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 LAD 김혜성 연장 12회 대주자로 PS 데뷔
몰?루
** LAD 김혜성 연장 12회 대주자로 PS 데뷔
김혜성 끝내기 득점
🤔1
공을
굴리면
무언가가
일어난다

대 정 후
Forwarded from Nittany ATOM Land
Flour은 10/8일자로 뉴스케일 지분 매도 종료
Forwarded from TNBfolio
두산에너빌리티, 美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로 가스터빈 수주 ‘청신호’
(by https://www.tg-me.com/TNBfolio)
- AI·클라우드 확산으로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급증하며 두산에너빌리티의 성장 기회가 열리고 있다.
- 두산은 380MW급 가스터빈 실증에 성공하고 F급 Non-OEM 핵심부품 국산화로 북미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
- 미국 내 데이터센터는 재생에너지 한계를 보완할 안정적 전력원이 필요해 가스터빈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두산은 OEM-Non-OEM 양축 전략으로 미국 660기 규모의 부품 교체 시장까지 공략하고 있다.
- 글로벌 5위 가스터빈 제조사로서 두산은 북미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힘입어 틈새시장 돌파에 나섰다.
https://edata.ekn.kr/article/view/ekn202510010002
2
Forwarded from 루팡
일론 머스크

기술 경쟁에서는 가장 빠르게 혁신하는 회사가 승리한다.

필요한 것은 10억 개의 AI 칩, 1테라와트의 전력, 그리고 1억 대의 로봇
세상에 망한기업이 얼마나 많은데 저런 말을 쉽게할까란 생각이 드는

물리법칙을 거스른 fluke가 나온다고 그게 새로운 법칙이되진않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206656?sid=105

한국인(?)이라 망하는 케이스

홍 CPO 측은 신청서에서 “해당 문서가 ‘사내에서 카르텔을 형성하고 다른 의견은 전부 무시하고 자신의 기획을 강행했다’, ‘카카오톡 개편 반응이 긍정적이라며 자화자찬했다’는 등 명백한 허위사실을 담고 있다”며 “이는 공공의 이익보다 개인적 비방을 목적으로 한 명예훼손 행위로 형사처벌의 대상에도 해당하는만큼 조속히 삭제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1
신중을 안 기하면 어쩔건데
우진 <-- 테무 두에빌 삿다가 인생 망했네 ㅡㅡ
😱2
Forwarded from 프리라이프
#이그전
늘어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 인하 압박 → 실물자산 가격 급등
Forwarded from 6해치 투자 운영
📌️️ 두산에너빌리티 업데이트

- 추석전 9월24일 업로드한 두산에너빌리티 분석에서 다룬 포인트들이 금일 신한투자증권 최규헌 애널리스트 레포트를 통해 확인된 것 정리.

- 분석글에서 뇌피셜로 잡은 1) 대형원전(체코) 수주금액 가이던스 이상 서프 가능성 2) 가스터빈 수주 약 2조 가능 3) SMR - TVA 프로젝트 수주건

- 금일 애널리스트 보고서(신한 최규헌)에서 1) 대형원전(체코)이 수주가이던스 3.8조원대비 증액 가능하다고 했음 2) SMR이 본계약(PPA) 4분기 내 가능하다고 언급 3) 가스터빈이 북미향 수조원대 4분기 안에 나온다고 언급

- 3가지 항목 대형원전, SMR, 가스터빈(북미향) 에서 같은 논지로 언급 시작. 회사가 지워진 기사들을 통해 (단독뉴스 등) 이미 티를 내고 있음.

- 수주가 공백기없이 4분기에는 올해 수주가이던스 10.7조 (달성하려면 잔여 7.1조)를 뛰어넘는 최종수주 기록 할 수 있음.
👍1
중국의 ‘에너지 봉쇄’ 대비하는 대만

중국이 대만 주변 해역에서 실시한 최근 군사훈련이 대만의 심각한 에너지 의존 구조를 드러내며 위기감을 높이고 있음. 대만의 에너지의 97%가 수입에 의존하며, 액화천연가스(LNG)는 전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함. 이는 중국이 군사적 충돌 없이도 경제적 봉쇄만으로 대만을 마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함.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시뮬레이션 결과, 중국이 해상 수송로를 차단할 경우 대만의 LNG 재고는 며칠 만에 고갈될 것으로 분석함. 석유나 석탄보다 저장 기간이 짧은 LNG가 가장 큰 취약점으로 지적됨.
전력 공급이 끊길 경우 반도체, 전자 등 제조업 생산이 순차적으로 중단되며, 전 세계 공급망에 심각한 충격을 줄 전망임.

현재 대만의 에너지 구성은 원유 42%, 석탄 29%, LNG 21%, 재생에너지 6% 수준으로, LNG 의존도가 높은 편임. 주요 공급국은 호주(40%), 카타르(30%), 미국(10%) 등으로 대부분이 해상 운송에 의존.
중국이 남중국해나 말라카 해협을 봉쇄하면 대체 경로가 사실상 막히게 됨.

대만 정부는 위기 대응책으로 LNG 저장시설을 확충하고 원전 가동 재검토에 나서고 있음. 태양광·풍력 비중을 확대하는 동시에, 석탄 비축량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임.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력 자급 체계가 확립되지 않는 한, 대만은 에너지 전쟁에서 중국에 절대적으로 불리하다”고 지적함.

미국 내에서는 ‘유사시 대만 봉쇄 대응 전략’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중임. 백악관은 명확한 개입 방침을 밝히지 않은 채, 중국의 해상 차단이 현실화될 경우 미 해군의 ‘해상 보급선 차단 저지 작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대만은 사실상 ‘시간과의 싸움’에 들어간 셈임. 전력망 보호와 에너지 다변화 없이는 단기 봉쇄만으로도 산업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음.


출처: Wall Street Journal (2025년 10월 10일)
⚡️⚡️⚡️⚡️⚡️⚡️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2025년 노벨 평화상 수상.

도널드 트럼프는 노벨 평화상을 받지 못함.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미 상원이 알래스카 내 석유·가스·광물 개발을 허용하는 법안을 최종 통과시킴.

표결 결과는 50대 46임.

이 법안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의 규제를 철회하는 내용으로, 이미 하원을 통과했으며 이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서명을 앞두고 있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송치형 회장의 '레벨 업' 도전

- 인수 구조
네이버페이가 두나무 지분 100%를 인수하고, 신주를 발행해 두나무 주주들과 주식 교환을 추진하는 방식.

- 실질적 인수자
겉으로는 네이버가 두나무를 인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송치형 회장이 네이버페이를 인수하는 구조.

- 지배력 변화
교환비율에 따라 송 회장이 네이버페이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높음.

- 동기와 전략
단순한 금전적 이익이 아닌, 더 높은 단계로의 도전.
업계 1위 기업의 지배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선택.


향후 네이버 본사에서의 역할까지 염두에 둔 큰 그림.

송 회장은 두나무라는 성공적인 회사를 포기하면서까지, 더 큰 영향력을 갖기 위한 창업가의 새로운 '레벨 업' 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업 확장이 아니라, 지배구조와 산업 내 위치를 재편하려는 야심찬 행보

네이버도
두나무도 모두 윈윈 하는 그림.

그외는 지금은 소음일뿐

#네이버
#두나무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9302355477840108649
2025/10/22 20:28:56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