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1/ 미국 유학생들이 다 아는 음료수 AriZona 아이스티는 물가의 상징임. 1992년부터 지금까지 30년 넘게 한 캔 99센트였고, 2025년 지금도 여전히 그대로임. 코스트코의 ‘핫도그 + 음료수’ 세트도 마찬가지임. 1985년부터 1.5달러였고, 지금도 그대로임. 물가가 다 올라가도 이 둘은 오르지 않음. 그래서 단순한 ‘가성비’를 넘어서 소비자들에게 신뢰와 안정의 상징이 됨.

2/ 2025년에는 다들 가격이 오를 것이라 예상했음. AriZona 창업자 돈 불타지오가 8월에 알루미늄 수입 관세가 두 배로 오르면서 유지가 점점 버겁다고 했음.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99센트를 지키겠다고 함. (ㄷㄷ) 코스트코도 1월에 CEO랑 CFO가 직접 나와서 “핫도그 세트 가격은 안전하다(safe)”고 못박음. 결국 둘 다 압박을 인정하면서도 소비자와의 약속은 깨지 않겠다는 거임.

3/ 경제 데이터로 보면 이게 얼마나 상징적인지 알 수 있음.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2년에 9.1%까지 치솟았고, 식료품 가격은 20% 이상 올랐음. 여기에 2025년 8월 알루미늄 관세가 25%에서 50%로 오르면서 부담이 훨씬 커졌음. 이를 다 계산하면 지금 1.5달러 핫도그 세트는 실제 가치로는 4.5달러어치임. AriZona도 99센트를 물가 반영하면 2.3달러 수준임. 이를 반영하지 않은 것.

4/ 이런 이유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아예 밈(meme)으로 회자되고 있음. “인플레이션 시대의 영웅들”이라는 호칭도 얻음. Costco 핫도그는 1년에 2억 개 팔리는 국민 메뉴라 가격 동결이 충성도의 핵심임. AriZona는 광고비 안 쓰고도 커뮤니티랑 입소문으로 성장했는데, 그 핵심이 바로 99센트 태그임. 그래서 사람들은 이걸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불확실한 시대에 믿을 수 있는 상징으로 봄.

+ 디자인은 점점 말도 안되게 좋아지는 중임.

https://www.instagram.com/bizucafe
💯163
저번 주에 주가 날라간 오라클 커버한 영상 번역했습니다. 유익합니다. 공부에 도움 되시면 기쁠 것 같습니다. 저는 오늘도 꾸준히 공부하고 올립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https://youtu.be/hwyRJ5955Pk?si=ErZBj1vbdbH8tLDr
👍12
사업이 잘 안되면, 제품이 안 좋다는 증거임. 제품이 좋아야 함. 적당히 좋아서는 안 되고, 압도적으로 좋아야 함. 제품이 압도적으로 좋으면 사람들이 좋은 경험을 하고, 그냥 공유해달라고 하지 않아도 알아서 공유해줌. 그냥 좋은 제품 경험 자체를 받아들임. 사람들이 알아서 자기 스스로 신나서 공유할 정도가 아니라면, 제품이 압도적으로 좋은 것이 아님. B2B 제품이라면 고객 문제를 압도적으로 해결해줘서 그냥 이것 없이 대체제가 없을 정도로 해야 하고 (아니면 비용을 절대적으로 아껴주고), B2C 제품이라면 압도적으로 제품이 좋아서 그냥 사람들에게 별도로 설명할 필요가 없어야 함. 그게 개짱임. 제품이 적당히 좋은 상태에서 사람들에게 마케팅하려고 백날 노력하는 것보다, 압도적으로 좋은 제품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조금 알리는 것이 훨씬 더 효율 좋은 사업인 것 같음.

오늘 두 대표님과의 대화 일부.

IG : https://instagram.com/bizucafe
23👍1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는 각각 50%씩 출자해 합작법인 그랜드오푸스홀딩(가칭)을 설립했음.

경영 구조를 보면 알리바바 측의 색채가 뚜렷함. 합작법인 대표에는 라자다와 다라즈를 이끌었던 제임스 동이 내정됐고, 지마켓 대표 역시 라자다 인도네시아 CEO 출신인 제임스 창이 맡음. 이사회 9명 중 5명이 알리바바 몫으로 배정돼, 지분은 5:5지만 실질적 경영권은 알리바바가 장악하게 됨.

이번 합작은 신세계가 자발적으로 선택했다기보다는, 쿠팡과 네이버에 밀려 궁지에 몰린 끝에 내린 비굴한 결정이라는 해석이 우세함.

신세계는 2021년 eBay Korea(지마켓, 옥션)를 3조4400억원에 인수하며 쿠팡을 따라잡겠다고 선언했지만, 이후 지마켓은 시장 점유율 3~4%로 추락했고 수천억 원대 누적 적자를 기록했음. 반대로 쿠팡은 2023년 매출 30조원을 돌파하고 MAU 3422만 명을 확보하며 한국 이커머스를 사실상 장악했음. 이 거대한 격차 앞에서 신세계가 독자 생존을 이어가는 것은 불가능함.

​결국 신세계는 지마켓을 알리바바에 넘기며 ‘공동 지배’라는 외피를 씌웠지만, 실제로는 경영권과 사업 주도권을 모두 중국 알리바바에 내주었음. 이렇게 되면서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미국 자본 쿠팡과 중국 자본 알리바바가 주도하는 양강 구도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됐음. 토종 기업인 신세계는 양쪽에 끼여 체면을 구긴 채 겨우 숨통을 잇는 그림.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17960350
💯105
99년생 투자회사 대표 김하경님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고려대 생인데요. 아직도 2학년이라고 합니다. (졸업을 못해서)

혹시 금수저인지, 어떻게 99년생인데 투자회사를 창업하게 되었는지, 어떤 회사에 투자하려고 하는지, 특이한 배경들에 대해 하나하나 물었습니다. 재미있게 시청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hDQMkZfGUI&list=PLyf6nZ3V7Am5u7FwhLa0nDrzE0czzjsPF
💯11🔥4
야놀자 이야기입니다. 흥미로운 일화들이 많은데요. 놀라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한 야놀자의 창업주 이수진 대표는 소위 명문대 출신이 아니었습니다. 기술고등학교와 전문대를 졸업했고, 모텔 프론트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카페에서 야놀자의 초기 모델이 탄생했죠. 그 외에도 흥미로운 팩트들이 많은데요. 유니콘 기업 야놀자와 관련된 다양한 흥미로운 스토리들을 정리해봤습니다.

IG : https://instagram.com/bizucafe
12
2025/10/25 19:47:20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