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좋은 아침입니다. 아침에 출근하며 보기 좋은 영상 가져왔습니다. 매일 아침마다 어떤 컨텐츠 보느냐 따라 하루 결정되는듯 싶은데요. 요즘은 자기전에 도움 될법한 것 하나씩 정해두고 아침에 보고 듣고 출근합니다. 어렵더라도, 쌓이면 도움이 되더라고요.

'전문가'아니라, '진짜' 인공지능 고수 코슬라 영상입니다. OpenAI초기 투자자입니다. 자칭전문가 아니라, 자기 돈 태운 사람입니다. 아무것도 없을때요. 내용은 좀 어렵지만, 저는 이런 사람들 이야기 정말 심사숙고해서 어떤 의미일까 공부해보면 거기에서 미래에대한 무언가가 떠오르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저 뿐 아니라,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는 콘텐츠일거라 확신하며 공유합니다. 오늘도멋진하루 되시길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G8P2mB-Zbk
💯11👍31
스타트업 이야기는 언제나 매혹적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짧은 시간 안에 부와 명예, 권력을 손에 넣는 이야기는 고대 신화 속 영웅 서사와 닮아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

https://m.blog.naver.com/bizucafe/224024106229
👍8
1. DJI는 전 세계 민간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사실상 독점적 기업임. 농업, 건설, 촬영, 물류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DJI 드론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 드론 분야의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

2. 그런데 DJI는 미국 국방부가 관리하는 ‘중국 군수기업 명단’에 기입되었음. 이 명단은 미국 정부가 “중국 군사·국방 산업과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한 기업을 올리는 리스트임. 국방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DJI 드론이 군사용으로 개조된 사례를 근거로, DJI 기술이 군사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 DJI가 “자사는 군사와 무관한 민간 기업”이라고 주장했으나, 최근 워싱턴 D.C. 연방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국방부의 손을 들어줌. 판결문에서는 “군사용을 금지하는 내부 정책은 의미 없으며, 실제 전장에서 쓰였다는 사실이 중요하다”고 명시했음.

3. 이렇게 되면 DJI의 손실은 불가피함. 미국 정부 기관, 주요 기업, 연구기관 등이 DJI 제품을 쓰기 어려워지고, “군수기업”이라는 낙인은 글로벌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유럽과 아시아 국가에서도 규제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DJI의 시장 점유율 하락은 경쟁사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음. 특히 미국 정부는 자국 드론 기업인 Skydio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Skydio는 나토(NATO) 드론 프로젝트에 선정되고 미국 국무부와도 7,400만 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하는 등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음. 유럽의 Parrot, 이스라엘 스타트업들도 ‘안보 친화적 대체재’라는 이미지를 무기로 글로벌 시장을 노리고 있음.

4. 동시에 미국 내에서는 2025년 12월부터 판매 금지 조치가 시행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음. 이는 DJI의 북미 시장 철수를 의미하며, 동맹국들(일본, 한국, 호주, 유럽)도 미국과 보조를 맞출 가능성이 있음. 결국 DJI는 단순히 ‘민간 드론 1위 기업’에서 ‘안보 리스크 기업’으로 낙인찍히는 상황에 직면함.

5. DJI는 비상장 기업으로 재무 투명성이 낮지만,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매출은 약 240억 위안(약 38억 달러)에 달함. 기업 가치는 과거 15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된 바 있음. 그러나 미국 제재와 판매 금지 가능성이 현실화될 경우, 매출과 기업가치 모두 큰 폭의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임.

https://techcrunch.com/2025/09/28/dji-loses-lawsuit-over-classification-as-chinese-military-company/
💯54
미국 대표 게임사 EA가 매각된다. 거래 규모는 약 550억 달러에 달하며, 이번 인수는 레버리지 바이아웃(LBO) 방식으로 진행된다. 게임 업계 역사상 가장 큰 거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EA 대표 게임은 일단 피파다. 그 외에도 에이펙스, The Sims, Battlefield, Need for Speed, Madden NFL 등이 있다.

매수자 후보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사모펀드 실버 레이크(Silver Lake), 어피니티 파트너스(Affinity Partners)다. 이들은 EA의 대주주 지분을 활용하고, 새로운 자본과 대규모 부채 조달을 결합해 거래를 추진한다. 인수 가격은 주당 약 210달러 현금으로 제시됐다. 이는 인수 협상 이전 주가 대비 약 25% 프리미엄이 붙은 수준이다.

사우디가 이런 투자를 하는 이유는 ‘비전 2030(Vision 2030)’ 전략 때문이다.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게임·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려는 것이다. 이미 e스포츠와 글로벌 게임사 지분 확보에 적극적이며, EA 인수는 문화·콘텐츠 영향력 확대 전략의 연장선이다.

IG : https://instagram.com/bizucafe
7
젊은 창업자들의 목소리를 담았습니다. 더 많은 이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고, 그 경험이 퍼져나갈 때 창업은 특별한 ‘도전’이 아니라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렇게 변화가 일어날 때, 새로운 회사가 생겨나고 새로운 산업이 열리며, 미래 경제의 희망이 만들어질 것이라 믿고요.

포브스 선정 30대 대표, 159억 투자 유치, 업계 1위 소프트웨어라는 화려한 수식어는 분명 ‘와!’ 하는 놀라움을 줍니다. 하지만 그 뒤에는 평범하지만 주어진 일을 묵묵히 해내는 한 대표님의 모습이 있었습니다. 어떻게 보일지를 계산하기보다, 그 순간의 생각과 진심을 그대로 나눈 대화였습니다.

1시간이 넘는 인터뷰였지만, 누군가에게는 또 다른 변곡점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두들린 이태규 대표님의 인터뷰, 즐겁게 시청해 주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기업가들의 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rw8zFLundR8?si=swBGfl4JNRfICgWj
👍81
정주영 회장님도 잠 줄여서 일 한다는 사람은 병자이거나 사기꾼이거나 둘 중 하나라고 하셨죠…
👍394
즐거운 연휴입니다. 첫 날인데요. 평소에 못 보았던 책들과 컨텐츠들 소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기에 좋은 인풋 넣어두어야 나중에 또 연료가 되더라고요. 다들 행복한 연휴 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최근에 팀에서 올렸던 컨텐츠 몇개 공유합니다. 추천드립니다.

1. 99년생 투자회사 대표 인터뷰
- https://www.youtube.com/watch?v=DhDQMkZfGUI

2. 159억 투자 유치 20대 대표 (두들린 이태규 대표)
- https://www.youtube.com/watch?v=rw8zFLundR8

3. 5년째 같은말 중임 (팔란티어)
- https://www.youtube.com/watch?v=9eEVb0zoFYk

4. 안경이 미래다 (마크 저커버그)
- https://www.youtube.com/watch?v=3lMHvM5NVYc
💯9🥰2
2025/10/24 20:05:07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