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 제이에스링크 미국 현지에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 공장 건설 예정 (미국 첨단 국방산업에 있어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의 중요성)
지난 주 방한한 브라이언 조지아주 주지사의 제이에스링크 단독면담에 대한 보도에 따르면, 제이에스링크는 미국에 소결 네오디뮴(NdFeB)영구자석 생산시설 외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 생산시설도 건설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은 높은 내열성과 내식성으로 국방분야와 우주항공분야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전략/전술 무기에 핵심물자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ICBM과 유도미사일(토마호크 등)의 센서(자이로스코프 등)와 액츄에이터에 사용되는데, 고온과 진동 환경에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집니다.
그리고 레이더 시스템, 잠수함(소나 등)과 수중무기(어뢰의 구동모터), 대형 드론과 같은 UAV(무인항공기)의 모터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도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전장비(전자파 방해장치, 통신 시스템 부품), 스텔스 기술(레이저 흡수 재료 및 관련 부품의 정밀 제어장치) 등 매우 폭넓은 무기체계에 필수적인 물자입니다.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이 이처럼 많은 첨단 무기체계에 사용되는 이유는, 네오디뮴 영구자석 대비 자력은 약하지만, 고온(최대 350도)과 부식에 매우 강해 극한 환경이 요구되는 군사, 항공우주 분야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 중 가장 높은 EH와 AH 등급의 내열성(최대 작동온도)이 약 180 - 220이기에 더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군사무기에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필수적입니다.
이렇게 국방분야에서 중요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현재 오직 중국에서만 생산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되는 분야가 국방과 항공우주라는 매우 제한적인 분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동안 중국 외 지역에서는 경제성의 이유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곳이 없었으며, 관련된 기술이 소실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표면화 되면서 미국은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의 대중국 의존의 심각성에 대해서 2018부터 인지하였으나, 공급망과 기술, 인력의 문제로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는 2018년, 2021년, 2022년 미국 의회에 보고된 국방수권법에서도 국방분야에서의 희토류 영구자석의 문제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 제이에스링크 켄지 고니시 부사장과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이번 조지아주 주지사와의 단독 미팅에 대한 보도자료에서 제이에스링크의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생산시설의 미국 내 건설 내용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현재 제이에스링크의 영구자석 핵심 엔지니어인 고니시 부사장의 이력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켄지 고니시 부사장은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분야의 권위자로 많은 관련특허(개인특허포함)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입니다.
1) https://jglobal.jst.go.jp/detail?JGLOBAL_ID=200903091028673524
2) https://jglobal.jst.go.jp/detail?JGLOBAL_ID=201103055525776320
이러한 켄지 고니시 부사장의 이력이 현재의 제이에스링크의 영구자석 생산을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미국의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생산 협력도 가능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켄지 고니시부사장의 이력과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분야의 전문성 등은 제가 2025년 3월에 작성한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nihil76&logNo=22379362825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 제이에스링크, 미 희토류 영구자석 공장 건설 ‘속도’ (The bell, 2025. 10. 27)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방한 중 국내 희토류 영구자석 업체인 제이에스링크 경영진과 단독 면담을 갖고 조지아주 내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공장 설립계획을 공식적으로 논의하며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하였음.
제이에스링크는 미국 공장에서 자동차, 풍력발전, 엘리베이터, 가전, 의료제품, 로봇, 데이터센터, 국방 분야 등 광범위한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임.
제이에스링크는 NdFeB 소결자석 뿐 아니라 국방 핵심물자인 SmCo(사마륨코발트) 자석도 미국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으로 미국의 국가 안보와 첨단 산업 공급망 안정화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됨.
조지아 주정부는 영구자석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하였음.
한편 조지아 주 대표단은 오는 29일 직접 한국을 방문해 제이에스링크의 예산 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 생산역량과 기술력을 확인할 예정이며, 이번 방문으로 조지아 공장 설립 계획이 구체화 될 것.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10270830014580101939
지난 주 방한한 브라이언 조지아주 주지사의 제이에스링크 단독면담에 대한 보도에 따르면, 제이에스링크는 미국에 소결 네오디뮴(NdFeB)영구자석 생산시설 외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 생산시설도 건설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은 높은 내열성과 내식성으로 국방분야와 우주항공분야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전략/전술 무기에 핵심물자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ICBM과 유도미사일(토마호크 등)의 센서(자이로스코프 등)와 액츄에이터에 사용되는데, 고온과 진동 환경에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집니다.
그리고 레이더 시스템, 잠수함(소나 등)과 수중무기(어뢰의 구동모터), 대형 드론과 같은 UAV(무인항공기)의 모터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도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전장비(전자파 방해장치, 통신 시스템 부품), 스텔스 기술(레이저 흡수 재료 및 관련 부품의 정밀 제어장치) 등 매우 폭넓은 무기체계에 필수적인 물자입니다.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이 이처럼 많은 첨단 무기체계에 사용되는 이유는, 네오디뮴 영구자석 대비 자력은 약하지만, 고온(최대 350도)과 부식에 매우 강해 극한 환경이 요구되는 군사, 항공우주 분야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 중 가장 높은 EH와 AH 등급의 내열성(최대 작동온도)이 약 180 - 220이기에 더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군사무기에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필수적입니다.
이렇게 국방분야에서 중요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은 현재 오직 중국에서만 생산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되는 분야가 국방과 항공우주라는 매우 제한적인 분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동안 중국 외 지역에서는 경제성의 이유로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곳이 없었으며, 관련된 기술이 소실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표면화 되면서 미국은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의 대중국 의존의 심각성에 대해서 2018부터 인지하였으나, 공급망과 기술, 인력의 문제로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는 2018년, 2021년, 2022년 미국 의회에 보고된 국방수권법에서도 국방분야에서의 희토류 영구자석의 문제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 제이에스링크 켄지 고니시 부사장과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이번 조지아주 주지사와의 단독 미팅에 대한 보도자료에서 제이에스링크의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생산시설의 미국 내 건설 내용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현재 제이에스링크의 영구자석 핵심 엔지니어인 고니시 부사장의 이력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켄지 고니시 부사장은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분야의 권위자로 많은 관련특허(개인특허포함)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입니다.
1) https://jglobal.jst.go.jp/detail?JGLOBAL_ID=200903091028673524
2) https://jglobal.jst.go.jp/detail?JGLOBAL_ID=201103055525776320
이러한 켄지 고니시 부사장의 이력이 현재의 제이에스링크의 영구자석 생산을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미국의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생산 협력도 가능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켄지 고니시부사장의 이력과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분야의 전문성 등은 제가 2025년 3월에 작성한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nihil76&logNo=22379362825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 제이에스링크, 미 희토류 영구자석 공장 건설 ‘속도’ (The bell, 2025. 10. 27)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방한 중 국내 희토류 영구자석 업체인 제이에스링크 경영진과 단독 면담을 갖고 조지아주 내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공장 설립계획을 공식적으로 논의하며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하였음.
제이에스링크는 미국 공장에서 자동차, 풍력발전, 엘리베이터, 가전, 의료제품, 로봇, 데이터센터, 국방 분야 등 광범위한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임.
제이에스링크는 NdFeB 소결자석 뿐 아니라 국방 핵심물자인 SmCo(사마륨코발트) 자석도 미국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으로 미국의 국가 안보와 첨단 산업 공급망 안정화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됨.
조지아 주정부는 영구자석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하였음.
한편 조지아 주 대표단은 오는 29일 직접 한국을 방문해 제이에스링크의 예산 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 생산역량과 기술력을 확인할 예정이며, 이번 방문으로 조지아 공장 설립 계획이 구체화 될 것.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10270830014580101939
jglobal.jst.go.jp
Sm-Co系磁石用合金、その製造方法、焼結磁石及びボンド磁石 | 特許情報 | J-GLOBAL 科学技術総合リンクセンター
特許「Sm-Co系磁石用合金、その製造方法、焼結磁石及びボンド磁石」の詳細情報です。J-GLOBAL 科学技術総合リンクセンターは、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JST)が運営する、無料で研究者、文献、特許などの科学技術・医学薬学等の二次情報を閲覧できる検索サービスです。検索結果からJST内外の良質な一次情報等へ案内します。
Forwarded from Nittany ATOM Land
여태까지 뉴스 톤 보면
트럼프: 한국이 조건 수용하면 나는 서명하겠다
한국: (트럼프 발언 이후) APEC때 관세협상 쉽지 않다
트럼프: 한국이 조건 수용하면 나는 서명하겠다
한국: (트럼프 발언 이후) APEC때 관세협상 쉽지 않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10.27 13:33:32
기업명: 한미사이언스(시가총액: 2조 6,844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종속회사 : 한미약품
제목 : 비만치료제 신약 HM11260C(물질명: efpeglenatide)의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환자 대상 3상 Top-line 결과 발표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임상시험 약물이 의약품으로 최종 허가 받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약 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상업화 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시험 제목
: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1260C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제 3상 임상시험
*영문 제목: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III study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HM11260C in adult obesity patients without diabetes mellitus
2. 임상시험 단계
: 3상
3. 대상질환명(적응증)
: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
4. 임상시험 신청(승인)일 및 승인 기관
1) 신청일: 2023년 7월 28일 (한국 KST 기준)
2) 승인일: 2023년 10월 23일 (한국 KST 기준)
3) 임상승인기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5. 임상시험계획 일련번호
- 202300837, NCT06174779
6. 임상시험 진행 경과
- 임상시험 목적: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에서 HM11260C 의 '기저치 대비 40 주 시점의 평균 체중 변화율(%)' 및 '40주 시점에서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 비율(%)'이 위약 대비 우월함을 입증하고, 안전성을 비교 평가한다.
- 임상시험 실시기간:
·선별기간(Screening): 2주
·핵심치료기간(Core-Treatment Period): 40주
- 군정보: 시험군 HM11260C군/대조군 위약군
- 대상자 수: 무작위배정 대상자(Randomized set) 기준 총 448명 (시험군 299명, 대조군 149명)
- 디자인: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 시험방법: 무작위배정 이후 시험대상자는 증량 기간(Titration period) 동안에는 2~4주 간격, 유지용량에 도달한 이후에는 4~8주 간격으로 시험기관에 방문하여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다. 기관 방문 간격이 8주인 경우에는 사이에 전화방문을 진행하여, 추가적으로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다.
모든 시점에 대조군은 시험군과 동량의 위약을 투여한다.
7. 임상시험 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공동 1차 평가변수 모두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
1) 40주 시점에서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의 비율
: 유효성 결과 제시군(Full Analysis Set; 이하 'FAS') 총 446명에서 40주 시점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의 비율은 HM11260C군 79.42%, 위약군 14.49%이었으며, 군간 차이가 64.93%로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 (p<0.0001).
2) 기저치 대비 40주 시점의 체중 변화율:
FAS 총 446명에서 기저치 대비 40주 시점의 체중 변화율은 HM11260C군 -9.75%, 위약군 -0.95%로 HM11260C군에서 더 높은 체중 변화율을 보였다.
공분산분석(ANCOVA) 결과 최소제곱평균(LSmean(SE))에 대한 군간 차이(LSmean difference(SE)(95% CI))는 -8.13(0.67)[-9.43, -6.82]%로,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p<0.0001).
[안전성: 주요 위장관계 이상사례 발현율]
본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1회 이상 투여한 시험대상자인 안전성 분석군 총 448명 중 HM11260C군에서 40주 시점 주요 위장관계 이상사례 발현율은 TEAE는 오심 16.72%(위약군 5.37%), 구토 11.71%(위약군 2.01%), 설사 17.73%(위약군 4.70%) 이었고, ADR은 오심 16.72%(위약군 4.70%), 구토 11.04%(위약군 0.67%), 설사 15.05%(위약군 4.70%) 이었다.
8. 향후 계획
해당 의약품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핵심치료기간(Core-Treatment Period(40주)) 이후 64주 시점까지 약 24주 동안 연장 기간(Extension Period)을 진행하여 HM11260C 투여로 인한 지속적인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할 예정입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8930
기업명: 한미사이언스(시가총액: 2조 6,844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종속회사 : 한미약품
제목 : 비만치료제 신약 HM11260C(물질명: efpeglenatide)의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환자 대상 3상 Top-line 결과 발표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임상시험 약물이 의약품으로 최종 허가 받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약 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상업화 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시험 제목
: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1260C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제 3상 임상시험
*영문 제목: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III study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HM11260C in adult obesity patients without diabetes mellitus
2. 임상시험 단계
: 3상
3. 대상질환명(적응증)
: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
4. 임상시험 신청(승인)일 및 승인 기관
1) 신청일: 2023년 7월 28일 (한국 KST 기준)
2) 승인일: 2023년 10월 23일 (한국 KST 기준)
3) 임상승인기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5. 임상시험계획 일련번호
- 202300837, NCT06174779
6. 임상시험 진행 경과
- 임상시험 목적: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에서 HM11260C 의 '기저치 대비 40 주 시점의 평균 체중 변화율(%)' 및 '40주 시점에서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 비율(%)'이 위약 대비 우월함을 입증하고, 안전성을 비교 평가한다.
- 임상시험 실시기간:
·선별기간(Screening): 2주
·핵심치료기간(Core-Treatment Period): 40주
- 군정보: 시험군 HM11260C군/대조군 위약군
- 대상자 수: 무작위배정 대상자(Randomized set) 기준 총 448명 (시험군 299명, 대조군 149명)
- 디자인: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 시험방법: 무작위배정 이후 시험대상자는 증량 기간(Titration period) 동안에는 2~4주 간격, 유지용량에 도달한 이후에는 4~8주 간격으로 시험기관에 방문하여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다. 기관 방문 간격이 8주인 경우에는 사이에 전화방문을 진행하여, 추가적으로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다.
모든 시점에 대조군은 시험군과 동량의 위약을 투여한다.
7. 임상시험 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공동 1차 평가변수 모두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
1) 40주 시점에서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의 비율
: 유효성 결과 제시군(Full Analysis Set; 이하 'FAS') 총 446명에서 40주 시점 기저치 대비 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인 시험대상자의 비율은 HM11260C군 79.42%, 위약군 14.49%이었으며, 군간 차이가 64.93%로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 (p<0.0001).
2) 기저치 대비 40주 시점의 체중 변화율:
FAS 총 446명에서 기저치 대비 40주 시점의 체중 변화율은 HM11260C군 -9.75%, 위약군 -0.95%로 HM11260C군에서 더 높은 체중 변화율을 보였다.
공분산분석(ANCOVA) 결과 최소제곱평균(LSmean(SE))에 대한 군간 차이(LSmean difference(SE)(95% CI))는 -8.13(0.67)[-9.43, -6.82]%로, 위약 대비 우월성을 입증하였다(p<0.0001).
[안전성: 주요 위장관계 이상사례 발현율]
본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1회 이상 투여한 시험대상자인 안전성 분석군 총 448명 중 HM11260C군에서 40주 시점 주요 위장관계 이상사례 발현율은 TEAE는 오심 16.72%(위약군 5.37%), 구토 11.71%(위약군 2.01%), 설사 17.73%(위약군 4.70%) 이었고, ADR은 오심 16.72%(위약군 4.70%), 구토 11.04%(위약군 0.67%), 설사 15.05%(위약군 4.70%) 이었다.
8. 향후 계획
해당 의약품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핵심치료기간(Core-Treatment Period(40주)) 이후 64주 시점까지 약 24주 동안 연장 기간(Extension Period)을 진행하여 HM11260C 투여로 인한 지속적인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할 예정입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8930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10.27 13:46:04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42조 1,93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0,234억(예상치 : 32,857억/ -8%)
영업익 : 2,898억(예상치 : 3,440억/ -16%)
순이익 : 2,694억(예상치 : 2,788억/ -3%)
**최근 실적 추이**
2025.3Q 30,234억/ 2,898억/ 2,694억
2025.2Q 32,941억/ 3,717억/ 1,485억
2025.1Q 31,431억/ 2,586억/ 2,157억
2024.4Q 32,532억/ 1,690억/ 5,79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80019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42조 1,93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0,234억(예상치 : 32,857억/ -8%)
영업익 : 2,898억(예상치 : 3,440억/ -16%)
순이익 : 2,694억(예상치 : 2,788억/ -3%)
**최근 실적 추이**
2025.3Q 30,234억/ 2,898억/ 2,694억
2025.2Q 32,941억/ 3,717억/ 1,485억
2025.1Q 31,431억/ 2,586억/ 2,157억
2024.4Q 32,532억/ 1,690억/ 5,79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80019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10.27 14:21:38
기업명: RFHIC(시가총액: 7,16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05억(예상치 : 408억/ -1%)
영업익 : 74억(예상치 : 60억/ +23%)
순이익 : 57억(예상치 : 75억/ -24%)
**최근 실적 추이**
2025.3Q 405억/ 74억/ 57억
2025.2Q 446억/ 83억/ 84억
2025.1Q 319억/ 37억/ 43억
2024.4Q 387억/ 25억/ -55억
2024.3Q 246억/ -11억/ 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9002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8410
기업명: RFHIC(시가총액: 7,16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05억(예상치 : 408억/ -1%)
영업익 : 74억(예상치 : 60억/ +23%)
순이익 : 57억(예상치 : 75억/ -24%)
**최근 실적 추이**
2025.3Q 405억/ 74억/ 57억
2025.2Q 446억/ 83억/ 84억
2025.1Q 319억/ 37억/ 43억
2024.4Q 387억/ 25억/ -55억
2024.3Q 246억/ -11억/ 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279002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8410
Forwarded from [노다지IR노트] 컨콜/탐방/주담통화
[컨콜노트-전체공개] 한화오션, 일회성 비용·조업일수 감소로 일시적 감익…LNG선·특수선 견조
✅ 3Q 매출 3.02조 원, 영업이익 2,898억 원으로 일회성 비용(500억 원)·조업일수 감소로 전분기 대비 감익함
✅ 상선은 LNG선 중심으로 견조, 특수선은 잠수함 착수로 성장, 해양은 FPSO 사고로 적자 전환함
✅ 4Q는 CAPEX 지출로 일시적 순차입 증가 예상되나, 2026년 LNG선 인도 본격화로 자금 개선 전망임
👉 전문보기
https://is.gd/xQUJyD
✅ 3Q 매출 3.02조 원, 영업이익 2,898억 원으로 일회성 비용(500억 원)·조업일수 감소로 전분기 대비 감익함
✅ 상선은 LNG선 중심으로 견조, 특수선은 잠수함 착수로 성장, 해양은 FPSO 사고로 적자 전환함
✅ 4Q는 CAPEX 지출로 일시적 순차입 증가 예상되나, 2026년 LNG선 인도 본격화로 자금 개선 전망임
👉 전문보기
https://is.gd/xQUJyD
Naver
[컨콜노트-전체공개] 한화오션, 일회성 비용·조업일수 감소로 일시적 감익…LNG선·특수선 견조
공개컨콜기업 : 한화오션(042660) 공개컨콜일자 : 2025년 10월 하순 ※ 이번 컨퍼런스콜은 해당 기업에서 누구나 들을 수 있게 진행하여 <노다지 IR노트>의 본 컨콜노트도 전체공개-무료콘텐츠로 오픈해놓았습니다. ※ 회사개요, 재무 상황, 컨센서스 등은 아래
몰?루
여기서 보라쨩은 저 HBM 떨어졌단 기사의 기자구 이메일 주소 도메인이 저 비스타파트너스로 나와있어요
YouTube
비스타 파트너스
10년 이상 전문가들의 주식 차트이야기
✔️ 시장 트랜드에 맞는 종목 발굴
✔️ 시장 분석/전망
* 본 채널은 주식 정보 공유 채널입니다.
* 본 채널의 주된 컨텐츠는 매일 차트 분석을 통해 상승할 종목들을 찾아내고 기법들을 공유합니다.
* 본 채널은 직장인들이 현실적으로 매매할 수 있는 기법, 종목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 본 채널에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한 매수/매도의 판단 및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사칭 피해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 시장 트랜드에 맞는 종목 발굴
✔️ 시장 분석/전망
* 본 채널은 주식 정보 공유 채널입니다.
* 본 채널의 주된 컨텐츠는 매일 차트 분석을 통해 상승할 종목들을 찾아내고 기법들을 공유합니다.
* 본 채널은 직장인들이 현실적으로 매매할 수 있는 기법, 종목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 본 채널에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한 매수/매도의 판단 및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사칭 피해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Forwarded from 파하의 아카이빙 노트
강경태 한투
#조선
- HD현대중공업과 HII의 MOA 체결
- T-AOL 프로그램. 경량급 함대보충급유함. 미국의 차세대군수운송지원함 프로그램 중 하나
- 조달 수량 총 13척. 1척당 453백만달러(1~3번함)
- 1번함 발주 시기는 28년. 26년부터 개념설계 사업자 선정하기 위해 RFP 발송 상태 > 대응 단계부터 협업
- 1) 성문법 개정 전 최선이자 실질적인 협업. 블록/모듈 제작 후 인계. 예산의 30% 이상 점유
- 2) 이제 시작. 시장 확장 기대감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 상선 싸이클을 벗어난 새로운 수익원
- 3사 바스켓 매수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조선
- HD현대중공업과 HII의 MOA 체결
- T-AOL 프로그램. 경량급 함대보충급유함. 미국의 차세대군수운송지원함 프로그램 중 하나
- 조달 수량 총 13척. 1척당 453백만달러(1~3번함)
- 1번함 발주 시기는 28년. 26년부터 개념설계 사업자 선정하기 위해 RFP 발송 상태 > 대응 단계부터 협업
- 1) 성문법 개정 전 최선이자 실질적인 협업. 블록/모듈 제작 후 인계. 예산의 30% 이상 점유
- 2) 이제 시작. 시장 확장 기대감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 상선 싸이클을 벗어난 새로운 수익원
- 3사 바스켓 매수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4분기부터 모두 실적이 좋아지겠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
한화·LIG, 이라크 수출용 천궁-II 갈등 봉합… 1.5조 규모 부품 공급키로
https://v.daum.net/v/20251027174414863?from=newsbot&botref=KN&botevent=e
ㅡㅡㅡㅡㅡㅡㅡㅡ
한화·LIG, 이라크 수출용 천궁-II 갈등 봉합… 1.5조 규모 부품 공급키로
'천궁-Ⅱ' 이라크 수출 계약 체결 1년 1개월여 만에야 체계종합 업체인 LIG넥스원과 부체계 업체인 한화 방산 계열사 간 주요 부품 공급 계약이 마무리됐다. 수출 물량의 단가와 납기를 두고 K방산 주요 업체 간에 불거졌던 갈등이 일단락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갈등이 재연되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7일 각각 LIG넥스원과 이라크 수출용 천궁-Ⅱ의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금액은 한화시스템 다기능레이다(MFR) 약 8,593억 원, 한화에어로 발사대 약 3,882억 원이다. 공시 대상은 아니지만, 한화에어로는 발사관과 구성품 약 2,290억 원에 대한 계약도 체결했다. 계약 총액은 약 1조4,765억 원 규모다.
https://v.daum.net/v/20251027174414863?from=newsbot&botref=KN&botevent=e
Daum
한화·LIG, 이라크 수출용 천궁-II 갈등 봉합… 1.5조 규모 부품 공급키로
'천궁-Ⅱ' 이라크 수출 계약 체결 1년 1개월여 만에야 체계종합 업체인 LIG넥스원과 부체계 업체인 한화 방산 계열사 간 주요 부품 공급 계약이 마무리됐다. 수출 물량의 단가와 납기를 두고 K방산 주요 업체 간에 불거졌던 갈등이 일단락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갈등이 재연되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
