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Forwarded from AI MASTERS
[ 서양 CEO들이 중국 출장 후 '멘붕' 온 이유 ]

주말에 흥미로운 해외 기사를 보고 공유드립니다👀👀

이 채널에 올라오는 콘텐츠의 대부분이 미국과 중국 이야기라는 부분도 그러하고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하는 서방과 중국에 대한 인식이 이제는 정말 바뀌어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참 많이 드는 요즘이에요😱

이 기사의 제목처럼 서양의 대기업 CEO들이 중국 출장을 다녀오면 하나같이 큰 충격을 받고 돌아온다는 내용입니다🤔🤔

시작과 동시에 포드CEO가 이렇게 얘기했다며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내 인생 가장 겸허해지는 경험이었다 (It’s the most humbling thing I’ve ever seen)"


주요내용 위주로 간략정리
1️⃣ 경쟁의 차원이 달라졌다
- 과거 'Made in China'는 값싼 노동력 기반의 '가성비' 제품이었지만
- 이제는 품질, 기술, 혁심 속도에서 서양권 기업들을 모두 압도하고 있음
- 안면 인식, 자율주행, 배터리 기술 등만 놓고 봐도 중국은 '첨단 기술 시장'의 포식자 수준

2️⃣ 파괴된 공장의 개념. 다크 팩토리
- 관련 영상을 공유드린적 있으니 한번 보고 오시는걸 추천드려요(클릭)
-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는 수준이 아닌 '사람이 아예 필요 없는 공장'이 현실화 됨
- 로봇들은 쉬지 않고 24/7 일하며 불을 켤 필요조차 없음
- 800m 정도 걷는동안 부품이 조립되며 트럭 한 대가 완성되서 나오는 경험은 말을 잃게 만들어주었다고

3️⃣ 따라갈 수 없는 속도 전쟁
- 중국 자동차 산업의 가장 무서운 점은 '더 빨라진 속도'
- 유럽 자동차 회사가 신차 모델 하나를 개발하고 출시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절반이면 중국에서는 충분할 것
- 많은 사람이 붙어서 쉬지않고 일하는 과거의 중국이 아니고 고도로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진 결과임

4️⃣ '국가'에서 이끄는 자동화 세계
- 중국 또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를 대비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전략으로 'Automation'을 추진중임
- 제조업이 국가의 근간인만큼 노동력이 부족해지기 전에 인간이 할일을 로봇으로 전환하는 것
- '기계환인(机器换人, 기계로 사람을 대체한다)' 정책 아래 막대한 보조금을 쏟아붓고 있음

5️⃣ 숫자로 보는 중국의 스케일
- 연간 산업용 로봇 도입대수(24년 기준)
1) 중국: 295k (압도적 1위)
2) 미국: 34k
3) 독일: 27k
4) 영국: 2.5k
- 위 내용을 단순 인구 규모 탓으로 이야기 하기 어려운 것이 로봇 밀도에서도 압도하고 있기 때문
- 로봇 밀도(노동자 1만명 당)
1) 중국: 567대
2) 독일: 449대
3) 미국: 307대
4) 이태리: 237대
5) 프랑스: 195대
- BYD의 폭발적 성장
1) 2025년: 35,604대
2) 2024년: 5,260대

6️⃣ 단순 경제 문제가 아닌 '안보적 위협'으로
- 물건을 싸고 좋으면서 빠르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제조업 이슈를 넘어서는 위협이 될 수 있음
- 글로벌 공급망을 중국이 쥐게 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고
- 로봇공학 분야의 빠른 중국의 발전은 군수 산업에서도 앞서나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음

위에 나온 이야기도 모두 좋은 이야기지만 마지막에 핵심이야기가 나옵니다.

People talk a lot about how automation will lead to job losses, but actually, the job losses are going to be disproportionately in the countries that don’t automate. (사람들은 자동화가 일자리를 빼앗을까 봐 걱정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진짜 대규모 실업을 겪게 될 나라는 '자동화를 하지 않는 나라'가 될 것)


✍️ 자동화와 같은 산업 현대화에 실패한 국가가 마주할 미래는, 로봇이 일하느라 불 꺼진 '첨단 암흑 공장'이 아닙니다. 경쟁에서 완전히 밀려 생산이 멈춘, 말 그대로 '진짜 암흑 공장'일 거라는 경고가 소름 돋네요😓 중국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거대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나아갈 길을 진지하게 고민해야할 때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 원문 보기 👈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휴젤 (145020)

미국 성장 본격화의 신호탄

작성일: 2025.10.20
작성자: 현대차증권 (김현석)

투자의견: 매수 (BUY)
목표주가: 390,000원 (유지)
작성일 주가: 262,000원
목표주가 수익률: +48.9%

* 글로벌 톡신 1위 기업의 전문가를 CEO로 영입하여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및 성장 가속화 기대
* 단기적인 경쟁 심화 우려에도 미국, 중국 등 주요 시장 성장세가 뚜렷하며, 현재 주가는 저평가 상태로 판단되어 '매수' 의견 유지


자세히보기
https://www.butler.works/ko/companies/00888347?openDialog=analystReport-34544
삼성전기-켐트로닉스, 유리기판 합작법인 설립 논의 중
- 삼성전기는 반도체 후공정 강화를 위해 켐트로닉스와 유리기판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 JV 규모는 약 2000억 원이며, 켐트로닉스는 자금 조달을 위해 PEF 및 VC와 접촉 중이다.
- 켐트로닉스는 TGV 기술과 일괄 생산 체계를 갖춘 몇 안 되는 기업으로 선정된 배경이 됐다.
- JV 구조는 삼성전기 50%+1주, 켐트로닉스 나머지 지분 보유 형태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 자금 확보 지연 시 합작 일정에도 차질 우려가 있으며, 솔브레인도 대안 파트너로 거론된다.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493&from=naver
1
2025.10.20 17:00:46
기업명: 파인엠텍(시가총액: 3,523억)
보고서명: 신규시설투자등(자율공시)

*투자구분 및 목적
- 신규시설투자(UV Laser 설비)
- 폴더블 시장확대 대응 및 초정밀 레이저 CAPA 확대

투자금액 : 160억
자본대비 : 9.75%

투자시작 : 2025-10-20
투자종료 : 2027-02-27
투자기간 : 1.4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090053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41270
오타니 야마모토 김혜성쿤

에이시안 카르텔 형성
~ 한국 정부가 3500억달러(약 495조원) 규모 대미 투자펀드를 조성해 미국 현지 투자에 나서고, 미국 정부는 한국산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한다는 큰 틀의 합의가 골자다. 중장기 분할투자 등 한미 양측이 도출한 세부 합의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 양측이 정상회담를 계기로 문서 합의를 하기로 한 것은 미측이 펀드 출자금의 전액 선불 요구에서 한발 물러서고 수년에 걸쳐 분할 투자하는 방안에 포괄적으로 합의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연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추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정부는 한미정상회담까지 남은 기간 동안 투자처 선정 방식과 펀드 내 현금·융자·보증 비중 등 남은 쟁점에 대한 한미 합의도 도출한다는 목표다. 다만 정상회담 때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일단 현재 마련된 MOU에 서명하고 후속 협상을 통해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75926?sid=100
2
막스 베르스타펜 vs 피아스트리 vs 노리스

포인트 격차는 40점

남은 그랑프리는 5개
무자비한 노태문
https://cc-times.com/posts/29651

캄대녀 근황

** 한국인 여자 범죄 조직원
Forwarded from 루팡
미국 교통장관 더피: “현재 스페이스X가 보유한 계약 공간을 개방해 경쟁을 유도할 것. 스페이스X는 일정에 뒤처져 있다.” — 폭스뉴스 보도
[단독] 한화해운, USTR에 '中 연계 적대적 조선소 과세' 방안 제안했다

~ 한화오션 계열 한화해운(한화쉬핑)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 내 미국 적대 이해관계 연계 조선소·선박'에 대한 수수료 과세를 제안하고 공청회에서 시행 골격까지 공개한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 기업이 미국의 반중(反中) 정책 방향에 직접 목소리를 낸 드문 사례로, 산업 외교 구도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1020000742
Forwarded from 카이에 de market
Citi

SK하이닉스
- 올해 4분기 영업이익 15조 전망(컨센 12.2조)
- 26년 영업이익 전망 81.5조
- 26년 메모리 가격 상승률은 시장예상보다 상당히 높을 것
- 목표가 64만원으로 상향

-> 26년 이익추정치, 목표가 모두 스트릿하이
1
미국 바이오는 여전히 6개월째 멈추지 않고 상승 중. NBI가 장 중 코로나19 이후 최대치인 5273.62p 까지 상승. XBI, LABU도 가파른 상승세
>중국증시 오전 광모듈(Optical Module) 관련 종목이 일제히 급등. 이날 광통신 장비 및 AI 데이터센터 공급망 관련주 전반이 동반 상승세를 보이며, 단기적으로 AI 인프라 확장 수혜주로의 관심 확대

•중지쉬창(中际旭创), 톈푸통신(天孚通信)이 장중 +12% 상승, 신이성(新易盛)도 +9%. 시장에서는 Citi가 제시한 산업 수요 상향 전망이 매수세를 자극

•CITI는 VR200 NVL144 랙의 GPU-광모듈 비율이 1:2.5에서 1:5로 상향될 가능성을 언급하며, 공급업체가 제때 물량을 대응할 경우 2026년 업계 수요가 기존 800만 개에서 2,000만개 이상 급증

•또한 광모듈 공급 부족이 심화될 경우 평균판매단가가 YoY로 유지되거나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 ASIC 및 GPU 가속기 수요 확대에 따라 광모듈 탑재 비중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며, 중지쉬창과 신이성의 2026년 예상 주가 PE 16배는 여전히 합리적 수준이라고 평가

>원문 : 中际旭创盘中一度涨超12%,天孚通信一度涨超12%,新易盛一度涨超9%。花旗称光模块行业需求存在潜在上行可能,且股价调整后买入机会增强。花旗表示,观察到VR200 NVL144机架的1.6T光模块GPU配比或从1:2.5提升至1:5,意味着若供应商能及时跟上订单,其2026年行业需求可能从800万只增至2000万只以上。
2025/10/23 04:07:46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