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필러스가 "Initia Chain Upgrade Proposal #1" 에 반대하는 이유
1. 배경
이번 프로포절은 INIT-USDC 풀의 초기 부트스트래핑을 위해 제공되던 4배 스테이킹 보상을 연 25% APR 수준으로 조정하여 총 1,250만 개 INIT로 축소하고, 장기적으로는 3,000만 달러 규모의 TVL을 유지하며 30% APR 수준을 목표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본 제안은 VIP 토크노믹스의 방향성과 부합하며, 롤업 활성화에 따라 INIT의 수요 기반 토크노믹스를 구축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점에서 정당성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2. 포필러스의 투표: 비토권 (No with Veto)
해당 프로포절이 승인됨에 따라 사용자의 스테이킹 보상이 갑작스럽게 75% 감소하는 변화인 만큼, 이니시아 팀 내에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했다고 사료됩니다.
이니시아 생태계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고, 언스테이킹 기간이 21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제안은 이들이 실질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과 소통의 여지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다수의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아직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중대한 정책 변경이 급작스럽게 추진된 것은 아쉬운 점입니다.
이에 따라, 본 제안은 일차적으로 부결된 후, 적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셋업과 커뮤니티와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재상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고, 이러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포필러스는 "No With Veto"로 투표하였습니다.
3. 제안 및 액션 플랜
이니시아 재단은 먼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 제안해야 합니다:
▪️ 제안의 범위 및 적용 기준(Governance Scope)
▪️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식 채널의 명시
▪️ 핵심 거버넌스 파라미터(투표 기간, 가결 기준 등)에 대한 정의
이러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가 마련된 이후, 해당 안건의 수정안이 정당한 절차에 따라 재논의되어야 할 것입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 배경
이번 프로포절은 INIT-USDC 풀의 초기 부트스트래핑을 위해 제공되던 4배 스테이킹 보상을 연 25% APR 수준으로 조정하여 총 1,250만 개 INIT로 축소하고, 장기적으로는 3,000만 달러 규모의 TVL을 유지하며 30% APR 수준을 목표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본 제안은 VIP 토크노믹스의 방향성과 부합하며, 롤업 활성화에 따라 INIT의 수요 기반 토크노믹스를 구축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점에서 정당성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2. 포필러스의 투표: 비토권 (No with Veto)
해당 프로포절이 승인됨에 따라 사용자의 스테이킹 보상이 갑작스럽게 75% 감소하는 변화인 만큼, 이니시아 팀 내에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했다고 사료됩니다.
이니시아 생태계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고, 언스테이킹 기간이 21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제안은 이들이 실질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과 소통의 여지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다수의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아직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중대한 정책 변경이 급작스럽게 추진된 것은 아쉬운 점입니다.
이에 따라, 본 제안은 일차적으로 부결된 후, 적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셋업과 커뮤니티와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재상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고, 이러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포필러스는 "No With Veto"로 투표하였습니다.
3. 제안 및 액션 플랜
이니시아 재단은 먼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 제안해야 합니다:
▪️ 제안의 범위 및 적용 기준(Governance Scope)
▪️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식 채널의 명시
▪️ 핵심 거버넌스 파라미터(투표 기간, 가결 기준 등)에 대한 정의
이러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가 마련된 이후, 해당 안건의 수정안이 정당한 절차에 따라 재논의되어야 할 것입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9❤4🔥3👎2
: : 이니시아 밸리데이터 커미션 하향 조정 안내
포필러스는 신뢰받는 리서치 전문 기업으로서, 시장과 생태계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수행할 뿐 아니라, 밸리데이터로서 네트워크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니시아 거버넌스에서 제안된 갑작스러운 스테이킹 보상 하향 조정 안건에 대해 'No with veto' 투표권을 행사한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비롯된 결정입니다. 이니시아 생태계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위해 보상 축소가 불가피한 방향이라는 점에는 공감하나, 적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내 충분한 논의 기반의 접근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해당 안건이 당장 통과되든, 이후 통과되든 결국 보상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포필러스는 커뮤니티의 이익을 위해 이니시아 네트워크 상에서 운영 중인 밸리데이터의 커미션을 기존 10%에서 5%로 하향조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조만간 포필러스는 별도의 밸리데이터 브랜드를 출범할 예정이며, 해당 브랜드의 제1 목표는 단순한 블록 생성자가 아닌, 리서치 기반의 압도적인 생태계 기여 및 커뮤니티 지원을 통한 책임 있는 참여자가 되는 것입니다.
포필러스는 리서치 기업이자 밸리데이터로서 언제나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성장을 우선시하며, 책임 있는 판단과 실천으로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포필러스는 신뢰받는 리서치 전문 기업으로서, 시장과 생태계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수행할 뿐 아니라, 밸리데이터로서 네트워크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니시아 거버넌스에서 제안된 갑작스러운 스테이킹 보상 하향 조정 안건에 대해 'No with veto' 투표권을 행사한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비롯된 결정입니다. 이니시아 생태계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위해 보상 축소가 불가피한 방향이라는 점에는 공감하나, 적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내 충분한 논의 기반의 접근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해당 안건이 당장 통과되든, 이후 통과되든 결국 보상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포필러스는 커뮤니티의 이익을 위해 이니시아 네트워크 상에서 운영 중인 밸리데이터의 커미션을 기존 10%에서 5%로 하향조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조만간 포필러스는 별도의 밸리데이터 브랜드를 출범할 예정이며, 해당 브랜드의 제1 목표는 단순한 블록 생성자가 아닌, 리서치 기반의 압도적인 생태계 기여 및 커뮤니티 지원을 통한 책임 있는 참여자가 되는 것입니다.
포필러스는 리서치 기업이자 밸리데이터로서 언제나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성장을 우선시하며, 책임 있는 판단과 실천으로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0🥴4👍1
: : [이슈] 탈중앙화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의의 (ft. 이니시아)
작성자: 제이
- 최근 제안된 이니시아의 #39 거버넌스 제안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탈중앙화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해 네 가지 핵심 변경 사항을 담고 있다.
- 하지만 일부 어젠다의 경우, 애초에 설계된 프로토콜 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충분한 소통이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커뮤니티 구성원간에는 본 제안의 통과 여부를 두고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 이니시아 측은 이에 대한 충분한 인지와 함께, 추후 적합한 거버넌스 절차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 포필러스 구성원들은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도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니시아 프로토콜의 비전에 맞는 프레임워크 설립 방식을 제안한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작성자: 제이
- 최근 제안된 이니시아의 #39 거버넌스 제안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탈중앙화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해 네 가지 핵심 변경 사항을 담고 있다.
- 하지만 일부 어젠다의 경우, 애초에 설계된 프로토콜 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충분한 소통이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커뮤니티 구성원간에는 본 제안의 통과 여부를 두고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 이니시아 측은 이에 대한 충분한 인지와 함께, 추후 적합한 거버넌스 절차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 포필러스 구성원들은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도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니시아 프로토콜의 비전에 맞는 프레임워크 설립 방식을 제안한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4
: :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오픈 세미나 안내
포필러스가 해시드오픈리서치와 함께 "디지털 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라는 오픈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세션 안내]
- 스테이블코인 구조 논쟁 (김용범 대표, 해시드오픈리서치)
-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프라 (강희창 프로덕트 리드, 포필러스)
- 해외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복진솔 리서치 리드, 포필러스)
- 국내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언 (김효봉 변호사, 법무법인 태평양)
- 스테이블코인의 회계 및 세무 (이재혁 파트너, PwC 삼일회계법인)
[패널 디스커션 안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 핵심은 무엇인가?
- 서병윤 CSO, DSRV
- 이우성 상무, 삼성카드
- Christie Lee APAC 총괄, 앱토스 랩스
- 임종규 한국지사대표, 레이어제로
- 정수현 선임, 신한투자증권
[행사 안내]
🗓 일정: 5월 28일 수요일
🕔 시간: 오전 10시-12시
📍 장소: 해시드 라운지 (강남대로374, 20층)
참가 신청: https://forms.gle/aeXGHUhd3FQiByzN9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포필러스가 해시드오픈리서치와 함께 "디지털 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라는 오픈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세션 안내]
- 스테이블코인 구조 논쟁 (김용범 대표, 해시드오픈리서치)
-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프라 (강희창 프로덕트 리드, 포필러스)
- 해외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복진솔 리서치 리드, 포필러스)
- 국내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언 (김효봉 변호사, 법무법인 태평양)
- 스테이블코인의 회계 및 세무 (이재혁 파트너, PwC 삼일회계법인)
[패널 디스커션 안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 핵심은 무엇인가?
- 서병윤 CSO, DSRV
- 이우성 상무, 삼성카드
- Christie Lee APAC 총괄, 앱토스 랩스
- 임종규 한국지사대표, 레이어제로
- 정수현 선임, 신한투자증권
[행사 안내]
🗓 일정: 5월 28일 수요일
🕔 시간: 오전 10시-12시
📍 장소: 해시드 라운지 (강남대로374, 20층)
참가 신청: https://forms.gle/aeXGHUhd3FQiByzN9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2👍5
: : [이슈] 에테나의 위대함을 알고 있는가
작성자: 재원
- 에테나는 ETH, BTC, SOL, USDtb 등으로 구성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담보 자산에 숏 포지션을 자동으로 운용해, 극심한 시장 변동성에도 안정적인 페깅을 유지한다.
- 전통적인 헤지펀드라면 수십 명의 리스크 관리 인력이 필요할 법한 변동성을, 에테나는 단 26명으로 24시간 밀착 모니터링하며 마진 청산이나 디페깅 없이 운영한다.
- 기관용 크레딧 라인 확보, 다중 거래소 리스크 분석, 펀딩비가 음(-)으로 전환될 때 대비한 예비 기금 등은 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에테나만의 경쟁 우위를 형성한다.
- 기관용 iUSDe와 금리 차익(아비트라지) 전략을 통해 크립토와 전통 금융을 잇겠다는 계획을 제시하며, USDe 공급량을 250억 달러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작성자: 재원
- 에테나는 ETH, BTC, SOL, USDtb 등으로 구성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담보 자산에 숏 포지션을 자동으로 운용해, 극심한 시장 변동성에도 안정적인 페깅을 유지한다.
- 전통적인 헤지펀드라면 수십 명의 리스크 관리 인력이 필요할 법한 변동성을, 에테나는 단 26명으로 24시간 밀착 모니터링하며 마진 청산이나 디페깅 없이 운영한다.
- 기관용 크레딧 라인 확보, 다중 거래소 리스크 분석, 펀딩비가 음(-)으로 전환될 때 대비한 예비 기금 등은 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에테나만의 경쟁 우위를 형성한다.
- 기관용 iUSDe와 금리 차익(아비트라지) 전략을 통해 크립토와 전통 금융을 잇겠다는 계획을 제시하며, USDe 공급량을 250억 달러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7👎1
두 달전, 한국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민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국가에서 독점해야할 통화창출권을 넘겨주는 것이며, 이는 통화창출을 통한 부채라는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출간했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스테이블코인은 단기 현금성 자산으로 완벽히 담보되어있는 지급준비율 100%의 시스템이다. 미국 재무부의 스테이블코인 보고서 또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통화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명시되어있다.
작성자: 100y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0🤣1
: : 스토리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KPI는?
작성자: 재원
- 스토리는 IP 토큰화와 수익화에 특화된 목적 중심의 블록체인(purpose-built blockchain)이므로, TVL이나 트랜잭션 같은 전통 지표만으로는 그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
- 크리에이티브 트랜잭션, 액티브 크리에이터, 총 라이선스된 IP(TIL), IP 로열티 등 IP 중심 지표를 살펴보면, 기존 지표로는 놓치기 쉬운 스토리의 실제 성과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 법적·저작권적 안전장치도 핵심이다. Programmable IP License(PIL)와 Attestation Service(SAS)는 분쟁 발생 시 창작자와 권리자를 보호하고 콘텐츠 진위성을 보장하여, 안심하고 IP를 온체인에 등록·활용하도록 돕는다.
- 스토리는 전통 IP 시장의 비효율을 개선함으로써 IP가 자유롭게 검색·라이선싱·리믹스·수익화되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제 유스 케이스가 늘어나면, 스토리는 온체인 IP 마켓플레이스가 되어 대규모 협업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전통 L1 지표 vs. 스토리 네이티브 KPI
▫️ 추가적으로 살펴봐야 할 요소들
▫️ IP 유동성(Liquidity): 스토리의 핵심 프레임워크
▫️ 가설 검증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스토리는 IP 토큰화와 수익화에 특화된 목적 중심의 블록체인(purpose-built blockchain)이므로, TVL이나 트랜잭션 같은 전통 지표만으로는 그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
- 크리에이티브 트랜잭션, 액티브 크리에이터, 총 라이선스된 IP(TIL), IP 로열티 등 IP 중심 지표를 살펴보면, 기존 지표로는 놓치기 쉬운 스토리의 실제 성과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 법적·저작권적 안전장치도 핵심이다. Programmable IP License(PIL)와 Attestation Service(SAS)는 분쟁 발생 시 창작자와 권리자를 보호하고 콘텐츠 진위성을 보장하여, 안심하고 IP를 온체인에 등록·활용하도록 돕는다.
- 스토리는 전통 IP 시장의 비효율을 개선함으로써 IP가 자유롭게 검색·라이선싱·리믹스·수익화되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제 유스 케이스가 늘어나면, 스토리는 온체인 IP 마켓플레이스가 되어 대규모 협업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전통 L1 지표 vs. 스토리 네이티브 KPI
▫️ 추가적으로 살펴봐야 할 요소들
▫️ IP 유동성(Liquidity): 스토리의 핵심 프레임워크
▫️ 가설 검증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 : 해시드오픈리서치 x 포필러스, 원화 스테이블코인 세미나 성황리에 종료
오늘 오전에 해시드 라운지에서 진행되었던 "디지털 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해시드오픈리서치 덕분에 좋은 기회를 얻어 각 분야의 전문가분들과 함께 발표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귀중한 시간 내어주신 참석자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오늘 발표를 기반으로한 스테이블코인 레포트가 이번주 중으로 퍼블리시 될 예정이니, 발표 자료가 필요하시다거나, 발표를 놓친분들께서는 레포트를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기사: 이데일리 / 이투데이 / 테크M / IT조선 / 전자신문 / 한국경제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오늘 오전에 해시드 라운지에서 진행되었던 "디지털 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해시드오픈리서치 덕분에 좋은 기회를 얻어 각 분야의 전문가분들과 함께 발표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귀중한 시간 내어주신 참석자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오늘 발표를 기반으로한 스테이블코인 레포트가 이번주 중으로 퍼블리시 될 예정이니, 발표 자료가 필요하시다거나, 발표를 놓친분들께서는 레포트를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기사: 이데일리 / 이투데이 / 테크M / IT조선 / 전자신문 / 한국경제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14🔥3👍1🥰1
: : [이슈] 수이를 통해 탈중앙화를 다시 생각한다
작성자: 스티브
- 2025년 시투스 해킹 사태로 인해 수이 밸리데이터들은 해커의 자산을 네트워크 차원에서 동결하고 반환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이는 기술적으로 효과적인 대응이었지만,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인 검열 저항성과 탈중앙화 원칙에 대한 논란을 촉발시켰다.
- 이 사건은 ‘탈중앙화는 왜 중요한가’, ‘절대적인 탈중앙화가 언제나 옳은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으며, 수이는 극단적 탈중앙화보다는 실용성과 생태계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실천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 하지만 어떤 대응이든 정당성을 갖기 위해선 명확한 원칙과 프로세스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하며, 수이는 앞으로 유사한 사태에 대비해 거버넌스 범위, 개입 기준, 개인의 투표권 보장 등을 포함한 더 유연하고 투명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스티브
- 2025년 시투스 해킹 사태로 인해 수이 밸리데이터들은 해커의 자산을 네트워크 차원에서 동결하고 반환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이는 기술적으로 효과적인 대응이었지만,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인 검열 저항성과 탈중앙화 원칙에 대한 논란을 촉발시켰다.
- 이 사건은 ‘탈중앙화는 왜 중요한가’, ‘절대적인 탈중앙화가 언제나 옳은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으며, 수이는 극단적 탈중앙화보다는 실용성과 생태계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실천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 하지만 어떤 대응이든 정당성을 갖기 위해선 명확한 원칙과 프로세스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하며, 수이는 앞으로 유사한 사태에 대비해 거버넌스 범위, 개입 기준, 개인의 투표권 보장 등을 포함한 더 유연하고 투명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 vApp: 웹3의 인터넷 규모 성장을 위한 주춧돌
작성자: 인근
- 지금까지 블록체인 산업은 주로 속도, 비용, 인프라 개선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진보만으로는 웹3가 인터넷 수준의 대중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엔 여전히 부족하다. 웹3가 진정한 인터넷 규모로 성장하기 위해선, 개발자들이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 이러한 전환점에서 “검증 가능한 컴퓨팅”은 중요한 해답이 될 수 있다. 롤업이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해결하는 핵심 기술이었다면, 이제는 검증 가능한 컴퓨팅이 웹3 전반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개념을 구체화한 것이 바로 vApp이다.
- vApp은 검증 가능한 컴퓨팅, 영지식 가상 머신, 모듈형 아키텍처, 통합 SDK 등을 바탕으로 웹3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블록체인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앱을 쉽게 만들 수 있다.
- 하지만 vApp이 현실화되기 위해선 더 많은 웹3 인프라와 앱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연결되어야 하며, 영지식 증명 비용과 인센티브 구조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App은 웹2와 웹3의 간극을 메우고, 웹3가 진정한 인터넷 규모로 확장되도록 이끄는 유력한 해법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이 기술이 앞으로 어떤 진화를 이끌어낼지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다.
▫️ 웹3는 왜 아직 인터넷 규모에 도달하지 못했는가
▫️ 검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그 핵심 기둥들
▫️ vApp의 활용 사례 시나리오
▫️ vApp이 보여줄 인터넷, 그 이상의 웹3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인근
- 지금까지 블록체인 산업은 주로 속도, 비용, 인프라 개선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진보만으로는 웹3가 인터넷 수준의 대중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엔 여전히 부족하다. 웹3가 진정한 인터넷 규모로 성장하기 위해선, 개발자들이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 이러한 전환점에서 “검증 가능한 컴퓨팅”은 중요한 해답이 될 수 있다. 롤업이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해결하는 핵심 기술이었다면, 이제는 검증 가능한 컴퓨팅이 웹3 전반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개념을 구체화한 것이 바로 vApp이다.
- vApp은 검증 가능한 컴퓨팅, 영지식 가상 머신, 모듈형 아키텍처, 통합 SDK 등을 바탕으로 웹3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블록체인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앱을 쉽게 만들 수 있다.
- 하지만 vApp이 현실화되기 위해선 더 많은 웹3 인프라와 앱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연결되어야 하며, 영지식 증명 비용과 인센티브 구조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App은 웹2와 웹3의 간극을 메우고, 웹3가 진정한 인터넷 규모로 확장되도록 이끄는 유력한 해법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이 기술이 앞으로 어떤 진화를 이끌어낼지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다.
▫️ 웹3는 왜 아직 인터넷 규모에 도달하지 못했는가
▫️ 검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그 핵심 기둥들
▫️ vApp의 활용 사례 시나리오
▫️ vApp이 보여줄 인터넷, 그 이상의 웹3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 : [리포트] 디지털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
작성자: 해시드오픈리서치 김용범 대표, 포필러스 강희창 프로덕트 리드, 포필러스 복진솔 리서치 리드, 법무법인 태평양 김효봉 파트너 변호사, 신한투자증권 정수현 선임, PwC 삼일회계법인 이재혁 파트너 회계사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이후 암호화폐 정책 환경이 빠른속도로 변화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뜨겁다. 이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도입 여부'가 아니라 '어떤 구조로 설계할 것인가'라는 관점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다.
- 이번 보고서는 원론적인 내용을 다뤘던 지난 "원화스테이블코인 필용성과 법제화 제안"에 이어서, 해외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발행/활용/회계처리되어야 하는지와 같은 실질적인 내용을 다룬다.
목차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구조 논쟁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스테이블코인 발행 파이프라인 (강희창, 포필러스)
▫️해외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복진솔, 포필러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언 (김효봉, 법무법인 태평양 / 정수현, 신한금융투자)
▫️스테이블코인 회계, 세무, 제도적 문제점과 개선 방향 (이재혁, PwC 삼일회계법인)
▫️(부록)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FAQ (정수현, 신한금융투자)
트위터 링크
국문 레포트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작성자: 해시드오픈리서치 김용범 대표, 포필러스 강희창 프로덕트 리드, 포필러스 복진솔 리서치 리드, 법무법인 태평양 김효봉 파트너 변호사, 신한투자증권 정수현 선임, PwC 삼일회계법인 이재혁 파트너 회계사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이후 암호화폐 정책 환경이 빠른속도로 변화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뜨겁다. 이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도입 여부'가 아니라 '어떤 구조로 설계할 것인가'라는 관점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다.
- 이번 보고서는 원론적인 내용을 다뤘던 지난 "원화스테이블코인 필용성과 법제화 제안"에 이어서, 해외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발행/활용/회계처리되어야 하는지와 같은 실질적인 내용을 다룬다.
목차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구조 논쟁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스테이블코인 발행 파이프라인 (강희창, 포필러스)
▫️해외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복진솔, 포필러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언 (김효봉, 법무법인 태평양 / 정수현, 신한금융투자)
▫️스테이블코인 회계, 세무, 제도적 문제점과 개선 방향 (이재혁, PwC 삼일회계법인)
▫️(부록)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FAQ (정수현, 신한금융투자)
트위터 링크
국문 레포트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2🔥3
: : 수이 vs 하이퍼리퀴드: 두 신생 L1 간 패권 경쟁의 본격화
작성자: 재원
- 하이퍼리퀴드와 수이는 각기 다른 전략을 펼치며 시가총액 기준 암호화폐 시장에서 최상위권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하이퍼리퀴드는 초기에 초고속 파생상품 DEX으로 시작했으며, 수이는 무브(Move) 언어 중심의 인프라 구축에 주력했다.
- 하이퍼리퀴드는 공격적인 바이백·소각 구조로 하이퍼사운드 머니를 추구하고, 수이는 전통적 L1 설계에 기반하여 검증자 보상과 네트워크 성장을 우선한다(오브젝트 기반 모델로 인한 락업 효과도 존재).
- 하이퍼리퀴드는 대규모 에어드롭과 트레이더 친화 기능으로 바텀업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한 반면, 수이는 공식 보조금·앰배서더 프로그램 등 기업형 구조를 통해 개발자·기관을 유치했다.
- 하이퍼리퀴드는 단일 DEX를 넘어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해야 하고, 수이는 인프라 강점을 실제 사용자 확보로 이어 가야 한다. 두 체인이 보여주는 극명한 대비는, 어떤 모델이든 커뮤니티 열기든 기술 혁신이든 다양하게 성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Go-to-Market 전략
▫️ 커뮤니티 및 문화
▫️ 창립자 및 조직 사고방식
▫️ 토크노믹스(Tokenomics) 및 경제 설계
▫️ 개발자 경험 및 아키텍처
▫️ 생태계 확장 전략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하이퍼리퀴드와 수이는 각기 다른 전략을 펼치며 시가총액 기준 암호화폐 시장에서 최상위권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하이퍼리퀴드는 초기에 초고속 파생상품 DEX으로 시작했으며, 수이는 무브(Move) 언어 중심의 인프라 구축에 주력했다.
- 하이퍼리퀴드는 공격적인 바이백·소각 구조로 하이퍼사운드 머니를 추구하고, 수이는 전통적 L1 설계에 기반하여 검증자 보상과 네트워크 성장을 우선한다(오브젝트 기반 모델로 인한 락업 효과도 존재).
- 하이퍼리퀴드는 대규모 에어드롭과 트레이더 친화 기능으로 바텀업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한 반면, 수이는 공식 보조금·앰배서더 프로그램 등 기업형 구조를 통해 개발자·기관을 유치했다.
- 하이퍼리퀴드는 단일 DEX를 넘어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해야 하고, 수이는 인프라 강점을 실제 사용자 확보로 이어 가야 한다. 두 체인이 보여주는 극명한 대비는, 어떤 모델이든 커뮤니티 열기든 기술 혁신이든 다양하게 성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Go-to-Market 전략
▫️ 커뮤니티 및 문화
▫️ 창립자 및 조직 사고방식
▫️ 토크노믹스(Tokenomics) 및 경제 설계
▫️ 개발자 경험 및 아키텍처
▫️ 생태계 확장 전략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이슈] Loud!는 카이토의 테스트넷이다
작성자: 시원
- 현재 크립토 커뮤니티에서 Loud!는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카이토(Kaito)의 마인드쉐어(Mindshare) 리더보드 1위를 차지하는 등 단기간에 단순한 토큰 프로젝트 이상의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 Loud!는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에 콘텐츠를 게시해 마인드쉐어 점수를 쌓고, 토큰 거래 수수료를 상위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구조를 갖췄지만, 토큰 유틸리티나 장기 로드맵이 부실하다. 필자는 이러한 구조가 카이토의 데이터 수집 및 AI 모델 테스트를 위해 설계된 구조라고 생각한다.
- 카이토는 Loud!를 통해 무의미한 소셜 데이터와 소셜 그래프를 수집하며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더 정교한 AI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다.
📝 리서처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시원
- 현재 크립토 커뮤니티에서 Loud!는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카이토(Kaito)의 마인드쉐어(Mindshare) 리더보드 1위를 차지하는 등 단기간에 단순한 토큰 프로젝트 이상의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 Loud!는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에 콘텐츠를 게시해 마인드쉐어 점수를 쌓고, 토큰 거래 수수료를 상위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구조를 갖췄지만, 토큰 유틸리티나 장기 로드맵이 부실하다. 필자는 이러한 구조가 카이토의 데이터 수집 및 AI 모델 테스트를 위해 설계된 구조라고 생각한다.
- 카이토는 Loud!를 통해 무의미한 소셜 데이터와 소셜 그래프를 수집하며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더 정교한 AI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 : 모드 네트워크: DeFAI 스택으로 제시하는 에이전틱 경제
작성자: 에렌
- 모드 네트워크는 디파이 특화 레이어2 블록체인에서 DeFAI 허브로 진화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디파이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자본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재 DeFAI 솔루션은 단일 기능에 국한되고 여러 체인에 파편화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에 모드 네트워크는 멀티-에이전트 협업과 통합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모드 네트워크의 DeFAI 스택은 세 가지 레이어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레이어(AI 터미널, 에이전트 앱스토어, 모드 트레이드), 데이터 레이어(합성 데이터 생성을 위한 Synth 서브넷), 인프라 레이어(AI 보안 시퀀서 및 옵티미즘 슈퍼체인)
- 사용자의 신뢰 확보와 기술적인 안정성은 앞으로 모드 네트워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지만,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충분한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모드 네트워크의 접근방식은 디파이의 광범위한 채택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할 것이다.
▫️ 모드 네트워크가 제시하는 크립토와 AI의 중장기적 미래
▫️ 디파이에서 DeFAI로의 진화: AI를 통한 디파이의 복잡성 해결
▫️ 현 DeFAI 솔루션의 한계
▫️ 모드 네트워크: 통합된 DeFAI 생태계
▫️ 마치며: 모드의 에이전틱 경제가 가리키는 디파이의 발전 방향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에렌
- 모드 네트워크는 디파이 특화 레이어2 블록체인에서 DeFAI 허브로 진화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디파이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자본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재 DeFAI 솔루션은 단일 기능에 국한되고 여러 체인에 파편화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에 모드 네트워크는 멀티-에이전트 협업과 통합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모드 네트워크의 DeFAI 스택은 세 가지 레이어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레이어(AI 터미널, 에이전트 앱스토어, 모드 트레이드), 데이터 레이어(합성 데이터 생성을 위한 Synth 서브넷), 인프라 레이어(AI 보안 시퀀서 및 옵티미즘 슈퍼체인)
- 사용자의 신뢰 확보와 기술적인 안정성은 앞으로 모드 네트워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지만,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충분한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모드 네트워크의 접근방식은 디파이의 광범위한 채택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할 것이다.
▫️ 모드 네트워크가 제시하는 크립토와 AI의 중장기적 미래
▫️ 디파이에서 DeFAI로의 진화: AI를 통한 디파이의 복잡성 해결
▫️ 현 DeFAI 솔루션의 한계
▫️ 모드 네트워크: 통합된 DeFAI 생태계
▫️ 마치며: 모드의 에이전틱 경제가 가리키는 디파이의 발전 방향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그동안 전통적인 은행 예금/적금 계좌는 개인들이 여유 현금을 관리할 때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제 이자 창출형 스테이블코인(Yield-Bearing Stablecoin, YBS)이 등장하며 이러한 기존 방식을 뒤흔들고 있다. YBS는 디지털 달러를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높은 이자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에테나의 sUSDe는 현재 약 7.5%의 연간 이자율을 제공하며, 온도 파이낸스의 USDY는 토큰 보유만으로도 실시간으로 4.20%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코인베이스의 USDC 홀더는 역시 매월 약 4%의 이자를 리워드로 받는다.
다만, 각 YBS 프로젝트마다 담보 자산을 관리하는 방식과 투명성을 보여주는 방식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우리는 신뢰를 구축하고 YBS 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려면 투명성 기준을 높이고 명확한 관리 기준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포필러스는 l2beat 공동창업자가 창업한 stablewatch와 관련 프레임워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작성자: 강희창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 : [이슈] 다크 풀: 모르는 게 약일 때도 있다
작성자: 시원
- 바이낸스 전 CEO 창펑 자오는 DEX의 투명성으로 인한 MEV 공격과 대규모 포지션 노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크 풀(Dark Pool) 스타일의 영구 선물(Perpetual Futures) DEX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이로 인해 다크 풀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 다크 풀은 전통 금융시장에서 오랜 기간 운영되어온 비공개 시장으로, 기관들이 대규모 포지션을 시장 영향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졌으나 중앙화된 운영으로 인해 많은 악용 사례를 낳은 바 있다.
- 웹3의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구축된 다크 풀은 웹3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 체계가 갖고 있던 치명적인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향후 웹3 프라이버시 시장의 큰 축을 담당할 이니셔티브로 평가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시원
- 바이낸스 전 CEO 창펑 자오는 DEX의 투명성으로 인한 MEV 공격과 대규모 포지션 노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크 풀(Dark Pool) 스타일의 영구 선물(Perpetual Futures) DEX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이로 인해 다크 풀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 다크 풀은 전통 금융시장에서 오랜 기간 운영되어온 비공개 시장으로, 기관들이 대규모 포지션을 시장 영향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졌으나 중앙화된 운영으로 인해 많은 악용 사례를 낳은 바 있다.
- 웹3의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구축된 다크 풀은 웹3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 체계가 갖고 있던 치명적인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향후 웹3 프라이버시 시장의 큰 축을 담당할 이니셔티브로 평가된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
: : 포필러스 🫱🏻🫲🏼 슈퍼팀 베트남
저희 포필러스가 영광스럽게도 슈퍼팀 베트남과 협력하여 솔라나 서밋 행사(Solana Summit)에서 솔라나 메가레포트 V2의 하드카피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이 레포트는 약 90페이지에 달하며 솔라나의 여정, 핵심 내러티브 및 기술 스택, 생태계 전반을 포괄적으로 아우릅니다.
2025년에 이루어진 기술적 개선 사항과 생태계 업데이트를 반영한 V3 버전은 올해 하반기에 공개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더불어, 저희 포필러스는 앞으로도 솔라나 커뮤니티와 슈퍼팀을 위해 항상 열려 있습니다.
협업에 대해 논의하고 싶으시다면 언제든지 포필러스, 혹은 @FP_Jay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 트위터 원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저희 포필러스가 영광스럽게도 슈퍼팀 베트남과 협력하여 솔라나 서밋 행사(Solana Summit)에서 솔라나 메가레포트 V2의 하드카피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이 레포트는 약 90페이지에 달하며 솔라나의 여정, 핵심 내러티브 및 기술 스택, 생태계 전반을 포괄적으로 아우릅니다.
2025년에 이루어진 기술적 개선 사항과 생태계 업데이트를 반영한 V3 버전은 올해 하반기에 공개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더불어, 저희 포필러스는 앞으로도 솔라나 커뮤니티와 슈퍼팀을 위해 항상 열려 있습니다.
협업에 대해 논의하고 싶으시다면 언제든지 포필러스, 혹은 @FP_Jay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3
: : [이슈] 스팀 말고 앱스트랙트에 배포하라
작성자: 재원
- 앱스트랙트는 약 200만 명의 크립토 네이티브 게이머한테 인디 타이틀을 즉시 노출시키며, 스팀·앱스토어 심사 병목을 제거한다.
- 포탈내 AGW(Abstract Global Wallet) 및 XP, 뱃지, 업보트(upvote), 스트리밍 기능들을 통해 초기 유저들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내장된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유동성 이탈을 방지한다.
- NFT 판매·로열티·네트워크 수익 공유 메커니즘·Builder-in-Residence 프로그램을 통해 인디 게임 개발자들의 수익을 극대화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재원
- 앱스트랙트는 약 200만 명의 크립토 네이티브 게이머한테 인디 타이틀을 즉시 노출시키며, 스팀·앱스토어 심사 병목을 제거한다.
- 포탈내 AGW(Abstract Global Wallet) 및 XP, 뱃지, 업보트(upvote), 스트리밍 기능들을 통해 초기 유저들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내장된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유동성 이탈을 방지한다.
- NFT 판매·로열티·네트워크 수익 공유 메커니즘·Builder-in-Residence 프로그램을 통해 인디 게임 개발자들의 수익을 극대화한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 : [이슈] 뱀파이어 어택의 시대는 끝났다: “인센티브 하이재킹”의 시대
작성자: 100y
- 뱀파이어 어택은 프로토콜의 초기 성장 전략으로 널리 사용되어왔으나, 스시스왑 혹은 블러(Blur), X2Y2, 룩스레어(LooksRare)와 같은 사례를 보면 초반의 과도한 인센티브, 보상 중심의 유저, 낮은 브랜딩 해자 등의 이유로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켰다.
- 뱀파이어 어택과 달리 인센티브 하이재킹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통해 기존 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유도하며 공생하는 관계를 형성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자연스러운 사용자 활동, 기존 브랜딩 레버리지 등의 장점을 가지며, 카이토가 해당 플레이북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들의 성공적인 인센티브 하이재킹을 위해선 본질이 뒤바뀌어 역효과를 내는 코브라 효과를 조심해야하며, 뱀파이어 어택에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명시해야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작성자: 100y
- 뱀파이어 어택은 프로토콜의 초기 성장 전략으로 널리 사용되어왔으나, 스시스왑 혹은 블러(Blur), X2Y2, 룩스레어(LooksRare)와 같은 사례를 보면 초반의 과도한 인센티브, 보상 중심의 유저, 낮은 브랜딩 해자 등의 이유로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켰다.
- 뱀파이어 어택과 달리 인센티브 하이재킹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통해 기존 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유도하며 공생하는 관계를 형성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자연스러운 사용자 활동, 기존 브랜딩 레버리지 등의 장점을 가지며, 카이토가 해당 플레이북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들의 성공적인 인센티브 하이재킹을 위해선 본질이 뒤바뀌어 역효과를 내는 코브라 효과를 조심해야하며, 뱀파이어 어택에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명시해야한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