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 [이슈] 성공적인 블록체인 구축을 위한 새로운 플레이북
작성자: 재원

- 이제 블록체인의 성패는 고성능·저수수료보다 킬러 애플리케이션 유무에 달려 있다. 킬러 앱 없는 체인은 타이틀 없는 게임 콘솔에 불과하다.

- 신생 체인의 전략은 두 가지다: ① 기존 대비 10배 기술 혁신을 일으키거나 (훨씬 드문 사례) ② 히트 앱을 먼저 출시한 뒤 이를 체인으로 확장하는 앱 우선 전략이 바로 그것이다. 오늘날 시장 환경은 후자에 훨씬 유리하다.

- 하이퍼리퀴드와 앱스트랙트는 앱 출시 → 사용자 락인 → 맞춤형 체인 확장 → 유동성·빌더 유입 → 해자 구축이라는 공식을 입증한다.

- 차세대 블록체인은 처음부터 체인으로 등장하지 않고, 중독성 게임·핵심 금융 툴·소셜 네트워크 등으로 출발해 생태계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 [이슈] X와 폴리마켓 - 인포 파이낸스의 새로운 도전
작성자: 인근

- X의 실시간 정보 유통 구조와 폴리마켓의 분산형 예측 시장이 결합하면서, 정보가 곧 시장에 반영되는 새로운 생태계가 형성된다. 특히 그록(Grok) AI를 통해 트윗 흐름을 분석하고 맥락을 요약해 예측 시장 내에서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판단 자료를 제공하며, 정보 소비가 예측 참여로 전환되는 정보-금융 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

- X의 방대한 유저층이 폴리마켓에 유입되면 예측 시장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된다. 그록이 분석한 실시간 데이터는 더 정확한 판단을 돕고, 트렌드를 해석해 수익을 내는 “인포 트레이더”와 같은 새로운 직업군의 등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정보 기반 금융 참여를 대중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 폴리마켓은 오라클 조작과 대규모 베팅에 의한 시장 왜곡 문제를 안고 있고, X에서는 루머나 밈이 빠르게 확산돼 정보 오염을 부를 수 있다. AI가 이를 기반으로 분석하면 허위 정보가 시장을 움직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스크 속에서도 대형 SNS와 인포 파이낸스의 만남은 크립토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 이제 한국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을까?

대한민국 국회에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자산 기본법이 첫 발의 되었다. 이는 암호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기 위한 최초의 포괄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굉장히 크다.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관련된 내용은 법안 제102조부터 제108조에서 짧게 언급되어있다.

하지만 법안에는 발행인은 금융위의 인가를 받아야한다는 정보 외에 어떤 업종이 발행에 참여할 수 있는지, 스테이블코인 담보금은 어떻게 운영되어야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없다. 따라서 우리가 기대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선 미국의 GENIUS Act나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법안과 같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특화된 법안이 나와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성자: 100y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이슈] 블루핀 프로로 알아보는 플래그십 디앱의 이상향
작성자: 스티브

- 블루핀은 수이 생태계를 대표하는 오더북 기반 DEX로, ‘토큰 거래’라는 검증된 PMF 영역을 고도화하기 위해 고빈도 거래(HFT)까지 온체인에서 가능하게 하는 Bluefin Pro를 비롯한 세 가지 신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 특히 이중에서도 Bluefin Pro는 TEE 기반 연산(Nautilus)실시간 웹소켓 체결 구조온체인 자산 수탁 및 검증 가능한 체결 증명유연한 마진 시스템 등 기술적으로 중앙화 거래소 수준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 블루핀은 초기 이더리움 L2에서의 역경를 딛고, Sui의 구조적 특성과 기술을 깊이 이해한 채 제품을 최적화해온 팀으로, Sui 생태계의 플래그십 디앱이자 핵심 인프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이슈] I.R.I.S의 등장을 바라보며: AI 보안은 더이상 허상이 아니다
작성자: 시원

- 네더마인드(Nethermind)의 AuditAgent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AI 보안 에이전트인 I.R.I.S가 버츄얼 제네시스(Virtuals Genesis)를 통해 이더리움에 출시될 예정이며, 커뮤니티로부터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

- 웹3에서의 자동화된 취약점 탐지는 복잡한 위협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생성하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왔으며, 이는 기존 기법과 AI 기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 I.R.I.S의 기반이 되는 AuditAgent는 정적/동적 분석, 문서 기반 코드 리뷰, 개발 단계 지원을 통합하여, 웹3개발 환경에서의 보완적 도구로서의 미래를 제시한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 : 비트코인 생태계에 봄은 오는가
작성자: 시원

- 비트코인 생태계는 비트코인의 높은 보안성과 경제적 가치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느린 처리 속도와 낮은 사용성 문제등을 겪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생태계가 급속히 확장 중에 있다.

- 스택스의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BitVM의 개발, 바빌론 중심의 BTC 리퀴드 스테이킹 생태계 등장 등으로 비트코인 생태계는 급성장했다. 하지만 데이터 가용성 부재, 중앙화된 출금 방식, 모호한 TVL 산정 방식 등의 구조적 문제들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다.

- 가까운 미래에 영지식 가상머신(zkVM)의 활용을 통해 기존 한계들이 해결될 전망이며, 수이와 카르다노 등 다양한 체인들의 BTCFi 통합으로 생태계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 비트코인 컨퍼런스 - 비트코인 생태계의 최대 이벤트
▫️ 비트코인 생태계의 등장 - 스크립트의 한계를 넘어서
▫️ 비트코인 생태계의 급속한 확장
▫️ 앞으로 남은 기술적 발전과 BTCFi의 더 큰 확장
▫️ 비트코인 생태계에 봄은 오는가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수 조 달러를 온체인으로? 수 경 달러를 온체인으로.

DTCC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탐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DTCC는 미국 증권 시장의 거래의 청산, 결제, 예탁을 담당하는 거대 금융 기관으로, 증권 거래 시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수 많은 비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주식 거래에 대한 주식 양도 및 현금 결제는 T+1에 완료된다.

만약 DTCC가 거래의 정산에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할 경우 실시간 결제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DTCC가 연 $3~4경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증권 시장 및 블록체인 산업에 엄청난 파급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자: 100y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프래그메트릭의 진화: 유동성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에서 통합 자산 관리 플랫폼을 향해
작성자: 100y, 시원

- 솔라나의 리퀴드 스테이킹 생태계는 높은 스테이킹 보상을 바탕으로 급성장하였으며, 다양한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의 등장은 이더리움에보다 탈중앙적이고 다양한 모습의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자산운용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이러한 다양한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Liquid Staking Token, LST)의 등장은 사용자 경험과 경제적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 프래그메트릭(Fragmetric)은 LST 및 리퀴드 리스테이킹 토큰(Liquid Restaking Token, LRT)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서 출발해서 다양한 자산이 자동으로 운영되고 이를 유동화 할 수 있는 표준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솔라나의 토큰-2022 프로토콜을 활용한 FRAG-22 표준을 개발, 여러 형태의 보상 메커니즘을 갖는 자산을 하나의 토큰으로 통합 관리하고 복잡한 보상 메커니즘을 단일 인터페이스로 간소화하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솔라나의 높은 처리량과 낮은 비용을 활용해 모든 보상 계산을 온체인에서 수행함으로써, 이더리움 기반 리스테이킹 프로젝트들이 오프체인에 의존해야 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투명하고 검증 가능한 보상 시스템을 구현했다.

- 프래그메트릭의 구조는 더 많은 수익률이 더 많은 자산 유입을 이끌고, 이것이 다시 네트워크 보안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어내며, 솔라나 생태계의 자본 효율성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하는 근본적인 인프라로 자리잡을 것이다.

▫️ 솔라나 스테이킹 생태계의 부상
▫️ 솔라나 리스테이킹 생태계의 핵심: 지토
▫️ 프래그메트릭: LRT 솔루션부터 FRAG-22까지의 여정
▫️ FRAG-22: 일드 베어링 토큰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 주목할만한 프래그메트릭의 활용 사례
▫️ 프래그메트릭이 그리는 플라이휠: 더 많은 보상, 더 안전한 생태계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6👍5
: : [이슈] 어플루언트: 텔레그램을 기반으로한 차세대 핀테크의 혁신
작성자: 100y

- 핀테크는 세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 1세대는 온라인 브로커리지와 결제의 디지털화, 2세대는 로보어드바이저 기반 자산관리 자동화, 3세대는 슈퍼앱 기반의 통합 금융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은 대부분 프론트엔드에서 이루어졌으며, 금융 시스템의 백엔드는 여전히 낙후되어있다.

- 블록체인의 특성은 낙후된 금융 시스템의 백엔드를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텔레그램의 활발한 웹3 이니셔티브는, 텔레그램이 블록체인을 중심으로한 차세대 핀테크 슈퍼앱으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을 암시한다.

- 어플루언트는 TON 네트워크 기반의 자산 관리 플랫폼으로, 텔레그램 사용자라면 누구나 네이티브 웹3 월렛을 통해 자산을 예치하고, 렌딩, RWA, 디파이 등 다양한 수익원으로부터 창출되는 이자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루언트는 신뢰가 필요없고(trustless) 투명한 전략 볼트(vault) 시스템을 통해 복잡한 수익 전략을 추상화시킨다.

- 웹2.5 핀테크의 본질은 기존 웹2에서 입증된 사용자 경험 위에, 웹3의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전략 및 글로벌 접근성을 결합하는 데 있다. 어플루언트는 바로 이 교차점을 공략하려는 서비스이며, 텔레그램이라는 글로벌 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수익 인프라를 연결함으로써, 이제껏 어떤 서비스도 제공하지 못했던 형태의 자산 관리 솔루션을 구축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1
: : [이슈] 돈이 목적이 아니었던 이란 CEX 해킹
작성자: 인근, 코멘트: 시원

- 2025년 6월 18일, 이란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노비텍스(Nobitex)가 해킹당했다. 트론, 비트코인, 도지코인 등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최소 4,865만 달러에서 최대 8,200만 달러 상당의 자산이 탈취됐다. 해킹 직후 '곤제쉬케 다란데'라는 해커 조직이 자신들의 소행임을 밝히며, 이 사건은 단순 범죄가 아닌 정치적 목적의 사이버 테러로 주목받고 있다.

- 해커는 탈취 자산을 "FuckiRGCTerroristsNoBiTEX" 같은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바니티 주소로 전송했다. 이 주소들은 기술적으로 개인키를 알아낼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졌으며, 사실상 자산을 누구도 되찾을 수 없는 상태로 “소각”한 것이다. 이는 돈이 목적이 아닌, 강력한 정치적 퍼포먼스로 읽힌다.

- 이 사건은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이 사이버 전쟁이라는 새로운 전장으로 옮겨갔음을 상징한다. 해킹, 데이터 파괴, 금융 시스템 마비는 이제 군사 무기 못지않은 전략 수단이다. 해커가 8,200만 달러를 스스로 폐기하면서까지 전달한 정치적 메시지는 충격적이며, 더 이상의 피해와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길 바란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
: : 스파크: 온체인 자본의 오케스트레이터
작성자: 에렌

- 물리적 증서에 의존하던 과거의 은행은 비효율적인 중개 구조로 대규모 파산 사태를 겪었으며, 현대 금융 시스템 역시 '간접 보유 모델'로 여전히 복잡성을 안고 있다. 이제 토큰화 자산과 스테이블코인 등의 온체인 금융이 새로운 금융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은행 또한 이에 걸맞은 전환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 스파크의 비전은 전통 은행의 비효율과 기존 디파이 머니마켓의 제한된 확장성을 극복하고, 가장 고도화된 온체인 수익 엔진으로 자리 잡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파크는 ‘스파크 유동성 레이어(Spark Liquidity Layer, SLL)를 통해 자동화된 자산 운용을 실행하며, 스파크렌드를 통해 저비용 · 고유동성 대출 마켓을 제공한다.

- SLL은 유동성 상태, 디파이 프로토콜 수익률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리밸런싱하는 자본 운용 엔진이다. 현재 디파이(Morpho, Aave, Ethena)와 RWA(BUIDL, Superstate)에 전략적으로 자본을 배치하면서, 약 41억 달러 이상의 자산 운용과 함께 누적 수익 약 1억 9천만 달러를 창출하고 있다.

- 스파크렌드는 스카이를 기반으로 고정 이율의 대출 마켓을 운영하며, 특히 sUSDS 담보화를 통해 높은 자본 효율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 아래 스파크렌드는 약 34억 달러의 TVL을 기록하고 있다.

- 스파크의 전략은 대단히 새롭다기보다, 저비용 자금 조달과 정교한 자금 운용을 통해서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구조적 우위를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sUSDS의 안정적인 이자 지급에서 드러나듯, 높인 리워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역량은 대규모 자금 유입에 유리한 환경을 구축한다.

▫️ 저축하고 대출할 수 있지만, 은행은 아닌
▫️ 은행은 이미 지난 세기의 유산이다 (The Bank is a Relic of the Last Century)
▫️ 스파크 딥다이브: 디파이를 위한 자본 운용 엔진
▫️ SLL이 디파이 생태계를 활용하는 방법
▫️ 스파크의 해자는 어디에서 나올까?
▫️ 마치며: 스파크의 북극성(North Star)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Loud! 이후 20일: Loud! 프로젝트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Loud!의 실험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 $LOUD 토큰은 출시 초기 3천만 달러까지 치솟았지만 현재는 1백만 달러 수준으로 폭락했으며, 일일 거래량도 8~1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해 의미 있는 거래 활동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초기 토큰 출시 과정에서의 버그와 스나이퍼들의 조기 매수로 인한 강한 매도 압력이 빠른 실패의 주 원인이었다.

하지만 Loud! 실험은 크립토 생태계에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카이토에는 큐레이션 피드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마인드셰어 알고리즘 개선에 기여했으며, 크립토 트위터 커뮤니티에는 InfoFi의 양면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했다. 각 리서쳐들은 관심도가 가치로 전환되는 메커니즘, 양극화 우려, 그리고 InfoFi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에 대해 활발히 논의했다. 또한 Loud!는 결국 지속 가능한 관심 경제 구축을 위해서는 품질 중심의 컨텐츠 평가 시스템과 지속 가능한 인센티브 구조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작성자: 시원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
: : 데이터 전쟁: 수이 기반 월루스 vs. 풀스택 아이리스
작성자: 재원

- 아이리스는 저장·실행·합의를 하나의 레이어에 통합한 수직 통합형 L1인 반면, 월루스는 수이(Sui) 블록체인을 활용한 모듈러 구조의 스토리지 솔루션이다.

- 아이리스는 단일 토큰(IRYS)으로 요금과 보상을 모두 처리하는 반면, 월루스는 저장(WAL)과 가스(SUI)를 분리하는 이중 토큰 경제를 채택하였다.

- 아이리스는 복제본 10개와 매트릭스 패킹 증명으로 단순·강력한 데이터 내구성을 자랑하고, 월루스는 RedStuff 삭제 코딩(~5x 오버헤드)과 해시-검증 브리지를 통해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한다.

- 아이리스는 기금(endowment) 기반 영구 저장을 제공해 NFT·공공 아카이브 등 불변성 및 영구성이 핵심인 경우 유리하며 초기 사용료가 높은 편이다. 월루스는 자동 갱신이 가능한 임대 모델로 자본 효율·출시 속도·보존 기간 제어를 중시하는 수이 생태계 빌더에게 적합하다.

▫️ 프로토콜 아키텍쳐
▫️ 토크노믹스와 인센티브
▫️ 데이터 내구성
▫️ 프로그래머블 데이터와 온체인 연산
▫️ 저장 기간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 : [이슈] 아시아는 스테이블코인에 더욱 대담하게 접근해야 한다 (ASA 오피니언 #1)
작성자: 강희창

- 스테이블코인은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통해 전통적인 화폐의 기능적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자산이다.

- 아시아의 주요 IT 플랫폼, 즉 ‘슈퍼앱’들은 일상생활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거래를 효율적으로 만들고, 이 플랫폼들의 금융 인프라 역할을 할 수 있어 슈퍼앱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 스테이블코인이 핵심적인 금융 인프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IT 플랫폼, 토큰 발행 기술기업, 은행, 비은행 금융기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플랫폼 간 통합이 이루어지고, 담보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플랫폼 간 경계를 느끼지 않는 편리한 경험을 누릴 수 있다.

- 아시아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자본시장 기반의 모델을 지원하는 명확한 법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생태계의 파편화를 방지할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고, 플랫폼과 금융기관 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사용자 혜택과 시장 확대를 극대화해야 한다.

---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ia Stablecoin Alliance)는 알렉스 림(레이어제로)과 강희창, 복진솔(포필러스)을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에서의 스테이블코인 채택을 가속화하기 위한 리서치 및 커뮤니티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습니다. (X, Substack)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포필러스,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 컨트리뷰터로 참여

포필러스가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A)에 컨텐츠 및 디스트리뷰션 파트너로 참여합니다.

포필러스는 리서치, 뉴스레터 등 다양한 컨텐츠로 기여할 것이며, 아시아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돕겠습니다.

Accelerate Asia Stablecoin

ASA 공식 트윗
기사 (한경 블루밍비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8
: : [이슈] 얄라 메인넷 출시: 디파이 및 RWA를 통해 BTC 유동성을 활성화하다
작성자: 100y

- 2025년 5월, 드디어 얄라가 이더리움 및 솔라나 메인넷에 출시되었다. 얄라는 비트코인 네이티브 유동성 프로토콜로, BTC 홀더들이 BTC를 네이티브 스테이킹하여 $YU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다양한 수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얄라 내의 BTC 홀더들이 접근할 수 있는 수익원에는 1) 스태빌리티 풀(stabiliy pool), 2) LP 파밍, 3) 디파이 마켓플레이스, 4) 얄라 리얼일드(RealYield)가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수익원을 통해 각각 1) BTC 담보 및 패널티 보상, 2) DEX 수수료, 3) 디파이 수익, 4) RWA 수익에 접근할 수 있다.

- 얄라는 펜들(Pendle), 레이디움(Raydium), 플룸(Plume), 센트리퓨지(Centrifuge), 카미노(Kamino) 등 다양한 디파이 및 RWA 프로토콜을 온보딩시켰다. 이러한 생태계는 얄라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전략과 그 궤를 같이한다. 얄라는 앞으로도 다양한 디파이 및 RWA 프로젝트들을 온보딩하여 BTC 홀더들이 다양한 수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이슈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시총 100조 핀테크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미국의 핀테크 기업인 Fiserv가 Paxos와 Circle의 인프라를 활용해 FIUSD라는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페이팔의 PYUSD와 연동하여 페이팔의 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Fiserv의 기존 고객까지 연결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또한 고객들의 은행 예금을 토큰화해 온체인에서 직관적인 금융 경험을 제공하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Fiserv의 이러한 전략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다른 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다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곧 출시될 자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내부 시스템 또한 효율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작성자: 강희창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 2008년 앱스토어에 베팅하겠는가?
작성자: 재원

- 앱스트랙트는 초기 앱스토어의 플라이휠을 그리고 있다. 앱스트랙트 포털은 150만 MAU와 70개가 넘는 라이브 앱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AGW 지갑의 주간 재방문율은 35%에 달한다.

- 데스닷펀(Death[.]fun)은 첫 달 100만 플레이, 몬스터즈닷펀(Monsters[.]fun)은 15만 명 대기자, 온체인 히어로즈(OnChain Heroes)는 2차 시장에서 며칠만에 거래량 1.1k ETH를 기록하며 ‘가볍고 재미있는 인디 게임 → 바이럴 확장’ 공식을 재현하고 있다.

- XP 시스템과 통합 포털, AGW를 통해 신규 앱들에게 첫날부터 트래픽을 보장한다. 포털의 평균 방문 시간 (9분), 페이지 세션 수(7)가 말해 주듯, 사용자 개발자 콘텐츠/디앱간 선순환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 지금 쌓는 XP는 향후 에어드랍 및 기타 리워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2008년 앱스토어의 업사이드에 대한 지분을 미리 사두는 것과 유사한 기회다.

▫️ 인디 게임이 이끈 초기 앱스토어의 폭발적 성장
▫️ 앱스트랙트 포털은 앱스토어의 성장 곡선을 반영 중
▫️ 앱스트랙트가 신규 디앱을 노출하는 방법
▫️ XP는 사실상 앱스토어의 업사이드를 가져가는 것
▫️ 2008년의 앱스토어에 베팅했겠는가?

📱 아티클 전문 (포스트)
🌎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카이아, 카카오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할까?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나올까?”가 아니라 “어디서 먼저 찍어낼까?”의 문제다. 디지털자산 혁신법은 자본금 10억 원과 은행식 감사만 갖추면 발행을 허용했고, 한국은행도 FX 관리만 전제로 사실상 고개를 끄덕였다. 카카오페이가 ‘KKRW·KRWP’ 등 18개의 스테이블코인 상표를 선점하며 의지를 확인한 이상, 발행 자체는 시간문제다.

관건은 발행 체인이 어디냐다. 가장 가능성 높은 그림은 유동성이 풍부한 퍼블릭 블록체인과 카이아에 모두 발행하는 멀티체인 전략을 취하는 것이다. 카이아는 가장 잘 나가는 국산 L1 블록체인이지만, 유동성, 토크노믹스, 거버넌스, 그라운드X의 대규모 물량 할인 매각 등 구조적 약점도 고스란히 안고 있다. 카카오페이가 카이아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단독 발행하는 것은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작성자: 재원

📱 코멘트 전문 (리서처 포스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 : 포필러스가 유니스왑 랩스와 함께 AMA 세션을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니스왑 랩스 한국 커뮤니티 리드를 맡고 계신 젠님과 포필러스의 블록체인 리서처 유겸(Eren)님이 함께 유니스왑 프로토콜의 탄생부터 최근의 v4까지, 각 버전별 특징과 그 동안의 주요 변화 및 발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유니스왑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그리고 유니스왑의 최근 동향이 어떤지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 6월 26일 목요일, 저녁 7시(KST)

🌎 관련 리서치: 간략한 유니스왑 프로토콜의 역사
📱 X 스페이스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X (EN / K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
2025/10/21 22:32:08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