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gram Web Link
Forwarded from Find Alpha
#공부종목 #FIX
Comfort U.S.A system (Ticker: FIX)
아이디어: 시가총액 $30B 기업인데, 이번 실적 발표가 위의 사진처럼 나옴. 뭐하는 기업인지 봤더니, 원래 건물의 전력, 배관 설비업체를 하는 기업인데, 최근의 데이터센터 때문에 성장이 미쳤다고 함..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이 데이터센터 건설 예정된 부지가 너무 많아서,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한 부분.. 최근 2024년부터 계속 올라서 3배정도 갔는데..아직 P/E는 30x 정도, 탑라인 성장도 좋고 마진도 찔끔씩 오르고 있고,,,
금요일 실적이 나와서 지금 보려고하는데 굉장히 흥미롭다..
1👍1
Forwarded from Dean's Ticker
'年227%' 셀레스티카, 데이터센터 대규모 투자 수혜로 가이던스 상향 +9% $CLS

전자제품위탁제조(EMS) 및 서버OEM. 데이터센터 스위치도 직접 제조


3Q FY25 Results
= 매출 $3.19b (est. $3.04b), 28% YoY
= GPM 11.7% (est. 11.6%), -0.9%p YoY
= OPM 7.6% (est. 7.5%), 0.8%p YoY
= EPS $1.58 (est. $1.49), 52% YoY
= CAPEX $37m (est. $60m), 24% YoY
= FCF $89m (est. $60m), 16% YoY
= BVPS $17.50, 18% YoY [P/B = 17.2x]
= ROIC 37.5% (Prior. 29.0%)
= 법인세율 20% (Prior. 21%)

FY25 Guidance
= 매출 $11.55b → $12.2b (est. $11.7b), 26% YoY
= EPS $5.50 → $5.90 (est. $5.62), 52% YoY
= FCF $400 → $425m (est. $402m), 63% YoY

CEO 曰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는 주요 고객사들의 수요 전망은 여전히 견조. 이 추세가 2027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구글이 곧 모두를 놀라게 할 것입니다. 그들은 조용히 거대한 무언가를 준비해 왔습니다.

2025년이 끝날 무렵, “코딩”은 타이핑을 의미하지 않고 감성을 의미하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단순히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몇 가지 감성을 조정하기만 하면, 여러분의 게임이나 앱이 생생하게 구현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을 것입니다.

C++도, 구문 오류도 잊어버리세요.
순수한 창조만이 남을 것입니다. 상상력과 소프트웨어 사이의 장벽이 사라질 것입니다.

우리는 포스트 코드 시대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수십억 명이 개발자가 될 것입니다. 수백만 명이 혁신을 이끌 것입니다. 구글의 모델은 “코딩을 못한다”는 말을 1995년의 “타자 치는 걸 못한다”는 말처럼 들리게 만들 것입니다.
😱2
토론토 vs LA다저스

맥스 슈어저 vs 타일러 글래스나우

** 슈어저는 사진이 이상한게 아니라 오드아이라서 눈 색깔이 다름
Forwarded from Dean's Ticker
NXP, 가이던스 기대 충족...사업부 개편 박차 $NXPI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엣지 컴퓨팅 프로세서, MEMS, RF/NFC 등


3Q FY25 Results
= 매출 $3.17b (est. $3.16b), -2% YoY
= GPM 57.0% (est. 57.1%), -1.2%p YoY
= OPM 33.8% (est. 33.7%), -1.7%p YoY
= EPS $3.11 (est. $3.12), -10% YoY
= CAPEX $76m (est. $111m), -59% YoY
= FCF $509m (est. $779m), -14% YoY
= 회사채 발행 $3.0b → 차량 네트워크 Aviva Links 인수

Sales by Market
= 자동차 $1.84b, flat YoY
= 산업&IoT $0.58b, 3% YoY
= 모바일 $0.43b, 6% YoY
= 통신인프라 $0.33b, -27% YoY

4Q FY25 Guidance
= 매출 $3.2~3.4b (est. $3.2b) , 6% YoY
= GPM 57.5% (est. 57.5%), flat YoY
= OPM 34.6% (est. 34.3%), 0.4%p YoY
= EPS $3.28 (est. $3.28), 3% YoY
= 1H26 중 MEMS(센서) 사업부 매각

모든 지역과 모든 최종시장에서 광범위한 전분기 대비 개선세. 경기회복 조짐을 반영
1
Forwarded from 알파카 주식 목장
#RF머트리얼즈
이번 3Q25 실적은 연결로 보면 QoQ 비슷하지만, 엔비디아x루멘텀xRF머트리얼즈 관계를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RF머트리얼즈 개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RF시스템즈가 포함된 연결보다, RF머트리얼즈 개별 실적이 루멘텀향 데이터센터 매출을 더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사진은 개별 실적 추이 )

그런 의미에서 RF머트리얼즈 개별 실적을 보시면, 매출도 증가세가 뚜렷하고 영업이익은 더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최근 자사주 처분 등을 통해 시설 및 운영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루멘텀향 데이터센터 실적이 너무 좋으니, 회사도 capa 증설 등을 통해 대응하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루멘텀은 내년 초와 내년 하반기에 각각 생산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코멘트를 한 바 있는데, 루멘텀의 증설 스케쥴에 따라서 RF머트리얼즈의 실적 또한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LS에코에너지의 실적은 유럽향 초고압 전력 케이블 수출 확대, 미국향 URD(배전) 케이블 판매 증가 등에 따른 것이다.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AI 데이터센터 급증,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등이 주요 제품군 수출을 견인했다.

특히, 미국의 수입 관세 부과에도 선제적 고객 대응과 전략적 가격 조정을 통해 대미 수출 영향을 최소화한 점이 역대급 수익성 달성에 기여했다.

이상호 LS에코에너지 대표는 "고부가 제품의 해외 수출이 꾸준히 늘고 있고, 베트남 정부의 전력망 확충 정책에 따라 내수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4분기에도 긍정적인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LS에코에너지는 최근 해저케이블 사업의 현지화와 희토류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성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
Forwarded from 선수촌
30GWh는 주가를 올릴 수 있을까?
Forwarded from Rafiki research
한화 11월 전략_작은 빈 집_김수연.pdf
1.3 MB
점심 먹으러 가기 전에 빨리 읽으세요
💩1
Forwarded from 프렌즈씨앤엠
트럼프 - 일 천황 대화 중 MLB 얘기

오타니와 야마모토쿤 관련 담소를 나눔

럼프신은 참고로 양키스 광팬이지만 야구를 기본적으로 좋아함

한국엔 SF 소속 땅볼혁명 OOO가 있다
Forwarded from 몰?루 (복싱이)
몰?루
Photo
스스디향 ESS에 집중!!!!!!!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4300938180600105280

위의 한중엔시에스는 SDI 컨콜에서 언급한 미국 생산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최종 마무리 하는 역할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중엔시에스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대지 면적 5만3944㎡ 규모의 생산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중엔시에스는 ESS용 수랭식(배터리 주변에 물이 흐르는 관을 설치해 열을 식히는 방식) 냉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칠러(Chiller)와 쿨링 플레이트(Cooling Plate), 에이치백(HVAC), 소화시스템, 배터리 모듈을 생산해 삼성SDI에 납품한다. 국내 ESS 제조사들이 미국 현지 생산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에 발맞춘 행보다.

한중엔시에스는 미국법인(Hanjung America Co., Ltd.)을 두고 있었으나 CS(고객서비스) 업무 대응 역할만 담당했다. 이번에 미국 생산법인을 새롭게 설립하고 기존 법인은 청산한다.

앞으로 삼성SDI는 한중엔시에스로부터 부품을 조달받아 현지 공장에서 조립해 최종고객사에 납품하게 된다. 앞서 삼성SDI는 미국 에너지 기업 넥스트라에너지에 SBB 신제품인 SBB1.5를 약 4374억원 규모로 공급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2🤔1
2025/10/31 02:36:23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