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알렉산더 왕이 재미있는 발언을 했다. 넥스트 빌게이츠는 아마 지금 13살 바이브코딩 하고 있는 꼬마일 것이라고. 컴퓨터 초창기에 빌게이츠 등장하고, 모바일 때 저커버그 등장한 것 처럼 인공지능 시대 때 새로운 유형의 억만장자 나올 것이라고 한 말이다. 이제는 더 많은 코드들이 인공지능으로 작성될 것이고 (거의 대부분 대체) 이것 자체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최고 인재들은 많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어린 친구들이라고. 이들이 1만 시간 정도 경력을 쌓고 나면 여기서 엄청난 혁신적인 무언가 나올 거라고 했다. 게임이나 스포츠 하지 말고, 바이브 코딩 하라고... 10년 뒤엔 또 누가 나올까?
https://fortune.com/2025/09/19/alexandr-wang-ai-vibe-coding-next-bill-gates/
https://fortune.com/2025/09/19/alexandr-wang-ai-vibe-coding-next-bill-gates/
Fortune
Meta's 28-year-old billionaire prodigy says the next Bill Gates will be a 13-year-old who is 'vibe coding' right now | Fortune
Teenagers, Alexandr Wang argues, have a built-in edge.
💯11❤3👍1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자격을 갖춰야 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을 남에게도 주라. 그렇게 살아야 돈만이 아니라 존경과 신뢰를 얻는다. 자격 없이 부를 쌓으면 죽음조차 조롱받는다.” - 찰리멍거
❤39
이런 영상을 보면 세상을 몇몇 테크 리더들이 지배한다는 음모론이 왜 나오는지 알 것 같기도 합니다. 같은 24시간을 보내는데 그들이 접하는 정보와 지식의 양과 제가 접하는 그것들이 너무 차이나는 게 느껴지네요. 그들의 세상과 제 세상이 너무 다르다는 것도, 그리고 그들이 바라보는 10년이 제가 예상하는 10년과 감히 다를 것이라는 것도 너무나도 와닿아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감정과 동시에, 잘만 생각하면 기회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게 되고요. 구글 전 대표 에릭 슈미트 영상입니다. 20분이 빠짐없이 볼 만합니다.
https://youtu.be/C7SlaUqCLZU
https://youtu.be/C7SlaUqCLZU
YouTube
미국이 이겨야 합니다 (구글 전 대표)
이런 영상을 보면 세상을 몇몇 테크 리더들이 지배한다는 음모론이 왜 나오는지 알 것 같기도 합니다. 같은 24시간을 보내는데 그들이 접하는 정보와 지식의 양과 제가 접하는 그것들이 너무 차이나는 게 느껴지네요. 그들의 세상과 제 세상이 너무 다르다는 것도, 그리고 그들이 바라보는 10년이 제가 예상하는 10년과 감히 다를 것이라는 것도 너무나도 와닿아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감정과 동시에, 잘만 생각하면 기회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게 되고요.…
💯9❤2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아직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를 보지 않으신 분들이 있다면 … 이번 추석 연휴 때 꼭 한번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전체 영상 : https://youtu.be/z1Hg4H-LXZA?si=LUO_IUTSHGfdQ82O
전체 영상 : https://youtu.be/z1Hg4H-LXZA?si=LUO_IUTSHGfdQ82O
❤11🔥2
결국 사람은 모두 각자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다.
놀라웠던 건,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 이유를 ‘서양과 동양(특히 중국)과의 경쟁’ 속에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무엇보다도 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를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되어야 할 질서의 시작점’으로 보고 있었다. 그 승리를 80년 동안 이어왔고, 앞으로도 지켜야 한다는 그들의 기본적인 전제—그 믿음의 방식이 새롭게 느껴졌다.
결국 다 각자 이득을 위해 움직인다. 미국은 미국을 위해서 중국은 중국을 위해서. 일본은 일본 위해서. 미국이 한국을 위해서 움직이지 않는다.
https://youtube.com/shorts/9uK7l7xJ7BM?si=OIuJQenhWlM3ieiM
놀라웠던 건,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 이유를 ‘서양과 동양(특히 중국)과의 경쟁’ 속에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무엇보다도 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를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되어야 할 질서의 시작점’으로 보고 있었다. 그 승리를 80년 동안 이어왔고, 앞으로도 지켜야 한다는 그들의 기본적인 전제—그 믿음의 방식이 새롭게 느껴졌다.
결국 다 각자 이득을 위해 움직인다. 미국은 미국을 위해서 중국은 중국을 위해서. 일본은 일본 위해서. 미국이 한국을 위해서 움직이지 않는다.
https://youtube.com/shorts/9uK7l7xJ7BM?si=OIuJQenhWlM3ieiM
YouTube
미국이 이겨야 합니다 (구글 전 대표)
결국 사람은 모두 각자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다.놀라웠던 건,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 이유를 ‘서양과 동양(특히 중국)과의 경쟁’ 속에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었다.무엇보다도 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를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되어야 할 질서의 시작점’으로 보고 있었다. 그 승...
❤10👍1
한국은 혼자 살 수 없다. 세계는 이미 서로 엮여 있다. 그 안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다른 국가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면 동맹국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언제든지 관계는 뒤집힐 수 있다.
시장은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기회가 많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경쟁의 강도 또한 높다는 의미다. 한국 안에서 열심히 한다는 것이 더 이상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이제는 전 세계가 경쟁의 무대다. 우리는 늘 열심히 한다고 말하지만, 그 ‘열심’의 기준도 주관적이다. 상대적일 수 있고, 우리가 옳다고 믿는 방식이 세계의 기준과는 크게 다를 수도 있다.
제조업 중심의 시대에는 나라가 가진 자원이나 자본, 기술력에 따라 산업 구조가 정해졌고, 미리 쌓아둔 자산이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그런데 지금은 그 구조가 바뀌는 시점에 서 있는 것 같다. 몇 년 되지 않은 신생 기업인 OpenAI가 가치가 삼성전자보다 크다. 산업을 빠르게 재편하는 회사들이 기존의 기업들을 돈 주고 사들이고 있다. 몇몇 기술을 가진 나라가 전 세계 시장을 쥐고 흔들 수 있는 시대다. 그래서 모두가 인공지능에 사활을 걸고 있다. 누구는 996으로 일하고 있다.
996이 옳은가? 개인으로서 옳고 그름은 판단하는 것은 의미는 크게 없는 질문 같다. 다만, 이게 현실인지 아닌지는 말할 수 있다. 현실은 맞는 것 같다.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고, 새로운 질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눈뜬 자들은 불안 속에서 달려가고 있다. 사실이다.
삶의 가치는 각자가 정하는 것이다. 다만 한 사회나 공동체가 생명력을 잃고, 경제적 자립이나 영향력을 잃게 되면 그 안에서 개인이 완전히 자유로워지기는 어렵다. 이것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어려운 것 같다.
https://youtube.com/shorts/yZcGmuneb0M
시장은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기회가 많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경쟁의 강도 또한 높다는 의미다. 한국 안에서 열심히 한다는 것이 더 이상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이제는 전 세계가 경쟁의 무대다. 우리는 늘 열심히 한다고 말하지만, 그 ‘열심’의 기준도 주관적이다. 상대적일 수 있고, 우리가 옳다고 믿는 방식이 세계의 기준과는 크게 다를 수도 있다.
제조업 중심의 시대에는 나라가 가진 자원이나 자본, 기술력에 따라 산업 구조가 정해졌고, 미리 쌓아둔 자산이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그런데 지금은 그 구조가 바뀌는 시점에 서 있는 것 같다. 몇 년 되지 않은 신생 기업인 OpenAI가 가치가 삼성전자보다 크다. 산업을 빠르게 재편하는 회사들이 기존의 기업들을 돈 주고 사들이고 있다. 몇몇 기술을 가진 나라가 전 세계 시장을 쥐고 흔들 수 있는 시대다. 그래서 모두가 인공지능에 사활을 걸고 있다. 누구는 996으로 일하고 있다.
996이 옳은가? 개인으로서 옳고 그름은 판단하는 것은 의미는 크게 없는 질문 같다. 다만, 이게 현실인지 아닌지는 말할 수 있다. 현실은 맞는 것 같다.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고, 새로운 질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눈뜬 자들은 불안 속에서 달려가고 있다. 사실이다.
삶의 가치는 각자가 정하는 것이다. 다만 한 사회나 공동체가 생명력을 잃고, 경제적 자립이나 영향력을 잃게 되면 그 안에서 개인이 완전히 자유로워지기는 어렵다. 이것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어려운 것 같다.
https://youtube.com/shorts/yZcGmuneb0M
YouTube
중국 워라밸 996 (구글 전 대표)
한국은 혼자 살 수 없다. 세계는 이미 서로 엮여 있다. 그 안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다른 국가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면 동맹국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언제든지 관계는 뒤집힐 수 있다.시장은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기회가 많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경...
❤3💯1
일론이 20살 대학생을 Grok 훈련팀 리더로 임명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학년 휴학생인데, 입사 8개월 만에 팀 리더 자리에 올랐다. 그 과정에서 xAI 내부의 대규모 구조조정과 리더십 교체가 있었는데, 그는 그 변화를 통과해 살아남은 리더였다.
우리가 ‘나이가 곧 실력’이라고 여기는 감각은 사실 비교적 최근의 산물이다. 농경 사회에서는 나이가 곧 생존 경험이었고, 산업화 시대에는 숙련도가 곧 생산성이었기 때문이다. 기술이 단순했고,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시대에는 오래 일한 사람이 더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았다. 그래서 나이는 곧 신뢰의 단위로 작동했다.
그런데 지금은 기술과 지식의 반감기가 짧다. 10년 전의 경험이 오히려 ‘과거 방식’이 되어버리는 시대다. 정보가 폐쇄적이던 시절에는 위계적 훈련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인터넷과 AI 덕분에 학습의 경로 자체가 비선형적이다. 과거에는 ‘누구 밑에서 배웠는가’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무엇을 만들었는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가’가 더 큰 신뢰의 기준이 되었다.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3623755
우리가 ‘나이가 곧 실력’이라고 여기는 감각은 사실 비교적 최근의 산물이다. 농경 사회에서는 나이가 곧 생존 경험이었고, 산업화 시대에는 숙련도가 곧 생산성이었기 때문이다. 기술이 단순했고,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시대에는 오래 일한 사람이 더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았다. 그래서 나이는 곧 신뢰의 단위로 작동했다.
그런데 지금은 기술과 지식의 반감기가 짧다. 10년 전의 경험이 오히려 ‘과거 방식’이 되어버리는 시대다. 정보가 폐쇄적이던 시절에는 위계적 훈련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인터넷과 AI 덕분에 학습의 경로 자체가 비선형적이다. 과거에는 ‘누구 밑에서 배웠는가’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무엇을 만들었는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가’가 더 큰 신뢰의 기준이 되었다.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3623755
NAVER
나이 = 실력?
일론이 20살 대학생을 Grok 훈련팀 리더로 임명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학년 휴학생인데, 입사 8개월 만에 팀 리더 자리에 올랐다. 그 과정에서 xAI 내부의 대규모 구조조정과 리더십 교체가 있었는데, 그는 그 변화를 통과해 살아남은 리더였다.
❤17💯3👍1
GPU, 클라우드, 컴퓨팅파워 - 세 축을 중심으로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이 지금 ‘연산 동맹’을 맺고 있음. 이 중에 한국 기업은 …
---
1. NVIDIA > OpenAI : 1,000억 달러 투자 + 데이터센터용 GPU 공급
2. NVIDIA > Intel : 50억 달러 투자, 약 4% 지분 확보
3. OpenAI > Oracle : 3,000억 달러(5년간) 규모 서버비 + 전기세 포함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
4. OpenAI > AMD : AMD가 OpenAI에 AI 칩 공급 + OpenAI 지분 최대 10% 매입 옵션 보유
5. OpenAI > CoreWeave : 119억 달러 규모(5년간)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
6. CoreWeave > NVIDIA : 63억 달러 규모 GPU 초기 주문 + 미판매 클라우드 용량 구매 보장
7. Meta > CoreWeave : 140억 달러 규모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
8. Meta > Google : 6년간 100억 달러 이상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Llama 모델 훈련용)
9. Meta > Oracle : 200억 달러 규모 다년 클라우드 협상 진행 중
10. Meta > Scale AI : 143억 달러로 49% 지분 인수 + CEO를 AI 전략 핵심 인물로 영입
11. Google > Windsurf : 24억 달러 라이선스 비용 지불 + 핵심 엔지니어 인수
12. Google > Anthropic : 최대 25억 달러 투자 + Google Cloud 기반 모델 훈련 협약
13. Amazon > Anthropic : 40억 달러 투자 + AWS 인프라 제공 (Claude 모델 파트너십)
14. NVIDIA > Meta : 수십억 달러 규모 GPU 공급 (H100·B200, Llama 훈련용)
15. NVIDIA > Google : 약 200억 달러 규모 GPU 공급 + AI 인프라 최적화 협력
16. NVIDIA > Anthropic : Claude 시리즈 모델용 GPU 대량 공급 + 최적화 기술 협업
17. Intel > SoftBank : SoftBank가 Intel에 20억 달러 투자, 상위 10대 주주로 등극
18. Tesla > Samsung : 165억 달러 규모 AI6 칩 생산 공급 계약
19. Nebius Group > Microsoft : 174억 달러 규모 GPU 인프라 제공, 5년 계약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4005706
---
1. NVIDIA > OpenAI : 1,000억 달러 투자 + 데이터센터용 GPU 공급
2. NVIDIA > Intel : 50억 달러 투자, 약 4% 지분 확보
3. OpenAI > Oracle : 3,000억 달러(5년간) 규모 서버비 + 전기세 포함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
4. OpenAI > AMD : AMD가 OpenAI에 AI 칩 공급 + OpenAI 지분 최대 10% 매입 옵션 보유
5. OpenAI > CoreWeave : 119억 달러 규모(5년간)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
6. CoreWeave > NVIDIA : 63억 달러 규모 GPU 초기 주문 + 미판매 클라우드 용량 구매 보장
7. Meta > CoreWeave : 140억 달러 규모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
8. Meta > Google : 6년간 100억 달러 이상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Llama 모델 훈련용)
9. Meta > Oracle : 200억 달러 규모 다년 클라우드 협상 진행 중
10. Meta > Scale AI : 143억 달러로 49% 지분 인수 + CEO를 AI 전략 핵심 인물로 영입
11. Google > Windsurf : 24억 달러 라이선스 비용 지불 + 핵심 엔지니어 인수
12. Google > Anthropic : 최대 25억 달러 투자 + Google Cloud 기반 모델 훈련 협약
13. Amazon > Anthropic : 40억 달러 투자 + AWS 인프라 제공 (Claude 모델 파트너십)
14. NVIDIA > Meta : 수십억 달러 규모 GPU 공급 (H100·B200, Llama 훈련용)
15. NVIDIA > Google : 약 200억 달러 규모 GPU 공급 + AI 인프라 최적화 협력
16. NVIDIA > Anthropic : Claude 시리즈 모델용 GPU 대량 공급 + 최적화 기술 협업
17. Intel > SoftBank : SoftBank가 Intel에 20억 달러 투자, 상위 10대 주주로 등극
18. Tesla > Samsung : 165억 달러 규모 AI6 칩 생산 공급 계약
19. Nebius Group > Microsoft : 174억 달러 규모 GPU 인프라 제공, 5년 계약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4005706
NAVER
돈 없으면, 돈 벌어와
GPU, 클라우드, 컴퓨팅파워 - 세 축을 중심으로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이 지금 ‘연산 동맹’을 맺고 있음. 이 중에 한국 기업은 …
💯5❤4
OpenAI가 AMD와 새로운 형태의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규모는 6기가와트(GW)에 이르며, 첫 1기가와트 규모의 AMD Instinct MI450 GPU는 2026년 하반기부터 배치될 예정이다.
OpenAI는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 NVIDIA만으로는 더 이상 감당이 안 되기 때문이다. GPU 공급은 제한되어 있고,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GPU를 쓰는 회사인 OpenAI 입장에서는 공급망을 분산시키는 것이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AMD는 바로 그 틈을 파고든 셈이다.
계약 구조도 비상식적일 만큼 전략적이다. 단순히 칩을 파는 게 아니라, AMD는 OpenAI에 워런트(warrant) - 즉, AMD 주식을 특정 조건에서 미래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OpenAI가 AMD GPU를 최대 6GW까지 구매하고 기술 목표를 달성하면, AMD 주식 최대 1억6천만 주를 정해진 조건으로 살 수 있다. GPU를 사면서 동시에 그 회사의 주식 매수권을 받는 구조다.
결국 AMD는 “우리 생태계를 함께 키우면, 그 성장의 과실을 함께 나눈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OpenAI는 안정적인 GPU 공급과 투자 수익을 동시에 얻고, AMD는 세계 최고 AI 기업을 자사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며 NVIDIA 독점 구조에 균열을 낸다.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이번 계약은 AI칩 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의미한다. NVIDIA의 독점에 AMD가 균열을 내고, OpenAI는 그 균열 속에서 생존의 여지를 확보했다. AI 산업의 경쟁은 단순한 성능 싸움이 아니라, 누가 더 많은 파트너를 생태계로 끌어들이느냐의 싸움으로 옮겨가고 있다. 지금 이 시장에서 영원한 적도, 친구도 없다. 오직 생존과 주도권만이 남았다.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4022743
OpenAI는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 NVIDIA만으로는 더 이상 감당이 안 되기 때문이다. GPU 공급은 제한되어 있고,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GPU를 쓰는 회사인 OpenAI 입장에서는 공급망을 분산시키는 것이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AMD는 바로 그 틈을 파고든 셈이다.
계약 구조도 비상식적일 만큼 전략적이다. 단순히 칩을 파는 게 아니라, AMD는 OpenAI에 워런트(warrant) - 즉, AMD 주식을 특정 조건에서 미래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OpenAI가 AMD GPU를 최대 6GW까지 구매하고 기술 목표를 달성하면, AMD 주식 최대 1억6천만 주를 정해진 조건으로 살 수 있다. GPU를 사면서 동시에 그 회사의 주식 매수권을 받는 구조다.
결국 AMD는 “우리 생태계를 함께 키우면, 그 성장의 과실을 함께 나눈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OpenAI는 안정적인 GPU 공급과 투자 수익을 동시에 얻고, AMD는 세계 최고 AI 기업을 자사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며 NVIDIA 독점 구조에 균열을 낸다.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이번 계약은 AI칩 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의미한다. NVIDIA의 독점에 AMD가 균열을 내고, OpenAI는 그 균열 속에서 생존의 여지를 확보했다. AI 산업의 경쟁은 단순한 성능 싸움이 아니라, 누가 더 많은 파트너를 생태계로 끌어들이느냐의 싸움으로 옮겨가고 있다. 지금 이 시장에서 영원한 적도, 친구도 없다. 오직 생존과 주도권만이 남았다.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4022743
NAVER
OpenAI와 AMD
OpenAI가 AMD와 새로운 형태의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규모는 6기가와트(GW)에 이르며, 첫 1기가와트 규모의 AMD Instinct MI450 GPU는 2026년 하반기부터 배치될 예정이다.
❤9🔥2💯1
BZCF | 비즈까페
OpenAI가 AMD와 새로운 형태의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규모는 6기가와트(GW)에 이르며, 첫 1기가와트 규모의 AMD Instinct MI450 GPU는 2026년 하반기부터 배치될 예정이다. OpenAI는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 NVIDIA만으로는 더 이상 감당이 안 되기 때문이다. GPU 공급은 제한되어 있고,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GPU를 쓰는 회사인 OpenAI 입장에서는 공급망을 분산시키는 것이 ‘선택’이…
어제 올린 글 관련 영상입니다. 리사 수와 OpenAI 그렉 브록만 창업자가 인터뷰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ykSGfq2-xA
YouTube
오픈AI, AMD 역대급 계약
OpenAI가 AMD와 새로운 형태의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규모는 6기가와트(GW)에 이르며, 첫 1기가와트 규모의 AMD Instinct MI450 GPU는 2026년 하반기부터 배치될 예정이다.
OpenAI는 이번 계약을 통해 AMD의 MI300X와 MI350X 시리즈 칩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AI 시장의 기준은 NVIDIA의 H100, H200, B100 시리즈로, AMD 칩의 물리적 성능은 그에 비해 약 70~90% 수준으로 평가된다.…
OpenAI는 이번 계약을 통해 AMD의 MI300X와 MI350X 시리즈 칩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AI 시장의 기준은 NVIDIA의 H100, H200, B100 시리즈로, AMD 칩의 물리적 성능은 그에 비해 약 70~90% 수준으로 평가된다.…
👍5
연휴에 밀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OpenAI 2025 Dev Day 전체 영상을 모두 보았습니다. 처음 인트로부터 그들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가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이번 발표는 ‘우리 모델 이렇게 잘났어요’가 아니라 ‘이 모델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쓰고 있습니다’를 강조하며 시작했습니다.
OpenAI는 이제 성능 경쟁이 아니라 채택과 확산의 경쟁에 들어선 것 같습니다. 좋은 모델은 이미 많고, 경쟁자들의 추격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결국 핵심은 플랫폼이 되느냐, 표준이 되느냐 인 것 같습니다. 이 차이로 승부가 갈리게 될 것 같습니다. 카카오톡이 라인보다 기능이 많아서 이긴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이미 그 안에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OpenAI도 같은 길을 걷고 있는 것 같습니니다. 이제는 ‘굳히기 모드’에 들어섰다고 볼 수도 있고요. 요약으로 정리했습니다.
- 리뷰 :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5079130
-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aoYy5JeS6fA
OpenAI는 이제 성능 경쟁이 아니라 채택과 확산의 경쟁에 들어선 것 같습니다. 좋은 모델은 이미 많고, 경쟁자들의 추격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결국 핵심은 플랫폼이 되느냐, 표준이 되느냐 인 것 같습니다. 이 차이로 승부가 갈리게 될 것 같습니다. 카카오톡이 라인보다 기능이 많아서 이긴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이미 그 안에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OpenAI도 같은 길을 걷고 있는 것 같습니니다. 이제는 ‘굳히기 모드’에 들어섰다고 볼 수도 있고요. 요약으로 정리했습니다.
- 리뷰 :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5079130
-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aoYy5JeS6fA
NAVER
OpenAI 2025 devday : "굳히기 모드"
연휴에 밀린 공부를 하고 있다. OpenAI 2025 Dev Day 전체 영상을 다 봤다. 처음 인트로에서부터 그들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가 드러났다. 이번 발표는 ‘우리 모델 이렇게 잘났어요’가 아니라 ‘이 모델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쓰고 있습니다’를 발표하면서 시작했다. OpenAI는 이제 성능 경쟁이 아니라 채택과 확산의 경쟁에 들어선 것 같다. 좋은 모델은 이미 많고, 따라오는 속도도 빠르다. 결국 플랫폼이 되느냐 — 표준이 되느냐 —…
💯10❤3👍2
젠슨황 :
"후회하는 일 중 하나는 OpenAI에 더 많이 투자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지금은 역사상 가장 가치있는 스타트업이 되었다."
"AMD와의 거래는 놀랍다. AMD는 그들 제품이 그렇게 '좋다'라고 하면서, 그들 주식의 10%나 넘기면서 거래를 했다. 창의적이 접근이다."
"AI 인프라 내부의 모든 종류의 칩을 직접 설계하고 제조하는 회사는 엔비디아 뿐이다. 단일 칩만으로는 엔비디아가 만들어내는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cP8pfCJTw4Q
"후회하는 일 중 하나는 OpenAI에 더 많이 투자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지금은 역사상 가장 가치있는 스타트업이 되었다."
"AMD와의 거래는 놀랍다. AMD는 그들 제품이 그렇게 '좋다'라고 하면서, 그들 주식의 10%나 넘기면서 거래를 했다. 창의적이 접근이다."
"AI 인프라 내부의 모든 종류의 칩을 직접 설계하고 제조하는 회사는 엔비디아 뿐이다. 단일 칩만으로는 엔비디아가 만들어내는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cP8pfCJTw4Q
YouTube
Nvidia CEO Jensen Huang: Surprised AMD gave away 10% of the company in 'clever' OpenAI deal
Nvidia CEO Jensen Huang joins 'Squawk Box' to discuss details of the company's partnership with OpenAI, his thoughts on OpenAI's deal with AMD, state of the AI tech race, the promise of AI technology, and more. For access to live and exclusive video from…
❤4💯3
오랜만에 영화 감상을 썼다. 아마 정말 좋았던 것 같다. 사소한 것들에 휘둘리지 말고, 정말 중요한 것, 바뀌어야 하는 것, 바꾸어야만 하는 것에 더 에너지를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변화는 그렇게, 함께 싸워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그래야 변화가 생긴다.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5203694
https://blog.naver.com/bizucafe/224035203694
NAVER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를 봤다. PTA는 대단한 감독이다. 당연한 이야기라 굳이 길게 말하고 싶지 않다.
💯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