제품 판매량 확대로 2분기 연속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 시현
■모델별 실적
Chevrolet는 미국 내 2위 EV 브랜드이자 Equinox EV는 비(非) 테슬라 EV 중 판매 1위 차종이며 Cadillac은 2025년 들어 럭셔리 EV 시장 점유율을 가장 많이 확대. LYRIQ, OPTIQ, VISTIQ 모델은 럭셔리 EV 판매량 Top10에 진입. 이외 GMC의 EV 판매량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세 시현
■EV 재고 현황
EV 재고는 6월 말 대비 30% 감소, 시장 수요에 맞춰 생산/공급 조절 중인 상황. 2026년을 기점으로 EV 생산능력 및 제조 footprint를 수요에 맞춰 최우선적으로 조정하고자 할 것
■EV 수익성 개선
배터리팩 조립 공정에 AI 적용하여 수익성 개선할 것. AI 및 디지털 트윈 활용 → 제조 이상·전압 이상 감지, 원가 구조 개선. 또한 협동 로봇(cobots) 및 AI로 생산라인 자동화·품질관리를 철저히 수행할 것
■기타 조정 사항 등
Adjusted(조정) EBIT 항목에는 " Ultiumstrategic realignment" 항목이 존재. 이는 “Ultium Cells Holdings LLC”와 관련된 전략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차지)으로, 전기차 생산역량 및 성장에 맞춘 제조/배터리 구조조정 비용이어서, 실적에 일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음
감사합니다.
GM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본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당분기 주요 실적 요약
매출액: USD 48.6B (-0.4% YoY)
EPS-diluted-adj: USD 2.80 (-5.4% YoY)
EBIT-adj(Margin): USD 3.4B(6.9%, -1.5%p YoY)
*1.1억 달러의 관세비용과 0.9억 달러의 보증(AS) 비용이 발생했으나, 일부는 관세 절감 노력과 기타 고정비 절감으로 상쇄
■2025년 수정 가이던스(조정 이전)
EBIT-adj: USD 12.0~13.0B (USD 10.0~12.5B)
EPS-diluted-adj: USD 9.75~10.50 (USD 8.25~10.00)
CapEx+Battery JV: USD 10.0~11.0B
*주요 가정 요약: 연간 실적 전망치를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했고, 관세비 부담도 절감 조치로 개선될 전망
1) 북미 가격 0.5~1.0% 상승, GM Financial EBT 25~30억 달러, 반도체 등 공급 안정
2) Q4 도매량 계절적 감소, ETR 20~21%
3) 2025년 연간 총 관세 영향이 USD 3.5~4.5B (USD 4.0~5.0B)으로 축소
4) 관세율 현 수준 유지, 원자재/공급업체 간접 비용도 포함
5) Q4 신관세 수정 반영, 관세 Offset 효과로 35% 절감 전망
■판매량 및 시장 점유율
미국 내 EV 판매량 66.5K 기록하며 +16.5% QoQ, 107% YoY 상승 및 시장점유율 16.5% 시현(+0.7%p QoQ, +7.2%p YoY)
주요 OEM 업체 대비 최저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했음에도 불구, 최대 상승률을 기록. GM China(중국)는 신에너지차(NEV) 제품 판매량 확대로 2분기 연속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 시현
■모델별 실적
Chevrolet는 미국 내 2위 EV 브랜드이자 Equinox EV는 비(非) 테슬라 EV 중 판매 1위 차종이며 Cadillac은 2025년 들어 럭셔리 EV 시장 점유율을 가장 많이 확대. LYRIQ, OPTIQ, VISTIQ 모델은 럭셔리 EV 판매량 Top10에 진입. 이외 GMC의 EV 판매량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세 시현
■EV 재고 현황
EV 재고는 6월 말 대비 30% 감소, 시장 수요에 맞춰 생산/공급 조절 중인 상황. 2026년을 기점으로 EV 생산능력 및 제조 footprint를 수요에 맞춰 최우선적으로 조정하고자 할 것
■EV 수익성 개선
배터리팩 조립 공정에 AI 적용하여 수익성 개선할 것. AI 및 디지털 트윈 활용 → 제조 이상·전압 이상 감지, 원가 구조 개선. 또한 협동 로봇(cobots) 및 AI로 생산라인 자동화·품질관리를 철저히 수행할 것
■기타 조정 사항 등
Adjusted(조정) EBIT 항목에는 " Ultiumstrategic realignment" 항목이 존재. 이는 “Ultium Cells Holdings LLC”와 관련된 전략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차지)으로, 전기차 생산역량 및 성장에 맞춘 제조/배터리 구조조정 비용이어서, 실적에 일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음
감사합니다.
❤1
Tesla는 배터리 팩 구성품의 결함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구동력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미국에서 Model Y 12,963대의 차량을 리콜한다고 밝혀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recall-nearly-13000-us-vehicles-over-battery-risk-2025-10-22/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euters
Tesla to recall nearly 13,000 US vehicles over battery risk
Tesla is recalling 12,963 vehicles in the U.S. due to a defect in a battery pack component that could lead to a sudden loss of drive power, the U.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said on Wednesday.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체 인공지능(AI) 칩셋 ‘AI5’ 제조에 삼성전자(005930)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최근 수주한 차세대 칩셋 AI6은 물론 기존 TSMC가 전량 수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던 AI5도 공동 제조한다는 의미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ZAFAWTJP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서울경제
[속보] 머스크 "삼성, TSMC와 AI5 칩셋 공동 제작"
산업 > IT 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체 인공지능(AI) 칩셋 ‘AI5’ 제조에 삼성전자(005930)가 참여한다고 22일(현지 시간)...
[최근 원유 시장 View 및 주요 이벤트 요약]
금일 미 재무부 및 EU 회원국들의 대러•대중 관련 제재가 나와 최근 일별로 주요 이슈를 정리했습니다.
■2025.09.28 Opec+ 증산 발표 +137,000bpd (11월 1일부 예정)
■2025.09.29 이라크 2년 만 수출 재개로 하락 폭 확대
+500,000bpd
Reduced crude demand from India, the world's third largest crude oil importer, is negative for oil price after India's Aug crude imports fell -2.9% y/y to 19.6 MMT.
■2025.10.13: OPEC 유가 전망: 수요는 유지될 것이나 deficit이 감소. 결국 수요는 견조하게 증가하나 공급 부족을 예상했음에도 deficit이 줄어 가격은 약보합이라는 뉘앙스가 강하다고 판단. 당일 기준 유가는 상승세로 시작. 지난주 금요일 미중 갈등 고조로 인한 낙폭을 일부 회복
■25.10.21~22: 헝가리 루마니아 정유공장 폭발 및 미 에너지부 유가 약세 국면 활용해 전략비축유(SPR) 100만 bdl 구매 추진 발표 (바닥 신호로 판단해볼 수 있을 듯)
■25.10.23: 미 재무부, 러 석유업체 Lukoil 및 Rosneft를 OFAC 제재 대상으로 지정과 동시에 EU 측에서 19차 대러 제재에 동의. 이견 부재 시 금주 목요일 오전 8시(브뤼셀 기준) 자동 공식 채택. 더하여 EU의 19차 제재 패키지에는 중국 석유 관련 기업 4개사가 포함(독립 정유사 2개사 및 무역업체 1개사 등)
감사합니다.
금일 미 재무부 및 EU 회원국들의 대러•대중 관련 제재가 나와 최근 일별로 주요 이슈를 정리했습니다.
■2025.09.28 Opec+ 증산 발표 +137,000bpd (11월 1일부 예정)
■2025.09.29 이라크 2년 만 수출 재개로 하락 폭 확대
+500,000bpd
Reduced crude demand from India, the world's third largest crude oil importer, is negative for oil price after India's Aug crude imports fell -2.9% y/y to 19.6 MMT.
■2025.10.13: OPEC 유가 전망: 수요는 유지될 것이나 deficit이 감소. 결국 수요는 견조하게 증가하나 공급 부족을 예상했음에도 deficit이 줄어 가격은 약보합이라는 뉘앙스가 강하다고 판단. 당일 기준 유가는 상승세로 시작. 지난주 금요일 미중 갈등 고조로 인한 낙폭을 일부 회복
■25.10.21~22: 헝가리 루마니아 정유공장 폭발 및 미 에너지부 유가 약세 국면 활용해 전략비축유(SPR) 100만 bdl 구매 추진 발표 (바닥 신호로 판단해볼 수 있을 듯)
■25.10.23: 미 재무부, 러 석유업체 Lukoil 및 Rosneft를 OFAC 제재 대상으로 지정과 동시에 EU 측에서 19차 대러 제재에 동의. 이견 부재 시 금주 목요일 오전 8시(브뤼셀 기준) 자동 공식 채택. 더하여 EU의 19차 제재 패키지에는 중국 석유 관련 기업 4개사가 포함(독립 정유사 2개사 및 무역업체 1개사 등)
감사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euters
Angola's first major copper mine to start production next week
Angola's first major copper mine, Tetelo, will start production on October 29, officials said on Wednesday, part of the oil-rich African country's efforts to diversify into clean energy minerals.
이차전지 부품 전문기업 케이이엠텍(106080)이 ESS(에너지저장장치)용 각형 캔 설비의 첫 출하를 완료해 미국 ESS 시장 공략 속도를 내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출하된 설비는 케이이엠텍이 지난 7월 글로벌 배터리사와 체결한 800억 원 규모의 미국 ESS용 각형 캔 공급 프로젝트에 따른 것이다.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892966642335872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이데일리
케이이엠텍, 각형 캔 설비 ‘첫 출하’로 양산 채비 마쳐…美 ESS 시장 공략 본격화
이차전지 부품 전문기업 케이이엠텍(106080)이 ESS(에너지저장장치)용 각형 캔 설비의 첫 출하를 완료해 미국 ESS 시장 공략 속도를 내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출하된 설비는 케이이엠텍이 지난 7월 글로벌 배터리사와 체결한 800억 원 규모의 미국 E...
#벌거벗은브라질경제사 #이재명
*우선 작가 이름에 흠칫 놀라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도서는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이 영역에서는 엄연히 강국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브라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마음을 먹어 고르게 됐다. 구리 가격과 금값이 천정부지로 솟구치고 있는데 이 두 원재료는 브라질과 관련이 깊다. 더욱이 브라질 시가총액 1위 기업인 Vale 또한 광물 수출업을 영위하고 있으니 머리 속에는 온통 브라질 뿐이라고나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치적 패러다임과 각종 규제와 정책 변화에 따라 왜 현재의 브라질이 되었는가를 잘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당시 포르투갈로부터 식민 지배를 받았던 16세기 역사와 우여 곡절 끝에 독립에 성공했으나 자금난에 시달려 최초로 타국 영국에게 외채를 발행하는 등의 흐름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을 모두 읽은 후 왜 브라질이라는 국가의 금리 변동성은 크고 상시 고금리가 유지되는지 그리고 사기업과 공기업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등에 대해 답변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https://www.instagram.com/p/DQHp-_qEtxa/?igsh=MWYyeW9xYjZ2ejR0Zg==
*우선 작가 이름에 흠칫 놀라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도서는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이 영역에서는 엄연히 강국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브라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마음을 먹어 고르게 됐다. 구리 가격과 금값이 천정부지로 솟구치고 있는데 이 두 원재료는 브라질과 관련이 깊다. 더욱이 브라질 시가총액 1위 기업인 Vale 또한 광물 수출업을 영위하고 있으니 머리 속에는 온통 브라질 뿐이라고나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치적 패러다임과 각종 규제와 정책 변화에 따라 왜 현재의 브라질이 되었는가를 잘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당시 포르투갈로부터 식민 지배를 받았던 16세기 역사와 우여 곡절 끝에 독립에 성공했으나 자금난에 시달려 최초로 타국 영국에게 외채를 발행하는 등의 흐름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을 모두 읽은 후 왜 브라질이라는 국가의 금리 변동성은 크고 상시 고금리가 유지되는지 그리고 사기업과 공기업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등에 대해 답변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https://www.instagram.com/p/DQHp-_qEtxa/?igsh=MWYyeW9xYjZ2ejR0Zg==
👍3
[Tesla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
Tesla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본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당분기 주요 실적 요약
Total Revenue: USD 28,095mm (+12% YoY)
-Auto Revenue: USD 21,205mm (+6% YoY)
-Energy & Storage Revenue: USD 3,415mm (+44% YoY)
-Services and other Revenue: USD 3,475mm (+25% YoY)
Operating Margin: 5.8% (+1.7%p QoQ, -5.0%p YoY)
EPS attributable to common stockholders, diluted: USD 0.39 (-37% YoY)
Free cash flow: USD 3,990 (+46% YoY)
전사업부 매출액 성장했으나 FSD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 시현. 비용의 경우 판매관리비 증가와 AI 투자 등에 대한 R&D 비용이 증가. 그럼에도 ESS 사업의 수익성은 개선. 전기차 사업부의 경우 일부 차종에서 고정비 부담이 줄어들어 단위당 고정비 흡수가 낮아졌고, 관세 상승 및 판매 구성 변화로 차량 평균 단가는 높아졌으나, 원자재 가격 하락이 긍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
■EV 사업부 실적
Model3/Y 생산량: 435,826대 (-2% YoY)
기타 모델 합계 생산량: 11,624대 (-56% YoY)
Model3/Y 판매량: 481,166대 (+9% YoY)
기타 모델 합계 판매량: 15,933대 (-30% YoY)
-Model 3/Y 스탠다드 버전 출시, Model Y 퍼포먼스와 YL(중국형 롱휠베이스) 추가
■에너지 사업부 실적
ESS 설치량: 12.5GWh (+81% YoY). 역대 최대치 기록. 신제품으로 Megapack 3, Megablock 출시. 이외 주거용 태양광+Powerwall 리스 상품 출시, 안정적인 에너지비 절감효과 제공
*Megapack 3 생산은 2026년 휴스턴 메가팩토리에서 시작할 예정이며, 연간 최대 50GWh의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
■서비스 및 기타 사업부 실적
Supercharger stations: 7,753개소 (+16% YoY)
Supercharger connectors: 73,817개 (+18% YoY)
이외 V4 슈퍼차저를 도입했으며, 충전속도 500kW(승용차), 1,200kW(세미트럭)까지 상향
■기술 및 AI 사업 진척
-FSD Supervised 미국(샌프란시스코 및 오스틴), 캐나다 및 호주·뉴질랜드에 도입 개시
-AI 훈련역량: H100급 GPU 81,000개로 확장 (Samsung과 AI 칩 생산 협약 체결)
-FSD v14 도입: 복잡한 주행상황 대응 향상, 로보택시 모델 일부 탑재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1세대 생산라인 설치 중, 대량생산 2026년 예정 (최근 대량 부품 구매계약 체결)
■2026년 연간 사업 전망
-Cybercab(로보택시), Tesla Semi, Megapack 3 → 2026년부터 본격 생산
-비용구조 개선 및 AI·소프트웨어 기반 수익 비중 확대 예상
-향후 설비투자 및 신규 사업 진행에 필요한 자금 여유 충분하여 추가 자금 조달 필요 부재
감사합니다.
Tesla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본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당분기 주요 실적 요약
Total Revenue: USD 28,095mm (+12% YoY)
-Auto Revenue: USD 21,205mm (+6% YoY)
-Energy & Storage Revenue: USD 3,415mm (+44% YoY)
-Services and other Revenue: USD 3,475mm (+25% YoY)
Operating Margin: 5.8% (+1.7%p QoQ, -5.0%p YoY)
EPS attributable to common stockholders, diluted: USD 0.39 (-37% YoY)
Free cash flow: USD 3,990 (+46% YoY)
전사업부 매출액 성장했으나 FSD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 시현. 비용의 경우 판매관리비 증가와 AI 투자 등에 대한 R&D 비용이 증가. 그럼에도 ESS 사업의 수익성은 개선. 전기차 사업부의 경우 일부 차종에서 고정비 부담이 줄어들어 단위당 고정비 흡수가 낮아졌고, 관세 상승 및 판매 구성 변화로 차량 평균 단가는 높아졌으나, 원자재 가격 하락이 긍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
■EV 사업부 실적
Model3/Y 생산량: 435,826대 (-2% YoY)
기타 모델 합계 생산량: 11,624대 (-56% YoY)
Model3/Y 판매량: 481,166대 (+9% YoY)
기타 모델 합계 판매량: 15,933대 (-30% YoY)
-Model 3/Y 스탠다드 버전 출시, Model Y 퍼포먼스와 YL(중국형 롱휠베이스) 추가
■에너지 사업부 실적
ESS 설치량: 12.5GWh (+81% YoY). 역대 최대치 기록. 신제품으로 Megapack 3, Megablock 출시. 이외 주거용 태양광+Powerwall 리스 상품 출시, 안정적인 에너지비 절감효과 제공
*Megapack 3 생산은 2026년 휴스턴 메가팩토리에서 시작할 예정이며, 연간 최대 50GWh의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
■서비스 및 기타 사업부 실적
Supercharger stations: 7,753개소 (+16% YoY)
Supercharger connectors: 73,817개 (+18% YoY)
이외 V4 슈퍼차저를 도입했으며, 충전속도 500kW(승용차), 1,200kW(세미트럭)까지 상향
■기술 및 AI 사업 진척
-FSD Supervised 미국(샌프란시스코 및 오스틴), 캐나다 및 호주·뉴질랜드에 도입 개시
-AI 훈련역량: H100급 GPU 81,000개로 확장 (Samsung과 AI 칩 생산 협약 체결)
-FSD v14 도입: 복잡한 주행상황 대응 향상, 로보택시 모델 일부 탑재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1세대 생산라인 설치 중, 대량생산 2026년 예정 (최근 대량 부품 구매계약 체결)
■2026년 연간 사업 전망
-Cybercab(로보택시), Tesla Semi, Megapack 3 → 2026년부터 본격 생산
-비용구조 개선 및 AI·소프트웨어 기반 수익 비중 확대 예상
-향후 설비투자 및 신규 사업 진행에 필요한 자금 여유 충분하여 추가 자금 조달 필요 부재
감사합니다.
아르헨티나 현지 언론 디아리오인포살타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포스코가 살타주 지역 구매법을 어기고 한국계 등 외국기업에 계약을 몰아줬다는 지역 업체들의 주장을 보도했다.
보도를 보면 포스코는 살타주의 '지역 구매 고용법(8.164호)'을 어긴 채 한국계 기업 TGL과 외국 자본 팬토스(Phantos) 등에 입찰도 거치지 않고 바로 계약을 맺었다.
문제는 이들 회사의 실체다. 한국 출신 사업가가 세운 TGL은 등록된 직원이 겨우 4명이고, 업무에 필요한 차량조차 한 대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실체가 불분명한 회사가 포스코로부터 대규모 계약을 따냈다는 것이다.
살타주와 카타마르카주에서 사업하는 포스코를 두고 광산업계 안팎에서는 주정부가 계약 내역을 다시 살피고 회사에 해명을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https://www.g-enews.com/view.php?ud=20251023104618669fbbec65dfb_1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포스코, 아르헨티나 리튬사업 1조원 투자에도 '현지 고용 제로' 논란
포스코홀딩스가 아르헨티나 살타주에서 추진하는 1조원 규모 리튬 사업이 현지 일자리를 만들지 않고 한국계 유령회사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아르헨티나 현지 언론 디아리오인포살타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포스코가 살타주 지역 구매법을 어기고 한국계 등 외국기업에 계약을 몰아줬다는
🤔6🍌1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rivian-lay-off-more-than-600-workers-amid-ev-pullback-wsj-reports-2025-10-23/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euters
Rivian to lay off more than 600 workers amid EV pullback, WSJ reports
Rivian Automotive is set to lay off more than 600 people, or around 4% of its workforce, as the electric-vehicle maker looks to reduce costs,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on Thursday, citing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인도에 이어 중국도 국영 석유기업 중심으로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에 나섰다.
2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페트로차이나,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 정화오일 등 국영기업은 미국이 러시아 최대 석유기업인 로즈네프트와 루코일에 제재를 가한 이후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멈췄다.
https://m.sedaily.com/NewsView/2GZAW610P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서울경제
印 이어 中도 해상운송 러 원유 구매 중단
국제 > 정치·사회 뉴스: 인도에 이어 중국도 국영 석유기업 중심으로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에 나섰다. 2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
SK온과 조지아주는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SK온은 조지아주 커머스시에서 22GWh 규모 단독 배터리 공장(SK배터리아메리카·SKBA)을 운영 중이다. 조지아주 바토우에서는 현대차그룹과 합작으로 35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켐프 주지사는 한국을 찾은 전날(23일)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과도 만났다. 만남에서 두 사람은 지난달 발생한 HI-GA 배터리컴퍼니(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미국 조지아주 합작 배터리 공장) 단속 이후 사태 수습 방안과 함께 비자, 투자 등 다양한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952287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뉴스1
美 조지아 주지사, 이석희 SK온 CEO와 회동…배터리 협력 확대 논의
켐프 주지사, 전날 현대차 이어 LG엔솔 등 배터리 업계 만남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24일 이석희 SK온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배터리 사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켐프 주지사는 이날 오전 윌슨 조지아주 …
❤2
[2025년 3분기 2차전지 밸류체인 Earnings 일정 요약]
*2차 업데이트 (25년 10월 24일 기준)
GM: 2025-10-21 (종료)
Tesla: 2025-10-22 (종료)
Ford: 2025-10-23 (종료)
CATL: 2025-10-25
포스코퓨처엠: 2025-10-27
삼성SDI: 2025-10-28
엘앤에프: 2025-10-29
LG에너지솔루션: 2025-10-30
LG화학: 2025-10-31
Panasonic: 2025-10-30
BYD: 2025-10-30
Vale S.A.: 2025-10-30
Stellantis: 2025-10-31
Sk이노베이션: 2025-10-31
에코프로그룹사: 2025-11-04
Lucid: 2025-11-05
Albemarle: 2025-11-05
Toyota: 2025-11-05
Nio: 2025-11-14
SQM: 2025-11-19
감사합니다.
*2차 업데이트 (25년 10월 24일 기준)
GM: 2025-10-21 (종료)
Tesla: 2025-10-22 (종료)
Ford: 2025-10-23 (종료)
CATL: 2025-10-25
포스코퓨처엠: 2025-10-27
삼성SDI: 2025-10-28
엘앤에프: 2025-10-29
LG에너지솔루션: 2025-10-30
LG화학: 2025-10-31
Panasonic: 2025-10-30
BYD: 2025-10-30
Vale S.A.: 2025-10-30
Stellantis: 2025-10-31
Sk이노베이션: 2025-10-31
에코프로그룹사: 2025-11-04
Lucid: 2025-11-05
Albemarle: 2025-11-05
Toyota: 2025-11-05
Nio: 2025-11-14
SQM: 2025-11-19
감사합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